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원모정기〔遠慕亭記〕 - 운양속집

원모정기〔遠慕亭記〕 〕 - 운양속집 제3권 / 기(記) : 김윤식(金允植, 1835~1922)


서석산(瑞石山)은 아득히 드넓게 휘감아 솟아 올라 우뚝하니 광주(光州)의 진산(鎭山)이 되었다. 예로부터 이름난 이들과 통달한 선비들이 이 고을에서 많이 배출되었는데, 가까운 옛날로 거슬러 살펴보면 재략이 뛰어난 금남(錦南)과 충성스럽고 용맹한 석저(石底)가 모두 한미한 처지에서 떨쳐 일어나 후세에 명성을 드리웠다. 이른바 ‘땅이 신령스러우면 호걸이 난다’는 말이 참으로 그렇지 아니한가?
듣자니 정씨(鄭氏)의 선조인 휘(諱) ◯◯가 진주(晉州)에서 이곳으로 호적을 옮기고 서석산 아래 터를 잡아 집을 지었는데, 이곳에 분묘가 있다고 한다. 후손들이 번성하여서 해마다 제사가 끊어지지 않는다. 지금 정씨의 여러 종족들이 함께 계획하여 냇가에 정자를 세우고 원모정(遠慕亭)이라 편액을 달았다. 아마도 선조의 덕을 잊지 않고 효성의 뜻을 바치려는 것이리라. 그들이 사람 편에 내게 기문을 부탁해왔다.


나는 지난 경신년(1860, 철종11) 가을에 호남을 유람하면서 서석산 삼황봉(三皇峯)에 오른 적이 있었는데, 시원한 바람 아득히 흘러가는 구름에 가슴이 맑게 확 트이면서 회고의 상념에 젖어들었다. 내 탄식하여 말하기를 “이 산의 맑은 기운은 고금에 다를 바 없으니 여기 분명 광황 이인(光黃異人)이 있었을 터인데 지금 만나볼 수는 없는 것인가?”라고 하면서 한참을 서성였다. 그게 지금으로부터 61년 전의 일인데, 정씨의 정자 기문이 내 손에서 나오게 되었으니, 이제야 비로소 알겠구나!
지난날 만나 보기를 소원했던 사람이 바로 이 사람이 아니었을까. 어렴풋한 중에 미리 정해진 듯하니 참으로 우연이 아니다. 오랜 뒤에도 잊지 않고, 선조 사모하는 정성을 정자에 기탁하였다면 그 자손이 많고도 어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손이 많고 어질다는 것으로 미루어 보면 그 선조가 쌓았을 덕 또한 알 만하다. 이 산에 영(靈)이 있다면 반드시 덕을 지닌 가문에 아름다움을 모아 주었을 터인데, 그것이 혹 정씨 가문 아닐까?


[주-D001] 금남(錦南) : 
정충신(鄭忠信, 1576~1636)으로, 본관은 광주(光州), 자는 가행(可行), 호는 만운(晩雲), 봉호는 금남이다.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북방 여진족에 대해 항상 경계하고 방비할 것을 주장했으며, 지략과 덕을 갖춘 명장으로 명성이 높았다. 이괄의 난 때 공을 세워서 금남군(錦南君)으로 봉해졌다.
[주-D002] 석저(石底) : 
김덕령(金德齡, 1567~1596)으로,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경수(景樹), 시호는 충장(忠壯), 광주(光州) 석저촌(石低村) 출신으로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웠지만 모함으로 인해 죽임을 당했다.
[주-D003] 땅이 …… 난다 : 
인물의 걸출함은 대개 땅의 영수(靈秀)한 기운으로 인한다는 것으로, 광주의 신령한 땅 기운이 걸출한 인물을 배출하는 근본이 되었음을 말한다.
[주-D004] ◯◯ : 
저본에 두 글자가 빠져 있는데, 고의로 뺀 것인지 잘못하여 누락된 것인지는 확실치 않다.
[주-D005] 광황 이인(光黃異人) : 
광황은 중국 광주(光州)와 황주(黃州) 일대를 말한다. 소식(蘇軾)의 〈방산자전(方山子傳)〉에 “방산자는 광주 황주 지역의 은자이다. …… 나는 광주 황주 지역에 이인(異人)이 많다고 들었는데 종종 거짓 미친 체하고 남루한 의복을 걸치고 있어서 만나볼 수 없었다. 방산자는 혹시 그들을 만났던 것인가?〔方山子光黄間隠人也……余聞光黄間多異人 徃徃陽狂垢汙 不可得而見 方山子儻見之與〕”라고 했다. 방산자는 송나라 진조(陳慥)인데 자는 계상(季常)이다. 만년에 광주 황주 일대의 기하(岐下)에 은거했다. 소식(蘇軾)이 봉상첨판(鳳翔簽判)으로 있을 때 그와 서로 알았다. 또 광황 이인으로서 유명한 은사(隱士)인 장감자(張憨子)가 있다. 그는 뚱뚱하고 바보스럽게 생겼으나 매우 총명하여 천문지리며 유불도 및 병법에 모두 밝았다. 홀로 구라산(九螺山) 연하동(烟霞洞)에 은거했다. 소식이 황주로 귀양 가 기정(歧亭)에 갔을 때 그의 기운이 범상치 않은 것을 보고 그를 관부로 불렀는데, 그 또한 흔연히 약속에 응해 서로 만났다. 그러나 끝내 한마디 말도 하지 않다가 홀연 떠나 버렸다. 장감자가 세상을 떠난 후에 기정의 명사 주유거(周維柜)가 구라산으로 찾아가 보았더니 바위에 그가 새긴 시 한 수만 적혀 있었다고 한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