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오방정(五放亭) / 춘설헌

광주광역시 동구 오방정(五放亭), 지금은 춘설헌으로 이름이 바뀐 집이다. 증심사와 약사사를 올라가는 길 등산로 산 기슭 오른편에 있는 건물이다. 기존의 정자와는 다른 방 두짜칸짜리 집과 같다.


이곳은 독특한 사연이 있다. 기독교 목회자, 독립운동가, 교육가, 한센병환자 구호사업가였던 최흥종崔興琮(1880~1966)이 지냈던 곳이다. 

정명 오방(五放)'다섯가지를 놓아버린다'는 의미로 집착을 떨어버린다는 뜻으로 그가 놓아버린 5가지는 집안의 일, 사회적 체면, 경제적 이익, 정치적 활동, 종파적 활동을 내포하고 있다. 최흥종은 "지상의 일에서 떠나 오직 하나님속에서 자유롭게 살겠다"1935년에 아호를 오방(五放)이라 정하고, 주위 지인들에게 자신의 사망통고서를 돌리면서 즉 죽은 사람으로 행세하며 한 목숨 희생정신의 각오로 살겠다며 오방정(五放亭)에서 은거했다. 함석헌도 그를 '무등산의 은자(隱者)'라 불렀다 

최흥종 목사는 광주의 큰장터(현재의 양동시장) 주변의 걸인들의 집단거주지였던 빈민촌을 철거해 버리자 당시 광주지역의 갑부였던 최선진(崔善鎭/현 유은학원 창업자), 최명구, 지응현(池應鉉/속칭 지참봉), 현준호(玄俊鎬/호남은행의 창업자/현대구룹 현정은회장의 조부) 등의 지원을 받아, 중앙교회에서 매일 점심때마다 걸인, 철거민들을 위한 무료급식을 행하였다.

또한 당시 농지였던 경양방죽(구 광주시청자리) 인근에 짚다발로 움막집을 짓고 걸인 수백명을 수용해 보살폈다 

또 최흥종 목사는 제중병원(Wilson 원장)과 선교사들의 지원과 교회 신도들의 재정적 후원을 받아 광주 봉선동에 나병환자 수용소를 지어 500여명을 수용하고, 치료했으나 포화상태가 되자 광주 양림동 미국인 선교사 묘지옆에 제2의 수용소인 양림동 수용소를 지었다.   

그래서 남자 나환자들은 봉선리 수용소에 500, 여자 나환자들은 양림동 수용소에 500명씩 분리수용하고 자신도 나환자 수용소안에서 기거하면서 나환자들은 최흥종 목사를 '아버지'라고 불렀다.   

소설가 문순태는 '성자의 지팡이'라는 소설을 써 그를 우리 시대 마지막 성자로 기렸다. 2009년 광주광역시는 남구 방림1동 주민센터에서 봉선2동 무등아파트단지 입구까지의 도로를 '오방로'라고 지정했다.

원래 이곳은 2·8독립 선언의 주역인 독립운동가이자 민족주의 언론인이었던 최원순(崔元淳 동아일보 편집국장) 선생이 1930년대 일제의 탄압과 고문을 받으면서 은거한 별장 석아정(石啞亭)이었다. 최 국장이 같은 집안사람인 최흥종 목사에게 선물한 것이다. 해방 직후 김구는 오방정을 찾아 일주일을 함께 머물기도 했다.

이후 그의 말년 1956년에  연배가 서로 비슷하여 막역한 친구로 광주 무등산 자락에 위치한 증심사 곁에서 같이 교유하던  의재(毅齊) 허백련許百鍊(1891~1977) 화백이 인수했다. 의재는 일본에서 건축을 전공한 건축가이자 서예가인 남용 김용구의 설계로 방 두개에 마루가 있는 조그마한 집을 지었다.

소암 현중화(素菴 玄中和, 1907~1997)가 쓴 춘설헌(春雪軒 1986년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5호로 지정)’이라는 이름을 걸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봄눈이 내리는 자리'라는 의미의 춘설헌의 역사를 알려주는 것으로는 춘설헌 입구 반대편에 건립된 의재 미술관에 보관중인 석아정’, ‘오방정현판(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2)2010년 춘설헌 입구에 세워진 오방정 기념비에서 알 수 있다.

현판(94×46)의 한쪽 면은 石啞亭 惺堂의 글씨가, 다른 한쪽 면은 五放亭 毅齋道人이라는 글씨가 돋을새김 되어 있고, 글자 오방정 윗부분에는 매화가 그려져 있다.

한말에 법부 주사와 검사를 거쳐 중추원 촉탁을 지낸 관료 겸 일제 강점기의 서예가로 이름을 날린 성당(惺堂) 김돈희(金敦熙 18711937)이 쓰고, 오방정 글씨와 매화는 허백련이 그렸다.

그리고 2010, 창립 90주년을 맞아 광주 YMCA는 창립자인 오방 최흥종의 흔적이 묻어 있는 이곳 춘설헌 입구에 오방정 기념비에 첫 출발이 된 석아정의 대해서도 기록하고 있다 

허백련은 1945년 광복 직후에는 무등산 다원(無等山茶園)을 인수하여 축산 농장을 경영하면서 춘설헌에서 한시(漢詩)와 고전 화론(古典畫論)에 통달하고 서법(書法)도 독특한 경지를 보인 시··화 겸전의 전형적 남종화가로서 호남 서화계의 상징적 거봉으로 추앙되는 근거지로 필 생활을 병행하였다.   

의재(毅齋)를 만나기 위해 우리나라 차계(茶界)의 어른인 효당 스님, 함석헌도, 젊은 시절 시인 고은 등 전국에서 손님이 춘설헌을 찾아오자 건너편에 방을 두개 더 늘리고 관풍대(觀風臺)를 근처에 지었다.

춘설헌은 의제의 수제자인 이범재(李範載)와 구철우(具哲祐) 김옥진(金玉振) 등 많은 전통적 산수화가를 길러 낸 산실이되었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