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효열부최씨의적비

광주시 남구 월성동 573. 학촌마을

1978년

이 효열부최씨의적비(孝烈婦崔氏懿蹟碑)는 김종억(金鍾億)의 처로 효열의 사실을 기록한 비이다. 광산김씨 문중에서 관리한다. 번역문은 다음과 같다.
옥은 그 자체가 부서질지라도 그 흰빛은 변하지 않은 것이요, 대나무는 그 자체가 불에 탈지라도 그 절계를 훼손하지 않는다. 최씨 부인의 곧은 절계는 더 더욱 독실하여 마치 가을 서리와 밝은 햇빛과 같았기에 이웃 마을까지 감복하지 않은 사람이 없다.
부인의 성은 최씨이고 본관은 탐진이다. 부상(富相)의 딸로 장경공 사전(思全)의 후손으로 1904년(甲辰) 8월 8일 광주시 동곡면 신기마을 본가에서 태어났다. 그 자질은 정숙하였고 심성은 인자하였기에 친정에 있으면서 어버이를 섬길 제 효도하였으며 네 가지 덕목까지 갖추고 있었다.
나이 겨우 16세에 김씨 가문으로 출가하여 시부모 섬기기를 친정 부모를 섬기듯하여 혼정신성(昏定晨省)을 멈추지 않았으며, 몸에 필요한 물건과 입맛에 맞는 음식은 항상 떨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시부모께서 병석에 눕자 근심 걱정을 하며 탕약을 지성으로 끌이고 북두칠성에 시부모의 수명 연장을 기원하였으나 갑자기 내외분의 초상을 당하여는 땅을 치며 애통하며 예절에 맞게 장례를 마치었다.
남편을 모시기를 지극히 정중한 모습으로 하였으며 화려한 몸치장은 좋아하지 않았고 경솔한 태도는 조금도 없었기에 가정은 화목하였으며 세상사람들은 현철한 여인이라 칭송하였다.
남편 김종억의 호는 석은(石隱)이며 본관은 김해(金海)이니 문민공 탁영(이름은 馹孫)의 후손인 계곤(桂坤)의 아들로 1897(丁酉)년에 동곡면 침산리 본가에서 출생하였다. 그는 타고난 자품이 인자하고 성품이 관대하여 어버이를 섬길 제 어버이의 뜻을 잘 따랐으며 부인 최씨와 서로 더불어 봉양하는 도리와 초상때 장례를 모시는 절차를 의논하여 정성과 예의를 다하여 마침으로 마을 사람 모두가 우러러보았다.
남편이 1940(庚辰)년 봄에 우연히 질병을 얻어 탕약의 효험이 업자 부인은 목욕 재계하고 자신을 남편대신 데려가라고 하늘에 축원하였다. 천명이란 대역하기 어려운 것이기에 홀연히 타계하니 4월 14일이요 향년 44세였다.
최씨 부인은 땅을 치며 불러보았건만 따라갈 수 없는 길이기에 어린 자식들을 생각하고 차마 그 뒤를 따르지 않았다. 장례를 모시는 모든 절차를 반드시 옛 예법을 따라 광주시 대촌면 월성리 학촌 앞산 자좌에 안장하였다.
그 당시 부인의 나이 37세에 하늘같은 남편을 잃고 애통함을 억누르며 자녀를 양성 교육하여 혼인할 때를 잃지 않았으며, 그 가문을 잘 보호하면서 40년 가까이 정렬을 지켜왔으니 어찌 순시간에 남편의 뒤를 따라간 아낙네들보다 더 낳지 아니한가?
하늘과 땅의 위치가 바뀌고 더러운 풍속이 세상에 가득하여 오륜(五倫) 삼강(三綱)이 무너져버린 이때 부인은 굳굳이 정절을 지켰으니 앞에서 이른바 옥이 부서지고 대나무가 불에 타더라도 그 흰빛은 변하지 않고 그 절계는 훼손되지 아니한다는 것이 이 최씨를 두고 지적한 것이 아닌가!
부인이 1남 3녀를 양육하였는데 아들 준수(俊洙)는 일찍이 죽었고 딸은 삭령 최순환(崔淳煥) 전주 이성한(李星漢) 청주 김동영(金東英)의 아내가 되었다. 외손자인 현호(鉉鎬) 현관(鉉官)은 최씨의 소생이고, 동채(東彩)와 동주(東柱)는 이 서방 소출이며, 이열(利烈)은 김서방 소출로 나머지 손자들은 기록하지 않는다.
아~부인의 효열을 기록으로 남기지 않는다는 것은 불가한 것이기에 그 사위들이 협력하여 비를 세우기로하고 최순환을 나에게 보내어 비문을 부탁하였다. 나는 누차 사양하다가 하는 수 없이 우와 같이 대략 기록하고, 무너져간 풍속을 바로잡는데 보탬이 되게 하고자 새기도록 하였다.
1978년 1월 하순 월성(月城) 최윤환(崔允煥) 짓고
송파(松波) 임종일(林鍾日) 쓰고
1978년 3월 일 세우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