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운천사마애여래좌상/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호(1986. 11. 1.)

서구 금호운천길 85-15 운천사(쌍촌동)

운천사雲泉寺 마애여래좌상磨崖如來坐像은 금호지구 푸르지오 아파트 뒤편에 자리한 운천사내 석불로 조성 연대는 고려 초기다. 불상 높이가 2.1m, 무릎 폭이 2.1m에 이른다. 광주에서는 보기 드문 실내 마애불이라는 점이 역사적인 가치를 높여준다.

높이가 4m, 길이가 5.6m에 이르는 자연 암벽에 불상을 양각하고 불상 외 나머지 부분을 깎아서 파냈는데 형상을 돌출시켜 만든, 일종의 석굴 불상이다. 그 불상 위에 건물을 지었다. 이를 전각이라는 하는데, 불보살이 모셔진 곳을 의미한다.

중국 운강석굴에 늘어선 대불 가운데 하나를 연상시키는 운천사마애여래좌상은 불상에 비해 법당의 규모가 작다. 보물 제48호인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北彌勒庵 마애여래좌상磨崖如來坐像과 같은 고려시대 마애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공통된 특징을 유추할 수 있다. 신라불상에 비해 정제미나 예술미 대신, 다소 투박하고 서민적인 느낌이 다분하다.

조각양식은 3280종호의 특징을 따르고 있다. 이를테면 타원형의 넓적한 얼굴에 긴 눈과 우뚝 솟은 코, 두터운 입술, 길게 늘어진 귀 등을 통해 근엄한 얼굴 표정을 만들어내고 있다. 또 굵은 목과 벌어진 어깨, 결가부좌한 자세 등은 안정감이 있고, 당당한 모습이다. 전체적으로 얼굴에 비해 몸체가 지나치게 과장돼 있고, 어깨와 손이 크다. 눈은 선정에 든 듯 반쯤 뜨고 있다.

머리에는 육계肉髻가 솟아 있고, 머리카락은 마애불에서 보기 드문 작은 소라 모양의 나발螺髮이다. 윗부분은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자리하고 있으며, 마모가 심하긴 하지만 이마에는 백호공이 얇게 보인다. 법의는 우견편단右肩偏袒을 한 옷 주름으로, 다소 이완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왼쪽 어깨를 감싸고 있는 옷에는 평행계단식의 옷 주름을 형식적으로 표현했다.

어깨는 넓은 편이나 앞가슴이 발달하지 못해 평범한 느낌을 준다. 팔이 유난히 긴데다 손.발의 표현이 크고, 손가락이 놓인 위치는 다소 어색하다. 불상의 손(수인手印)을 보면 다섯 손가락을 편 양손을 대일여래(비로자나불)가 자주 취하는 선정인禪定印처럼 보인다. 복부에 양손을 마주하고 있는 것이다.

불상 뒤로는 한 줄의 신광身光과 세 겹의 두광頭光이 있다. 가장 안쪽 두광에 연꽃무늬가 새겨있을 뿐 다른 장식은 없다. 세 겹의 두광은 부처님의 빛이 나와 부처님을 새겼다는 전설과도 일치되는 부분이다.

전반적으로 빛이 나오는 듯 외곽에 둥그런 선이 새겨져 있는데 이것이 약그릇이라면 약사여래불이다. 그런데 약그릇이 아니라고 치더라도 이에 대한 근거는 있다. 오래 전부터 많은 환자들이 이곳에 찾아와 기도했다는 말이 전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약사여래를 뒷받침하는 것은 또 있다.

운천사의 옛 이름은 정토사였다. 이 마애불을 약사여래라고 하는 것은 정토사라는 이름과 모순되지는 않는다. 병 치료에 영험하다는 약사여래가 동방만월세계라는 정토의 부처님이기 때문이다.

운천사마애여래좌상을 조성하게 된 데는 원효대사가 무등산 원효사에 머물던 어느 날, 서쪽 하늘에 상서로운 기가 가득함을 보고 제자 보광화상을 그곳에 보냈더니 뜻밖에 큰 바위에서 빛이 솟아 나오므로 그곳에 이 불상을 새겼다고 전해진다. 다만 고증할만한 기록이나 유물이 없어 아쉽다.

이처럼 불상의 가치가 작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그 의미를 퇴색시켰다는 점은 자성할 필요가 있다. 애초 불상을 만들 때 법당 문을 열면 예전에는 무등산이 한눈에 들어오도록 했을 것이지만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무등산도 가려지고, ‘백팔번뇌를 상징했을 보호각 앞에서 절까지 108계단마저 사라져 안타까움을 더한다.


Tag #정토사# 약사여래# 원효대사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