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만오정(晩悟亭)2 -임리정

광산구 산월동

 

북구 용두동 거진마을에 거주하는 최희순(崔喜順)이 거처한 공간이다. 원래 임리정(臨履亭)은 광산구 산월동 월봉마을 입구의 안산 정상에 있었다.

정자 주인 최희순이 읊은 임리정 원운(原韻)의 시이다.

임리정 높은 곳에 저자 티끌 끊어지니
서식(棲息)한 이내 몸이 한없이 새롭도다.
오동(梧桐)의 밝은 달빛 값없이 바라보고
드리운 성사(成絲) 버들 봄철을 알려주네.

농담(農談)을 나누면서 술잔을 기울이고
바둑판 앞에 두고 시린(詩隣)을 맞았도다.
연빙(淵氷)의 마음으로 성훈(聖訓)을 명심하여
이 사람 뜻에 따라 임리(臨履)라 하였도다.

송시열의 9세손 은진恩津 송병직宋秉稷(1864~1921)의 임리정기(臨履亭記)"옛날의 군자(君子)가 항상 공경한 마음으로 남들이 듣지도 않고 보지도 않는 홀로 있을 때의 언행(言行)을 삼가 두려워하였고 또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싹트려는 사심(私心)의 기미를 미리 점검하여 사전에 예방하는 독실한 수양을 쌓았다."며 적은 것으로 보아 이 정자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리()는 밟을 리, 신 리로 살얼음을 밟는 듯(如履薄氷)하다는 데서 극히 위엄한 일, 또는 매사에 조심하는 것을 일컫다.

송병직(宋秉稷)의 임리정기(臨履亭記)에 따르면 그의 아들 최재진(崔在鎭)이 어버이의 뜻을 받들기 위해 일부러 명승의 이곳을 골라 이 정자를 지었다라고 하였다이 정자의 주인은 최희순(崔喜順)이라고 하지만 실질적인 건립자는 그의 아들 최재진(崔在鎭)이다.

여기서 임리는 깊은 연못에 다달으고 엷은 얼음을 밟는 것처럼 항시 행동거지를 삼가한다는 뜻이요, 만오는 이 세상의 참된 이치를 늦게서야 깨달았다는 후회(後悔)의 뜻이라고 했다.

이 정자에 대한 문헌상의 기록을 보면 임리, 만오 두 정자가 별도로 존재한 것처럼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한때 월봉마을의 부농인 천봉안(千鳳安)에게 매도되어 그의 소유로 이전된 뒤 일부 구조를 바꾸어 그 이름을 만오정(晩悟亭)로 고치어 다른 기록에는 만오정이라 한다.

만오(晩悟)로 고치어 부르다가 1961년에 건물 자체가 퇴락되어 그의 모습을 잃게 되었다. 전후 4, 좌우 3개의 주춧돌이 있는 것으로 보아 정면 3(三間), 측면 2(二間)의 건물이었다.

이 정자의 창건연대를 관련 기록의 내용으로 보아 1880년대가 아닌지 추정된다. 좌우후면의 토사유입 방지를 위한 별도의 석축방벽(石築防壁)이 있어 당시의 완고한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이 정자가 다른 정자와 달리 높은 산정에 위치해 있어, 전후좌우가 모두 트여있고 송백수림(松栢樹林)이 주위를 둘러 그의 전망이 매우 아름답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