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자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동구 증심사길 177 (운림동)
증심사 취백루는 일종의 범종을 설치해 놓은 건물이었다. 범종을 설치한 건물은 흔히 단층일 때는 범종각이라 하고 2층 누각의 형태를 하고 있을 때는 범종루라고 한다. 증심사의 범종루는 특별히 시적 운치가 있는 취백루라 했다.
취백루는 정유재란 당시 증심사 건물이 모두 불타버린 뒤, 1609년에 중창을 하면서 다시 세운 정문 누각인데, 6.25한국전쟁 때 다시 한 번 불타버렸다. <무등산>의 저자 박선홍은 불타기 전의 취백루 아래층에는 사천왕이 모셔져 있었고, 취백루 정문은 대웅전을 정면으로 바라보면서 사찰 경내로 들어갈 수 있도록 세워져 있었으며, 마루가 깔린 2층 한쪽에는 법고가 걸려 있었다고 한다.
1999년에 복원된 취백루는 앞면 5칸에 옆면 3칸 규모의 누각으로 1층은 종무소와 교육공간으로, 2층은 자향다실慈香茶室이라는 이름으로 찻집 겸 다용도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현판은 학정鶴亭 이돈흥李敦興의 작품이다.
원래 취백루라는 아름다운 종루의 이름은 고경명의 문집 <제봉집>의 ‘유서석록遊瑞石錄’에서 “마침내 취백루에 올라, 난간에 기대어 잠깐 쉬면서 생각하니 이 누대의 이름은 ‘뜰앞 잣나무가 푸르다[栢樹庭前翠]라는 글귀에서 따온 듯 싶다. 벽 위에 권흥權興 등의 시 현판이 걸려있다. 대체로 1368~1398년에 쓴 것으로 김극기의 현판만 빠졌으니 후세 사람으로서 유감이 아닐 수 없다”는 구절이 나온다.
백수정전취栢樹庭前翠는 취백홍도翠栢紅桃가 얽혀서 피어있는 아름다운 정경을 묘사한 고려 명종 때의 노봉 김극기의 시구에서 취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 제목 | 발행처 |
---|---|---|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 광주 향토사 연구 |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 동구의 인물2 | 광주광역시 동구청 |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마을(동)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민속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21) | 양림 인물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동구문화원(2014) |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 광주동구문화원 |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 누리집(2023.2 |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 광주의 다리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재단(2021) | 근현대 광주 사람들 | 광주문화재단 |
광주북구문화원(2004) | 북구의 문화유산 | 광주북구문화원 |
광주서구문화원(2014) | 서구 마을이야기 | 광주서구문화원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옛 지도로 본 광주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 국역 光州邑誌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 영산강의 나루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 경양방죽과 태봉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 1896광주여행기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 광주천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김경수(2005) | 광주의 땅 이야기 | 향지사 |
김대현.정인서(2018) |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정호(2014) | 광주산책(상,하) | 광주문화재단 |
김정호(2017) |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학휘(2013) |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4) |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5) |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6) |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8) |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9) |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 광산문화원 |
남성숙(2017) | 전라도 천년의 얼굴 | 광주매일신문 |
노성태(2016) | 광주의 기억을 걷다 | 도서출판 살림터 |
노성테.신봉수(2014) |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 광주문화원연합회 |
박규상(2009) | 광주연극사 | 문학들 |
박선홍(2015) | 광주 1백년 | 광주문화재단 |
정인서(2016) |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 광주문화원연합회 |
정인서 외(2015) | 광주의 옛길과 새길 | 시민의 소리 |
정인서(2011) |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 대동문화재단 |
정인서(2011) | 광주문화재이야기 | 대동문화재단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
천득염(2006) | 광주건축100년 | 전남대학교출판부 |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 광주향약 1,2,3. | 한국학호남진흥원 |
- 이전글죽파정 竹坡亭
- 이전글중사정(衆斯亭)- 취사당
- 다음글지남정사
- 다음글지어재(志於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