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고용후(高用厚)

고용후(高用厚, 1577-1648)의 자는 선행(善行), 호는 청사(晴沙), 본관은 장흥(제주)이다. 제봉 충렬공 고경명( 高敬命)의 여섯째 아들이다. 고조는 현감을 지낸 고자검, 증조는 기묘명현인 하천 고운(高雲), 조부는 하헌 고맹영(高孟英)이다. 어머니는 울산 김씨 부제학 김백균(金百鈞)의 딸이다.

1577년 선조 10년 (정축) 광주 압보촌 옛 집에서 태어났다. 이 때 큰형 효열공이 과거에 급제하였다.

1579년 선조 12년 (기묘) 3세 가운데 형 의열공이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1589년 선조 22년 (기축) 13세 의열공이 과거에 급제하였다.

1590년 선조 23년 (경인) 14세 가운데 형 정자공(의열공)을 모시고 서울에 올라갔다.

1591년 선조 24년 (신묘) 15세 숙부 정헌공이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1592년 선조 25년 (임진) 16세 왜란이 일어났다. 충렬공이 의병을 일으켜 왕사(王事)를 도울때 선생은 겨우 15세를 지났는데, 울면서 아버지를 따라가니 충렬공이 길에서 그의 손을 잡고 말하기를 "너는 울지 말라. 나라를 위해서 한 번 죽는 것이 나의 직분이니 너는 돌아가서 네 어머니와 잘 지내거라. 내가 저술한 시문 몇 편을 모두 너에게 줄터이니 너는 이것을 받아서 잘 간수해 두어라. 늙은 아비는 이번에 죽기를 기약하고 가니 부자가 서로 만날 것을 다시 바랄 수 없다. 오늘의 내 말을 너는 마땅히 뼈에 새기도록 하라"하고 드디어 말에 올라 가버렸다. 7월 10일에 충렬공과 의열공이 금산에서 전사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1593년 선조 26년 (계사) 17세 효열공이 상복을 입고 종군하였다. 효열공이 의병을 일으켜 출병하던 날 울면서 모부인에 작별하고 문을 나서다가, 다시 말을 세우고 내려 앉아서 선생의 손을 잡고 말하기를 "오늘 어머님 얼굴을 영결하느라고 너에게 일과(日課)의 학문을 가르쳐 주는 것을 잊었구나"하고, 조용히 일러주기를 "사람으로서 배우지 않으면 사람이 될 수 없는 것이다. 너는 반드시 힘써서 내 뜻을 저버리지 말라"고 했다. 이 말을 들은 사람은 탄식하고 눈물을 흘리지 않는 자가 없었다. 6월 29일에 효열공과 증 주부 경형(贈 主簿 敬兄:선생의 庶叔)이 남강에서 전사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1594년 선조 27년 (갑오) 18세 흉년이 들자 선조가 전라감사에게 하유(下諭)하기를 "고경명의 처자가 광주에 있다고 하니, 경은 그 곳 관원으로 하여금 월봉(月俸)을 지급하도록 하라. 이것은 우리나라 공사례(公事例)에 시행치 않았던 일이나 이번만은 반드시 착실히 시행토록 하라"고 했다.

1597년 선조 30년 (정유) 21세 어머니를 모시고 안동으로 가서 난을 피했다. 겨울에 누님 노씨(盧氏)부인과 종매 안씨(安氏)부인이 칼로 자결했다는 흉음을 들었다.

1598년 선조 31년 (무술) 22세 봄에 어머니를 모시고 돌아왔다.

1600년 선조 33년 (경자) 24세 10월에 조카 월봉공(月峰公) 부천(傅川)과 함께 금강을 지나면서 시를 지어 감회를 읊었다.

1603년 선조 36년 (계묘) 27세 원배(元配) 이씨(李氏)의 상을 당했다.

1605년 선조 38년 (을사) 29세 사마시의 진사, 생원 두 시험에 합격했는데 진사는 장원이었다.

1606년 선조 39년 (병오) 30세 문과의 병과 제3인으로 급제하였다.

1607년 선조 40년 (정미) 31세 여름에 권지정자(權知正字)에서 특별히 차례를 뛰어넘어 6품에 승진했고 공조좌랑을 제수 받았다. 이 해 겨울에 태인의 수령이 되기를 청해 얻어서 어머니를 봉양하였다. 1607년 9월 8일 義巖書院을 세울 때 광주유사로 참여하였다.

1608년 선조 41년 (무신) 32세 여름에 「정기록」을 간행했다. 이 해 12월 12일에 어머니의 상을 당하였다.

1609년 광해 원년 (기유) 33세 3월 경인에 충렬공의 묘를 장성 오동리 오좌원으로 이장하고 어머니를 왼편에 부장하였다.

1610년 광해 2년 (경술) 섣달 12일에 어머니의 대상을 지냈다.

1611년 광해 3년 (신해) 35세 조부 대간공에게 우의정이 증직되었다.

1612년 광해 4년 (임자) 36세 생진회시(生進會試)에 장시관(掌試官)이 되었다.

1613년 광해 5년 (계축) 37세 하절사(賀節使) 서장관으로 중국에 입조하였다.

1614년 광해 6년 (갑인) 38세 이 해 봄에 서장관으로서 복명하였다.

1616년 광해 7년 (병진) 40세 생진회시에 장시관이 되었다. 이 해 겨울에 병부랑(兵部郞)에서 외직으로 나가 남원의 수령이 되었다.

1617년 광해 8년 (정사) 41세「제봉집」과 「서석록」그리고 「격초서(檄草書)」를 발간했다.

1618년 광해 9년 (무오) 42세 겨울에 남원의 수령을 그만두고 돌아왔다.

1620년 광해 10년 (무오) 43세 가을에 월봉공이 서장관으로 중국에 입조하였다.

1624년 인조 2년 (갑자) 48세 영해부사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기 전에 체임되었다.

1630년 인조 8년 (경오) 54세 판결사(判決事)로서 중국에 입조하였다. 서교(西郊)의 전별자리에서 술잔으로 김자점(金自點)의 뺨을 쳤다.

1632년 인조 10년 (임신) 56세 11월에 안우산(安牛山) 방준(邦俊)이 이연평(李延平) 귀(貴)에게 글을 보내어 선생을 구제하였다.

1633년 인조 11년 (계유) 57세 계배(繼配) 기씨(奇氏)가 스스로 목매어 죽었다. 이 해 여름에 특명으로 진주에 유배되었다.

1635년 인조 13년 (올해) 59세 또 특명으로 서울에서 가까운 임천(林川)고을로 옮겼다. 출발에 임하여 제문을 지어가지고 백씨를 촉석강가에서 제사지냈다. 제문은 효열공 유적 아래에 나온다. 이 해 11월에 안우산이 또 윤해창(尹海昌)에게 글을 보내어 선생을 구제하였다.

1636년 인조 14년 (병자) 60세 6월에 조카 월봉공의 죽음을 곡하였다.

1637년 인조 15년 (정축) 61세 봄에 석방되었다. 이 해에 조카 참봉공(효열공의 큰아들 傅立)의 상을 당했다.

1640년 인조 18년 (경진) 64세 이 해 가을에 숙부 정헌공의 상을 당하였다. 겨울에 김숙도(淸陰金叔度)를 심양(瀋陽)으로 보내면서 시를 주었다.

1648년 인조 26년 (무자) 72세 모월 모일에 숨을 거두었다. 그 해 모월 모일에 장성 오동리 충렬공의 묘 계하(階下) 오른쪽 오좌원에 장사지냈다.

『청사집晴沙集』이 있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