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정각정 正閣亭 초은정

북구 수곡동 산45-1

 

북구 수곡동에 정각정이 있다. ‘정각正覺 = 정등각正等覺 - (정말) + 깨닫다는 불가의 용어로 바른 깨달음이라는 뜻이다.

정자의 규모는 앞면 3칸 옆면 3칸의 골기와 팔작지붕으로 거실 1칸을 제외한 나머지가 모두 판자마루로 꾸며져 있다. 효령동의 초은정樵隱亭을 수곡마을로 옮겨 정각정으로 했다고 한다.

정각정은 전주이씨로 대를 이어 이곳에 살아온 이길신李吉信이 부친 정각 이장섭의 뜻을 잇기 위해 1959년에 옮겨 지은 효정자다. 이길신의 정각정원운에서 이미 변화된 효심-육아시蓼莪詩(부모가 애써 자식을 키운 공을 노래한 시)의 심정-세태와 사정思亭의 의미가 퇴색될까 걱정을 하고 있다.

상량문은 족제 삼청산인 이석종이 썼다.

정각정에는 당시에 일대의 경치를 보여주는 10경을 포함 오준선 등 많은 인사들의 차운 시와 글이 전하고 있다. 이장섭은 한말의 선비로 특히 시를 좋아한 인물이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족종(族從) 이상남(李相南), 족제(族弟) 이춘섭(李春燮), 생질(甥姪) 노유영(盧有永), 운파 김진현, 홍주 송재학, 백인재 김련, 남애 임태영, 화산 오택렬, 의당 노진영, 미호 정운영, 유남 고광영, 문강 기근섭, 남강 정순환, 운파 최수화, 연빙 김상해, 옥산 이광수, 외당 고한, 행산 오주열, 외당 고한주, 진제산인 윤영기, 만취 박승주, 긍당 이기영, 종하(宗下) 이회춘, 사종제(四從弟) 이관섭, 명춘 노석우, 유곡 고연주, 죽포 기세풍, 춘강 노문영 등의 글이 보인다.

원래 초은정은 효령동 학동마을 뒷산 높은 언덕 위에 초은 이호헌(1858~1919)이 지었다. 그가 이 정자를 다 짓지 못하고 생을 마감하자 아들 이상호李相皓가 그 뜻을 받들어 완성하고 부친의 호를 따 초은정이라고 했북구 수곡동 산45-1 북구 수곡동에 정각정이 있다.

‘정각正覺 = 정등각正等覺 - 참(정말) + 깨닫다’는 불가의 용어로 바른 깨달음이라는 뜻이다. 정자의 규모는 앞면 3칸 옆면 3칸의 골기와 팔작지붕으로 거실 1칸을 제외한 나머지가 모두 판자마루로 꾸며져 있다.

효령동의 초은정樵隱亭을 수곡마을로 옮겨 정각정으로 했다고 한다. 정각정은 전주이씨로 대를 이어 이곳에 살아온 이길신李吉信이 부친 정각 이장섭의 뜻을 잇기 위해 1959년에 옮겨 지은 효정자다.

이길신의 정각정원운에서 이미 변화된 효심-육아시蓼莪詩(부모가 애써 자식을 키운 공을 노래한 시)의 심정-세태와 사정思亭의 의미가 퇴색될까 걱정을 하고 있다. 상량문은 족제 삼청산인 이석종이 썼다. 정각정에는 당시에 일대의 경치를 보여주는 10경을 포함 오준선 등 많은 인사들의 차운 시와 글이 전하고 있다.

이장섭은 한말의 선비로 특히 시를 좋아한 인물이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족종(族從) 이상남(李相南), 족제(族弟) 이춘섭(李春燮), 생질(甥姪) 노유영(盧有永), 운파 김진현, 홍주 송재학, 백인재 김련, 남애 임태영, 화산 오택렬, 의당 노진영, 미호 정운영, 유남 고광영, 문강 기근섭, 남강 정순환, 운파 최수화, 연빙 김상해, 옥산 이광수, 외당 고한, 행산 오주열, 외당 고한주, 진제산인 윤영기, 만취 박승주, 긍당 이기영, 종하(宗下) 이회춘, 사종제(四從弟) 이관섭, 명춘 노석우, 유곡 고연주, 죽포 기세풍, 춘강 노문영 등의 글이 보인다.

원래 초은정은 효령동 학동마을 뒷산 높은 언덕 위에 초은 이호헌(1858~1919)이 지었다. 그가 이 정자를 다 짓지 못하고 생을 마감하자 아들 이상호李相皓가 그 뜻을 받들어 완성하고 부친의 호를 따 초은정이라고 했다. 초은정은 석촌 윤용구가 현판을 썼으며 고광선, 윤영구, 오준선 등이 기를 써 이들이 활동했던 시기를 보아 일제강점기 초반에 지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

초은정은 석촌 윤용구가 현판을 썼으며 고광선, 윤영구, 오준선 등이 기를 써 이들이 활동했던 시기를 보아 일제강점기 초반에 지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