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원풍정(願豊亭) 소해정(蘇海亭) 만주사당(晩洲祠堂) 경의재(景義齋 )

북구 소해로 11 (일곡동)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은 조선 시대 광주목 석제면에 속했고, 호구총수에 일곡촌(一谷村)이 기록되어 있어 지명의 유래가 오래되었음을 보여 준다. 그래서 전통적 문화가 많이 남아 있는 곳이다.

일신재나 그중에 구한말 일대의 선비들이 구국의 일념으로 머물렀던 유서 갚은 곳이다. 원풍정(願豊亭)과 소해정(蘇海亭). 만주사당(晩洲祠堂) 이다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북쪽 20리 거리에 있다.

원풍정은 1817년에 최초로 건립되었지만 1912년 여름의 태풍으로 건물 전체가 붕괴되자 농암 노재규(1836~1920)가 이듬해에 중건했다. 앞면 3칸 옆면 3칸의 골기와 팔작지붕 건물이다.

원풍願豊이라 한 것은 나라를 위하여 풍년을 원한다는 주자의 우국원풍憂國題豊의 뜻에 따라 지었다. 농암정聾岩亭이라고 부른다. 건립자의 아호가 농암이다. 농암이란 어지러운 이 세상의 온갖 시비를 아니 듣기 위해 귀먹은 농자처럼 행세하며 살아간다는 뜻이다.

원풍정은 일곡근린공원과 일신초등학교 사이의 사거리에서 일곡마을로를 따라 일곡 자연마을의 평지와 한새봉 산이 맞닿은 곳까지 500m 쯤 가야 한다. 왼쪽 길가에 절효사가 있고 일곡마을로의 오른쪽에는 소해로 길로 100m 쯤에 만주사가 있다. 만주사 내에서 원풍정이 한 단 위에, 소해정으로 부르던 경의재는 한 단 아래에 각각 있다.

심석재 송병순과 송사 기우만의 기문이 있고 난와 오계수의 상량문이 있다. 광주목사 김경규의 제액과 광주목사 민영직, 녹실 정해만의 차운이 있다. 노재규의 저서에 <소해문집蘇海文集>이 있다. 그의 스승인 연재 송병선은 제주祭酒에 기용된 뒤 서연관, 경연관, 대사헌을 지냈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된 뒤 이의 부당함을 왕에게 상소하려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자 음독 자결하였다.

소해정은 만주사 강당으로 사용, 경의재라고 개칭하여 오늘날 만주사 경의재라고 부르는 곳이다.

서원 사우와 함께 정자나 누각, 문중의 재실들도 누정들은 사림들의 학문 연마의 장소이거나, 문풍을 기르는 장소로 이용되었다. 이에 비하여 후기의 그것들은, 반드시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 문중적 기반 위에 존속한 것들이었다. 이곳 경의재.소해정(景義齋 = 蘇海亭), 만주사도 그런 역할을 했던 유산의 산실이다.


*만주사

양반사족들이 자기가 사는 촌락을 배경으로 신분과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의 일환이었다고 이해할 수 있다. 동시에 이는 양반사족층의 체제유지적 노력의 하나였다고 할 수 있다.

만주사1959년 연제(淵濟) 송병선(宋秉璿), 소해(蘇海) 노종용(盧種龍)을 배향하는 사우(祠宇)이다노종룡의 문인과 고을 유림이 그와 그의 스승 송병선의 유풍을 추모하여 1944년 일곡동에 만주사를 세웠다.

소해 노종용(1856~1940)1856년에 대촌관내 양촌마을에서 출생하였다. 치운(致雲)이요, 호는 소해(蘇海) 또는 면수(勉修)농아(聾啞)며 본관은 광산(光山)이다. 1856(철종 7) 광주 일곡동(日谷洞)에서 농암(聾岩) 노재규(盧在奎)의 아들로 태어났다.

면암 최익현(勉庵 崔益鉉)과 송병선 문하에서 학문에 뜻을 두어 존경을 받았다그는 스승인 연제 송병선이 자결한데 뒤이어 면암 최익현이 일제에 잡혀 대마도에서 단식으로 순절하니 통곡(痛哭)으로 예장(禮葬)을 마친 후 스승의 유지를 받들고 척사위정(斥邪衛正)의 대의로서 누차 상소(上疏)를 올려 오적(五賊)을 물리치고 나라를 보전하려고 하였다.

이러한 듯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스스로 세사(世事)를 끊고 광주 일곡동에 내려와 도의(道義)의 교()를 맺어 학문을 논하는 한편, 후진양성에 힘쓰다 소해문집(蘇海文集)을 남기고 1940년에 세상을 떠났다.

경의재=소해정(景義齋 = 蘇海亭)은 원풍정과 같은 경내의 한 단 낮은 위치에 있으며 정자를 소해라 명명한 것은 주인 노종룡(盧鍾龍)이 그의 아호인 '소해蘇海'를 본따서 붙여진 것이며 임금이 존경한 덕망 높은 재상 노수신(盧守愼·1515~1590)이 방계 선조로 그의 덕의를 본받기 위해 소해정(蘇海亭)이라고 정하고 1930년에 준공된 정자이다.


*경의재

정자는 정면 5칸에 측면 3칸의 골기와 팔작지붕으로 경의재란 현판을 가지고 있으며 내실에 쪽마루를 두었다. 주련은 석촌 윤용구가 썼으며 고광선, 노상익, 기우만 등 당대의 유명 문인사들이 시, 기문을 무려 46개의 현판을 남겼다.

소해(蘇海)에서 경의재(景義齋)로 바뀐 것은 1965년에 노종룡(盧種龍)의 아들 노진영이 정자를 경내에 있는 만주사의 강당으로 명칭을 변경하였으며 면수재(勉修齋)라고도 부르고 있다

내부에는 고광선, 정봉현 기동준 기와 시판에 거액되어 있다. 그중에 홍주인(洪州人) 설암(雪庵) 송근묵(宋謹默 1856~1937)은 이렇게 감흥을 알리고 있다.

기개있는 높은 인격 좋은 때를 못만나서/숨어 살며 의() 지키니 이 골짝이 마땅하네.

세상일 안들으니/그 마음 편안하고 / 면수(勉修)로 이름하여 도()로서 기약했네.

흰 머리늙은 나이 서로 모아 대화하고 / 푸른 옷깃 한가한 날 시를 함께 의논했네.

선정(先亭)이 지척(咫尺)이라 감회가 특수하니/풍년을 원하면서 그 뜻을 알리었네


경의재란 선친의 절의를 숭모(崇慕)한다는 의미로서 이 정자의 용도가 유락휴식(遊樂休息)처가 아닌 강학처소(講學處所)로 변한 것이다.

광주시 일곡동은 도시화로 일곡주택지구로 개발되면서 산전벽해란 말이 어울리게 변화됐다. 일곡지구 일곡도서관 옆 산아래 주택단지 안쪽으로 자연부락 일곡동 515번지 일신중학교 뒷쪽 산자락에는 전통기와로 지어진 여러채가 보인다

일대는 주민들이 매일 산책하는 길목이다. 이 일대에는 일신재,절효사.영원정.묘룡대 같은 유서 깊은 목재 건축물이 사연을 담고 도시민들에게 많은 위안을 주고 있다. 그러나 만주사을 비롯 그 어디에도 대한 이정표 하나 없어 찾기 어렵다. 문화유산도 홍보가 그 가치를 더한다는 사실을 관계기관에서는 알아야 할 것 같다.

*참고 : 한국매일(2012) 南道 정자기행(222)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