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용헌(李龍憲)

이용헌(李龍憲, 1851~1895)은 광산 출생으로 본관은 함평이다. 자는 운오(雲五)이며 호는 오산(梧山)이다. 조부는 취헌(醉軒) 이만엽(李萬燁)이다. 효행이 출전(出天)하여 승지(承旨)의 증직(贈職)을 받았다.

「십회잠(十懷箴)」‧「척사부정설(斥邪扶正說)」등을 쓰는 등 유학의 진수(眞髓)를 다하여 사림의 좌명(座銘)이 되었다.조선시대 경학자(經學者)이다.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을 스승으로 섬겼고 송사 기우만과 함께 성리학을 강론하였으며 문집을 간행하였다. 1912년에 이계익이 편집, 간행한 31. 목활자본의 오산유고梧山遺稿가 있다.

1917년 오산(梧山)의 아들인 재랑 계익(齋郞 啓翼)(1878~1945)이 부친의 유지를 받들어 북구 오치동에 오산정(梧山亭)을 건립하였으며 종손 재열(宗孫 載烈)의 주소지에 있었으나 현재는 사라지고 없다.

전남 무안군 일로읍에도  이용헌(李龍憲)이 왕산당(旺山堂),을 지어 지냈다고 하나 지금은 사라지고 없다. 왕산당은 1896년 조선 고종(건양1) 때 광양현감 등을 지낸 김근식(金近植)의 시가 남아 있어 조선 말기에 지어졌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무안의 고사(高士) 일류(一柳)  이계희李啓僖(1865~1934)가 왕산당중수기(旺山堂重修記)를 남겼다.

왕산당(王山堂) 관련 시를 보면 이용헌은 당시의 구한말 의병항일전의 사상적 맥락의 하나인 민족적 위기의식 속에서 배태된 위정척사(衛正斥邪) 사상으로 항거했을 것으로 보인다.
구한말 위정척사(衛正斥邪)는 성리학을 보위하는 위정(衛正)에 목표를 두고 외래 사상과 문화를 사악한 것으로 단정하여 배척하는 척사(斥邪) 운동인데 열국의 침략이 일제의 침략으로 바뀌어감에 따라 구한말 항일무장투쟁노선으로 반일운동 또는 의병항일전으로 나타났다.

그는 시에서
停驂斜日暫偷閒  
해는 저무는데 나귀 멈추어 잠깐 한가함을 얻어
經宿通明屋數間  
통명전(通明殿)다운 큰 숙소에서 하룻밤 지내는구나
一軆君臣朝對地 
조대(朝對) 앞의 땅에서 군신이 한 몸이 되었고
忠忠洞裏見王山  충성스런 곧은 마을 왕산(王山)을 보았도다.

*조대(朝對)는 "前對之峰, 朝入之水"의 줄인 말이다. 풍수지리에서 조대의 길흉화복은 전적으로 혈처에 달려 있는데 아무리 앞산이나 들어오는 물이 좋아도 혈장이 흉하면 그 좋은 조대도 흉하게 작용하며 나쁜 조대라 할지라도 혈장이 좋으면 그 조대는 길하게 작용한다는 뜻이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