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청음정 淸音亭

북구 용봉동

 

전남대 학생회관 뒤편으로 이어가는 언덕자락은 용주龍珠와 반룡盤龍마을을 안고 있어 반룡희주盤龍戱珠의 명당이라 전해지고 있다. 이곳이 개발되기 전에 청음정이라는 정자가 있었다. 《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북쪽 10리의 거리에  만포처사(晩圃處士) 김재화(金在華)가 지었다. 아들은 김진현金鎭鉉(1878~1966)으로 송사 기우만에게 배웠다.

송사 기우만의 기문과 1907년 법부차관이었던 김각현, 난와 오계수, 석음 박노술, 춘담 기동준, 창성 김택수의 차운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일제강점기 초반에 지어진 것으로 보이나 지금은 없다.

석음 박노술은 그의 문집 《석음유고》에서 이렇게 청음정을 노래했다.

대숲 그늘 뒤덮인 곳 정자를 마련하여
노년에 비용들이지 않고 창건했다네
오뉴월 무더위 바람 불지 않아도 시원한 날씨
홀로 지샌 맑은 밤 달빛이 밝아라

깊숙히 사노라니 세속 멀리 벗어났고
드러누워 있자니 복잡한 심사 모두 잊네
단 소원이라면 청음정 올라 그 자리 절반 빌려
투호하며 책 볼 자투리 청음(淸陰)이나마 빌려주오

시인 곽재구(郭在九)의 글 중에서 "1980년 봄이 왔다. 5월 광주에서의 폭력은 詩 쓰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모르는 내게도 찾아왔다. 청음정은 전남대학의 캠퍼스에 바로 붙어 있었고, 5월 18일 아침 나는 며칠 동안 세수를 하지 않은 장발의 몰골로, 무릎이 튀어나온 작업복에 운동화 뒤축을 구겨 신은 채 공수부대원들이 진을 치고 있는 전남대 정문을 빠져나왔다."라는 내용으로 보면 1980년대까지도 청음정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기우만은 기문에서 김공에 있어서는 죽음竹陰을 가리켜 청음淸陰이라 하였으나 옛날 향산거사香山居士는 대나무를 가리켜 어진 군자라는 뜻인 사현似賢의 이름을 붙였고 또 동파노인同派老人은 속된 풍습을 다스린다는 뜻의 의속醫俗의 이름을 붙였다. 이처럼 어진 군자와 같고 속된 풍습을 다스리는 의원 같다는 뜻의 죽음이 오늘의 청음으로 그 이름을 바꾸어 이 정자를 청음이라 했다. 이 대나무의 맑은 청음이 김공의 취미에 알맞은 나름대로의 깊은 사유가 있기 때문이다.”고 김재화를 칭송했다.

또한 노사집 권1에서 청음정을 이렇게 놀했다.


푸른 산은 연꽃과 같고 / 蒼山似芙蓉
끊긴 언덕엔 돌이 말 같아라 / 岡斷石如斗
이에 한 줄기 샘이 있어 / 爰有一道泉
날아와 그 오른쪽에서 우네 / 飛來鳴其右
이곳 이끼 낀 모퉁이 사랑하여 / 愛玆苔蘚稜
얽은 집이 구름 속에 그윽하네 / 爲構雲木黝
서늘한 정자는 머리 부딪칠 듯 / 凉榭欲打頭
따스한 집은 팔꿈치만 감추네 / 煖屋纔隱肘
유상을 기탁할 곳 있어 기쁘니 / 幽賞欣有托
구졸을 어찌 원망하겠는가 / 鳩拙夫何咎
슬프다, 옛날 늙고 완고한 사람이 / 慨昔老頑骨
휑한 골짝 입구에서 한가로웠지 / 等閒谽谺口
마른 오동 거문고 소리 못내고 / 桐枯不成琴
모질어진 매화는 빗자루 같네 / 梅禿還似帚
관목과 잡초 모두 덮였으니 / 灌莽極蔽覆
그 누가 이 형승 드러내겠나 / 形勝誰得剖
우리 집의 숙부가 현명하여 / 吾家叔父賢
풍소의 뒤에 뜻이 높았네 / 抗志風騷後
당종에 뛰어난 인재 있으니 / 堂從有俊彥
본디 고상하여 구차함 없어라 / 素尙亦不苟
고향 산천 가까운 거리에 있어 / 家山跬步閒
티를 씻고 또 때 갉아내었네 / 滌瑕復刮垢
고무담 서쪽의 작은 구릉도 / 鈷鉧西小丘
중국의 유종원 부럽지 않아라
/ 不羨中州柳
울퉁불퉁한 난석 가운데에 / 崢嶸亂石中
갑자기 낙성식 술을 마셨네 / 飮落忽有酒
구름 안개의 장관 달라졌고 / 雲煙劃改觀
남산은 문 안으로 들어오네 / 南山入戶牖
산들바람 대나무를 흔들고 / 微風動竹樹
차가운 비 돌절구를 채우네 / 寒雨添石臼
귓가에 맑은 소리 들리니 / 耳畔覺淸音
좌사의 시구만 못하지 않네 / 左思句不負
내가 이 땅에 표박한 것은 / 抑吾泊玆土
양구의 액운 만날 때부터라네 / 粤自遭陽九
자손은 십여 대째 / 子孫十世餘
운학을 전수 받았네 / 雲壑有所受
작은 집을 뉘 하찮다 하리 / 數椽誰云微
묵은 인연 실로 우연이 아니네 / 宿緣良非偶
만년의 세월 조석과도 같아 / 萬紀如晨夕
아는 이들은 감탄한 지 오래네 / 知者感歎久
기와로 초가지붕 대신하니 / 陶瓦代茅茨
아마 십 년은 썩지 않으리라 / 庶免十稔朽
난간을 털고 유편 가까이 하며 / 拂檻近遺編
탑상 쓸고 좋은 벗들 맞이하네 / 掃榻延良友
한 세상 내려다보고 올려다보니 / 偃仰一世上
장저 걸닉과 짝이 된 것 같네 / 沮溺如可耦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