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영식재

광주시 서구 전평길 62(매월동)

1929년

매월동 개산마을에는 흥성 장씨興城張氏의 향제소享祭所이며 효우공孝友公 장창우張昌友(1704~1774)의 제향을 위한 재각이 영식재永式齋이다. 192811월 문중회의에 의해 건축하기로 의결하고 19298월에 건립되었다. 장정섭張整燮 장안섭張安燮 장창섭張昌燮 등이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재각 구조는 재실 1동과 정문으로 되어 있으며 재실은 4간 기와 방풍집으로 단층 평기와 팔작지붕 건물이다. 내부에 대청마루 1, 좌우 온돌방 2칸을 조성하였고 천정은 평천정으로 되어 있다. 천정은 종도리를 중심으로 5량집이며 처마는 겹처마로 대문은 소슬대문으로 되어 있다. 동서 양재兩齋와 대청 2간이고 정문 역시 3간이다.

현와弦窩 고광선高光善이 상량문을 짓고 후석後石 오준선吳駿善, 안동후인安東后人 김서규金瑞圭 지사知事가 기문을 남겼다. 정원에는 문화적 가치가 높고 신선 세계에서 볼 수 있는 동자상童子像이 서있고 수령 높은 고목이 아름다운 풍치를 이루고 있다.

대청 앞에는 영식永式이란 현판이 걸려있는데 이는 효우공의 아름다운 행적을 오래도록 본받자는 뜻에서 고종황제의 아들 의친왕義親王이 써준 것이라 한다. 이런 연유는 효우당이 평소 부모님을 효도로 극진히 모셨고 마침내 부친의 상을 당하여 3년간 시묘하였다. 하루도 눈물이 마를 날이 없어 그 자리에는 풀도 자라지 못하였고, 효성에 감동한 호랑이가 여막 주위를 호위하였다는 일화가 전한다

이런 까닭으로 주위에서는 칭송이 자자하고 지방 사림士林이 다투어 칭찬하여 공의 훌륭한 행적에 대해 향론鄕論이 계속 있었으니 이 사실이 광산읍지光山邑誌 및 삼강록三綱錄에 기록되어 왔다

또 기둥에는 8개의 주련이 있는데 모두 자손에게 교훈된 문구로 되어 있다. 


영식재 주련

一樹開花各自紅 四時芬苾肅恭中

百世羹墻瞻仰上 千流分派同歸碧

拜謁斧堂正鞠躬 光前裕後業無窮

遙知萬事求在我 追遠誠心戒愼終


기문은 다음과 같다.

영식재서永式齋序

광주 동하의 동쪽에 높은 산이 있는데 화개산華蓋山이라 한다. 이 산 양지에 송림이 우거져 있고 초동들도 함부로 도끼를 들지 못 하며 향인들도 이곳을 지나갈 때는 의관을 단정히 매만지고 절을 올리는 곳이 있으니 바로 장 효자의 묘.

의 휘는 창우昌羽요 자는 자칠子七 는 효우당孝友堂이라. 어려서부터 성품이 특이하여 부모에게 효도하였는데 공양과 보살핌에 극진하였다. 부모님이 돌아가시자 슬퍼함에 극도에 달하여 예를 넘었다.

3년 동안 시묘할 때 호랑이 와서 보호해 주었는데 이는 효성에 감동된 소치라고 사람들은 말하였다. 향촌 선비들이 이를 칭송하고 관에서는 포창을 하였으니 읍지에 소상히 기록되었고 지금까지 수 백년 동안 시골의 노인들에게 계속 전해져 오고 있다.

그 자손은 각지에 흩어져 살고 번창하고 또한 가문의 빛난 이름을 잃지 않고 있으니 이 어찌 공의 음덕이 아니랴.

장군張君 안섭安燮은 즉 공의 7세손이라 하루는 나에게 말하기를 우리 선조 효우당 제각이 지어진지 오래되었고 편액은 영식이라 하였으니 묘를 바라보거나 지날 때 본을 받고자 하는 뜻이라. 제각에 오르고 내리며 나가고 들어갈 때 그 사모함은 깊으나 아직까지 실기實記가 없어 내가 심히 부끄럽소이다. 한마디 좋은 말을 해주시어 오래토록 전해진다면 다행이 아니겠습니까.

내가 응하여 말하기를 공의 행의行義가 매우 돈독하오. 묘를 보살피면서 반드시 실천하고 또한 그침이 없으니 과연 본손들이라 할 수 있오. 의 이름을 살피고 뜻을 생각해보니 매우 훌륭합니다. 공을 흠모하는 사람들은 묘를 지나나면 뵈옵지 않더라도 긍식矜式은 궁행躬行할 수 있을 것이며 공을 본받아 각자가 오래토록 효를 다 한다면 옛날의 거룩한 일들이 현 세상의 도리가 되었으면 다행일 것이다. 드디어 졸렬함을 물리치고 이와 같이 쓴다.

경오(1930) 春 下浣 安東后人 金瑞圭 謹記

Tag #흥성장씨# 장창우# 장정섭# 장안섭# 장창섭# 고광선# 오준선# 김서규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