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희우정 喜雨亭

광산구 박호동 535-3

 

박산마을 입구에는 임진왜란 때 진주성 전투에서 왜적과 싸우다 순절한 충민공 양산숙梁山璹을 비롯한 송천 양응정 가족 8명의 충효열행을 기리는 우리나라 최초의 사액인 양씨삼강문梁氏三綱門과 임류정林流亭이 자리하고 있다.

이곳에서 남쪽 방향의 박호등임로에 황룡강과 포전들을 바라다 보이는 길 언덕에 희우정이 자리하고 있다. 원래는 옆에 있었으나 퇴락하여 2000년에 다시 이축하여 중건했다.

희우喜雨는 두보杜甫(712~770)의 시에서 좋은 비 시절을 알아서 내리니, 봄을 맞아 만물을 피어나게 하네[好雨知時節 春夜喜雨]’에서 유래한다. 농사의 감독을 위한 권농의 성격인 찰농지소察農之所로서 전사田舍나 장사莊舍 정도로 보인다.

희우정은 지금 지어진 시기보다 더 오래전인 일제강점기 무렵에 초당으로 지어졌을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소재 노수신도 두보를 들어 희우를 거든다.

 

好雨知時節 좋은 비가 시절을 알아서 내리니

何如杜子春 두보의 봄비와 비교하여 어떠한고

上農霑上瑞 상농가는 더 큰 혜택을 입었으리

中夏浹中旬 오월 중순 내내 단비를 내리는구려


희우정(喜雨亭)은 속담에 '봄비는 일 비고, 여름 비는 잠 비고, 가을비는 떡 비고, 겨울 비는 솔 비다' 했듯이 봄에는 비가 와도 들일을 해야 하고, 여름에는 비교적 농한기 이므로 비가 오면 낮잠을 자게 되고 가을비는 햅쌀로 떡을 해먹으며 쉬고, 겨울에는 술을 먹고 즐긴다는 뜻으로 일대 마을민의 삶의 흔적이 묻어 있는 곳이다.

노수신이 읊은 시에서 희우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五月天地昏 오월의 천지가 저물어 가니

陽烏赤如火 태양이 불처럼 빨갛게 달아올라

熯乾中谷蓷 골짜기의 익모초가 바싹 말랐네

農事半已墮 올 농사가 절반은 이미 글렀구려
 

皇天譴告極 하늘의 견책 경고가 극에 달하자

雷聲喧昨夜 어젯밤 천둥소리가 요란하다가 

風定雲黑色 바람 자고 검은 구름 펼쳐지더니

 沛然雨斯下 큰비가 줄기차게 내리는구나
/소재집 제1권


같은 이름으로 서울에 세종대왕이 희우정이라 이름 붙인 곳이 있다. 1925년 큰 홍수로 자취를 감추었다가 1989년 10월 복원해 1990년 6월 서울시기념물 제9호로 지정된 문화재가 있다. 마포구 망원동의 동명이 유래되기도 한 망원정은 양화나루 서쪽에 자리한 옛 정자로, 세종의 형인 효령대군이 세종6년(1424)에 지은 별장이다.

별장은 지은 이듬해 가뭄이 계속되자 세종이 농사형편을 살피려 효령대군이 기거하던 마포에 거동했다가 이 정자에 올랐는데, 그 때 마침 단비가 내려 들판을 흡족히 적시는 것을 보고 기뻐하며 정자 이름을 '희우정(喜雨亭)'이라 명하며 글씨를 내린 곳이다.

세종은 그후 자주 희우정에 나와 농사일을 살피고 한강을 지키는 수군들의 군사훈련을 참관했다 한다. 이후 1484년에는 성종의 형인 월산대군의 소유로 바뀌게 되자, 월산대군은 정자를 보수해 '먼 경치도 잘 볼 수 있다'는 뜻으로 이름을 '망원정(望遠亭)'이라 고쳐 지었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