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마을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김인후ㆍ유팽로 등의 사액을 청하는 상소 - 영조 32년

옥과 현감 송명흠이 올린 김인후ㆍ유팽로 등의 사액을 청하는 상소 - 영조 32년 병자(1756) 4월 14일(신해)       


옥과 현감(玉果縣監) 송명흠(宋明欽)이 상서(上書)하였는데, 대략 이르기를,
"<중략>
신은 삼가 생각하건대, 김 인후는 높은 자질과 바른 학문으로서 효릉(孝陵)을 만나 밝은 임금과 어진 신하가 서로 계합(契合)하였으니, 실로 우리 동방의 1천 년에 한 번 있을까 한 기회였습니다. 하지만 하늘이 다스리고자 아니하여 갑자기 승하(昇遐)하시매, 김인후는 원통한 나머지 피를 머금고 살고자 하는 마음이 없었습니다. 그리하여 매번 휘신(諱辰)에 혼자 깊은 산속에 들어가 종일 통곡하였고, 여러 번 징소(徵召)하였으나 명에 응하지 않았던 것입니다. 선정신(先正臣) 송시열(宋時烈)이 그의 묘비(墓碑)를 지었는데, 이르기를, ‘한 마음으로 삼재(三才)를 조화하는 묘(妙)를 포함했고, 한 몸으로 만세 강상(綱常)의 무거움을 맡았다.’고 하였으며, 또 이르기를, ‘밝고 통달한 지식은 어지러운 사물(事物)의 밖에 초월하였고, 깊이 도달하고 두터이 쌓은 것은 정밀하고 정대한 영역에 나아갔다. 그 맑은 풍채와 큰 절개(節介)는 기운을 용동(聳動)시키고 빛을 떨쳐 완만(頑慢)한 자는 청렴하게 하고 겁장이는 바로 서게 하였으니, 비록 백세의 스승이라 해도 가하다.’고 하였으니, 이 몇 구절만으로도 그 조예와 수립이 크게 이루어졌음을 상상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현묘(顯廟) 임인년에 장성(長城)의 필암 서원(筆巖書院)에 사액하고 이조 판서, 양관(兩館) 대제학의 추증과 문정(文靖)이란 시호를 내릴 것을 명했던 것입니다. 유팽로는 곧 본현(本縣)의 사람으로서 임진년 난리 때 성균 학유(成均學諭)로서 어가(御駕)를 호위하여 서행(西行)했는데, 집정 재신(執政宰臣)이 말을 빼앗아 달려가 버리자, 유팽로는 도보로 고향에 돌아와 이웃 고을의 의사(義士) 안영(安瑛)ㆍ양대박(梁大樸)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키고, 전(前) 참의 신(臣) 고경명(高敬命)을 장수(將帥)로 추대해 문열공(文烈公) 신(臣) 조헌(趙憲)과 함께 금산(錦山)에서 죽었으니, 선묘(宣廟)께서 들으시고, 불쌍히 여겨 좌승지를 추증하고 정려(旌閭)하였으며, 광주(光州)의 포충사(褒忠祀)에 사액하였습니다.
<중략>
의논하는 자들은 혹 당연히 김인후와 유팽로는 이미 각각 사원(祠院)이 있으니, 첩설(疊設)할 것이 없다고 할 것입니다. 그러나 남토(南土)는 궁벽하고 멀어 문교(文敎)가 펴지 아니하여 서원이나 향사(鄕社)가 거의 없으며, 약간 있다 해도 내지(內地)의 여러 고을에서 넓게 설치하기를 서로 다투어 도리어 문폐(文弊)가 되는 것에 비길 수는 없는 것입니다. 더욱이 또 본 서원은 이미 금령이 있기 전에 세웠고 특히 사기(士氣)가 미약하여 감히 사액을 청하지 못했던 것이니, 지금 만약 옛집은 그대로 두고 은액(恩額)을 걸기만 한다면, 격례(格例)에도 방해되지 않고 공을 거둠이 클 것이니, 이는 또한 사문(斯文)을 흥기하고 세도(世道)를 만회하는 하나의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삼가 예자(睿慈)에 바라건대, 특별히 이해하여 채납(採納)하시고 사람이 불초하다 하여 말을 버리지 않도록 하소서.”
하니, 왕세자가 우악한 비지(批旨)를 내려 답하기를,

“진달한 바 민사(民事)는 묘당으로 하여금 품처하게 하고, 대조께 우러러 품할 일은 또한 등대(登對)하여 품하도록 하라.”

하였다.

【원전】 43 집 619 면

【분류】 정론-정론(政論) / 구휼(救恤) / 보건(保健) / 인사(人事) / 인물(人物) / 역사-고사(故事) / 교육-인문교육(人文敎育) / 왕실-종친(宗親) / 왕실-경연(經筵) / 사법(司法) / 재정(財政) / 군사(軍事) / 윤리-강상(綱常) / 윤리-사회기강(社會紀綱) / 농업-농작(農作)

[주-D001] 곽외(郭隗) : 
춘추 전국 시대 연(燕)나라의 현인(賢人). 연나라 소왕(昭王)이 현명한 이를 얻고자 하여 곽외에게, “훌륭한 사람을 얻어 같이 다스리면서 선왕(先王)이 제(齊)나라에 당한 치욕을 씻고자 하니, 선생이 그런 사람을 알려 주시오.” 하자, 곽외가 말하기를, “옛날 어떤 임금이 내시에게 천금을 주면서 천리마(千里馬)를 구해 오게 했더니, 그가 죽은 말의 뼈를 5백 금이나 주고 사서 돌아왔으므로, 임금이 화를 내자, 그가 말하기를, ‘죽은 말도 사들이는데, 더구나 산 것이겠습니까? 천리마가 곧 올 것입니다.’ 하였는데 과연 1년이 안되어 세 마리나 왔다고 합니다. 왕께서 꼭 현명한 사람을 구하고자 하시면 저부터 쓰실 경우 저보다 더 현명한 자가 어찌 천리를 멀다 하여 오지 않겠습니까?” 하므로, 소왕이 곽외를 등용하여 스승으로 섬겼는데, 그후부터 훌륭한 사람들이 연나라를 찾아왔다는 고사.
[주-D002] 칠사(七事) : 
수령이 고을을 다스리는 데 힘써야 할 일곱 가지 일. 즉 농상성(農桑盛)ㆍ호구증(戶口增)ㆍ학교흥(學校興)ㆍ군정수(軍政修)ㆍ부역균(賦役均)ㆍ간활식(姦猾息)ㆍ사송간(詞訟簡).
[주-D003] 집예(執藝)의 간하는 것 : 
이는 《서경(書經)》 윤정편(胤征篇)의 기예(技藝)를 가진 미천한 공인(工人)이라도 업에 종사하면서 간(諫)할 수 있다는 내용임. 누구나 일하는 사람이면 자기가 종사하는 일을 가지고서 간할 수 있음을 말함.
[주-D004] 정협(鄭俠)이 …… 고사 : 
정협(鄭俠)은 송(宋)나라 신종(神宗) 때 사람. 자는 개부(介夫).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여러 차례 상서(上書)하였으나 기각당하였음. 그 뒤 유민(流民)들의 비참함을 그림으로 그려 올리자, 신종이 보고 탄식하며 조칙을 내려 신법을 혁파하였다고 함.
[주-D005] 신해년 : 
1731 영조 7년.
[주-D006] 임자년 : 
1732 영조 8년.
[주-D007] 동작(東作) : 
봄철에 농사를 지음.
[주-D008] 장각(張角) : 
후한 때 황건적의 우두머리.
[주-D009] 갈영(葛榮) : 
후위(後魏) 때 사람으로 자칭 천자라 함.
[주-D010] 이특(李特) : 
진(晉)나라 혜제(惠帝) 때 사람으로 대장군ㆍ대도독이라 자칭함.
[주-D011] 이자성(李自成) : 
명나라 말기의 사람으로 숭정 15년에 하남ㆍ하북을 통일함.
[주-D012] 황정(荒政) …… 인 : 
주대(周代)에 베풀었던 황정 십이사(荒政十二事)를 말함. 곧 산리(散利)ㆍ박정(薄征)ㆍ완형(緩刑)ㆍ이력(弛力)ㆍ사금(舍禁)ㆍ거기(去幾)ㆍ생례(省禮)ㆍ살애(殺哀)ㆍ번악(蕃樂)ㆍ다혼(多婚)ㆍ색귀신(索鬼神)ㆍ제도적(除盜賊)임.
[주-D013] 임진년 : 
1592 선조 25년.
[주-D014] 무신년 : 
1728 영조 4년.
[주-D015] 효릉(孝陵) : 
인종(仁宗).
[주-D016] 삼재(三才) : 
천(天)ㆍ지(地)ㆍ인(人).
[주-D017] 임인년 : 
1662 현종 3년.
[주-D018] 계해년 : 
1623 인조 원년.
[주-D019] 병인년 : 
1626 인조 4년.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