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정지-경렬공 정지장군 사적비

광주시 북구 경렬사길 46(망월동) 경열사

1980년



광주시 북구 경렬사길 46(망월동) 경열사

1980년

이 경렬공정지장군사적비(景烈公鄭地將軍事蹟碑)는 경열사에 있다. 이은상이 짓고 김충현이 글씨를 썼다.

민족의 전통이란 결코 하루아침에 쉽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요 오랜 역사를 거쳐서 되는 것이니 우리 해군 전통도 역시 그러하다.

이미 삼국시대부터 高句麗百濟의 해군이 모두 다 강성했거니와 新羅에 있어서는 儒禮王 6(289)부터 戰船을 건조했으며 眞平王 5(583)에는 船府署를 두어 해군과 戰船을 관장했고 말엽에는 張保皐가 강대한 해군을 거느리고 동양 삼국을 제패했으며 高麗王建 太祖後百濟甄萱도 실상은 다 해군 지휘자들이었다.

그랬던 것이 李氏王朝 시대로 들어온 뒤에 차츰 文弱에 기울어져서 壬辰亂 같은 큰 국난을 당했지마는 위대한 영웅 李忠武公이 일어나 해전 사상 역사적인 대승첩을 거두어 나라를 건져낼 수 있었거니와 그도 실상 오랜 해군 전통을 계승한 데서 큰 힘을 얻었던 것이다.

그러면 李忠武公에게 이어진 우리의 해군 전통은 과연 무엇이었으며 그 전통의 산맥 속에 가장 우뚝 솟은 봉우리는 또한 누구였던가. 高麗 말엽 해군의 영도자 바다의 영웅 鄭地 장군이 바로 그이시다.

恭愍王 中原 대륙에서 나라와 나라의 세력이 서로 바뀔 무렵 그 틈을 타고 일어난 紅巾賊들이 大軍을 이끌고 침구해 들어왔고 또 의 후예 納哈出女眞三善三介가 침구해 오기도 했으며 高麗王室이 부패해짐에 따라 恭愍王이 시해됨에까지 이르렀었다. 그러는 한편 무엇보다 가장 큰 나라의 걱정은 倭寇였던 것이니 倭寇日本 연해안 流浪民으로 對馬 壹岐를 근거로 한 해적들인데 우리는 식량과 물품으로 회유도 하고 또 武力으로 응징도 했으나 高宗 이후로 倭寇들의 무수한 침구와 약탈이 끊일 사이가 없더니 鄭地 장군이 그들을 섬멸함으로써 해군의 전통을 확립시켰던 것이다.

鄭地 장군은 본관이 河東이요高麗 忠穆王 3(1347) 丁亥錦城山 榮山江의 정기를 타고 羅州에서 났으니 첫 이름은 准提. 어려서부터 모습이 장대하고 史書들을 즐겨 읽어 大義를 통했으며 19세에 司馬 장원 20세에 文科 급제 28세에 中郞將이 되었다.

恭愍王 마지막 23년 장군은 28세로 왕을 모신 速古赤로서 倭寇 평정 책을 올려 全羅道 按撫使가 되고 다시 이어 상소를 올리되 섬에서 생장한 자들과 水戰을 자원하는 자들로서 해군을 편성하여 년만 훈련시키면 연해안을 맡기겠다 하였으나 실시되지는 못했었다.

다음 해 禑王 元년에 倭寇 두목 藤經光을 죽이려다 실패한 뒤부터 倭寇들은 더 난폭해져서 禑王 3장군 31세 되던 해 여름 順天 樂安을 침구하므로 장군은 禮儀判書로서 順天道 兵馬使가 되어 그들을 무찌르고 겨울에도 목 베고 사로잡아 큰 전과를 거두었으며 이듬해에 倭寇들이 靈光 光州 등지를 침략하므로 그 뒤를 쫓았더니 적들이 玉果縣 彌羅寺로 들어가므로 불을 질러 모두 타죽게 했다.

36세 때 海都元帥가 되어 鎭浦로 들어온 적들을 소탕한 뒤에 戰船들을 새로 건조하여 왕으로부터 金帶白金 五十兩을 받았고 때마침 유행병으로 죽은 군사들을 모두 알뜰히 장사지내 주었으며 장군도 병에 걸리자 왕은 특별히 散騎 河忠國을 보내어 위로했다.

禑王 937세 때 적선 120여척이 慶尙道로 들어오자 合浦 元帥 柳曼殊가 급히 알리므로 장군은 戰船 47척을 이끌고 급히 蟾津에 이르렀더니 적들이 南海 觀音浦로 들어가 엿보는지라. 그러나 日氣不順으로 風雨尤甚하매 將軍은 곧 사람을 智異山神祠에 보내 기도를 올리자 바람 자고 비도 멎어 장군의 전투사상 최대의 격전 끝에 가장 통쾌한 대승첩을 거두고 海道都元帥 楊廣全羅慶尙江陵道 都指揮處置使로서 諸道戰船들을 건조하여 海寇를 남김없이 쓸어버리고 우리 해군의 위용을 자랑했던 것이다.

禑王 1442세 때 李成桂遼東 정벌에 같이 종군했다가 중도에서 回軍하자 倭寇들은 그 틈을 타서 南原까지 쳐들어오므로 장군은 그리로 달려가 58을 목 베고 말 64필을 노획하니 사람들이 장군 아니었다면 3백성들이 모두 죽을 뻔했다고 칭송했었다.

그러나 장군의 마지막 운명은 기구하여 昌王 元43세 때에 禑王을 복위시키려는 金佇 등과 관련되었다 하여 慶州로 귀양 갔었고 다시 李成桂를 반대한 尹彝 李初 등과 연계되어 淸州獄에 갇혔더니 하늘의 돌보심인지 큰 홍수가 나서 저절로 풀려나온 몸이 되었다.

그 뒤 回軍한 공로로 2等錄券과 논 50을 하사받고 석방되므로 光州 別業으로 물러나있었는데 判開城府事召命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被召不赴) 향년 45세로 세상을 여의니 恭讓王 3(1391)1015이었고 光州市 北區 淸玉洞(望月洞)禮葬되었다.

李朝 太宗 2年 壬午景烈이라는 謚號下賜되고 墓域 環山 15祭田 五結賜牌地로 내려졌다. 장군은 실로 한 시대의 인물이나 또한 문중의 인물만이 아니요 겨레 전체의 영원한 인물이다. 장군의 영전에 삼가 찬송을 바친다.

文武를 겸하시고 지혜 용맹 갖추시니.

한때의 인물이리까 역사의 영웅이외다.

戰艦을 만드시고 해군을 기르시어

전통을 세워 주시니 바다의 영웅이외다.

사나운 도둑 떼들 장군이 무찌르시니

그 은혜 잊으오리까 겨레의 영웅이외다.

자기 한 몸 돌보 잖고 나라만을 위하시니

진실로 우러러 받들 거룩한 영웅이외다.

시대가 바뀌어도 그 정신 빛나시니

우리들 가슴마다에 깊이 새길 영웅이외다.

장군은 이같이 우리 해군 전통의 초석이 된 역사적 인물이었건마는 뒷사람들이 높이 받들 줄 모르다가 仁祖 32(1644)에야 3선비들이 全南 光州景烈祠를 창설하고 장군을 제사 모시더니 高宗 8(1871)大院君의 서원 폐쇄령에 의하여 철훼되었고 뒤에 羅州 老安面 金安里에 사당을 옮겨 모시고 제사를 받들어 왔다.

그러다 1974년 봄에 사단법인 鄭地 장군 유적보존회를 창립하고 1977년에 사당 중건에 착공하여 1980년에 준공함과 동시에 光州市 望月洞 장군의 묘소를 우러러보는 곳에 이 사적비를 세우며 거액의 국비와 지방비로써 보조해 주신 정부 당국에 감사를 드린다.

後學 文學博士 鷺山 李 殷 相 짓고一中 金 忠 顯

198012월 일

後孫 周 永進 基 삼가 세움

<추기>

경렬공정지장군사적비는 경남 남해에 또 하나가 있다. 이 비는 정지장군유적보존회와 임진성기념사업회, 남면문화재보호위원회의 감수를 받아 1977년 가을에 남해군 남면 상가리 579-1번지 임진성기념각 전정에 세워 보존 관리해 오던 중 기념각은 폐허가 되고 주위는 잡초에 묻혀있음을 안타깝게 여기고 당시 종친회장인 20대손 정인규씨께서 복원을 추진중 남해군과 협조하여 2004년 4월 하순 임진성 주변으로 옮겨 보존하게 되었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