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마을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의병을 일으킨 김천일의 포상을 의논하다 - 선조 37년

임진란 때 의병을 일으킨 김천일의 포상을 의논하다 - 선조 37년 갑진(1604) 10월 20일(병인)

전라 감사(全羅監司) 장만(張晩)이 아뢰기를,
“도내(道內)의 나주 생원(生員) 강위호(姜渭虎) 등 58인이 정서(呈書)하였는데, 그 대략에 ‘창의사(倡義使) 김천일(金千鎰)은 호남의 석유(碩儒)로 지난 임진 왜란 때 왕성(王城)이 함락되어 대가(大駕)가 서쪽으로 파천(播遷)하고 적세(賊勢)가 맹렬하여 남북이 횡분(橫分)되었으므로 모두들 「국사를 어떻게 할 수가 없다.」고 할 적에 분연히 일어나 동지를 규합하여 제일 먼저 대의(大義)를 창도하였다. 그리하여 곧바로 기전(畿甸)으로 달려가 강회(江淮)를 차단하고 행궁(行宮)으로 가는 길을 뚫었으며 영남과 호남을 제어하였다. 남쪽으로 내려가 적을 추격할 적에는 외로운 성채를 힘을 다하여 지키고 상처를 싸매고서 독전(督戰)하였으나 화살이 떨어지고 군량이 바닥이 나서 죽고 말았으니, 그가 충성을 다하여 나라를 호위한 공과 살신 성인(殺身成人)한 절개는 옛사람에 견주어도 조금도 부끄러울 것이 없다. 지금 의장(義將) 고경명(高敬命)의 사당(祠堂)을 광주(光州)에 세웠고, 조헌(趙憲)의 비석은 금산(錦山)에다 세웠는데, 유독 김천일에 대해서만이 아직까지 아름답게 여긴다는 명을 내리지 않았다. 그러니 이와 같은 사실을 조정에 전문(轉聞)하여 그의 충성스런 공적을 포장하고 그의 문려(門閭)를 정표(旌表)하여 충신과 효자의 권면이 되게 해 달라.’고 하였습니다.”
하였는데, 예조에 계하하였다. 예조가 아뢰기를,
“김천일은 일개 서생(書生)으로 비분 강개하여 한 고장에서 의병을 일으켰습니다. 인심이 모두 무너져 흩어질 때에 거의(擧義)의 소식이 들리자 민정(民情)이 매일 데가 있게 되었고, 향곡(鄕曲)의 난적(亂賊)들이 스스로 금즙되어 감히 방자한 짓을 하지 못하였습니다. 이러한 공의 파급 효과는 이미 비상한 것이었습니다. 그가 강도(江都)로 들어가 웅거하고 있으면서 서북쪽에 명령을 통하게 하였고, 힘껏 진양(晉陽)을 지켜 동남쪽의 보장(保障)을 만들려고 하다가 공을 이루지는 못하였지만 의(義)에는 부끄러움이 없습니다. 그러니 실로 의병을 일으켜 적을 토벌한 여러 장수 가운데 뛰어난 자로 고경명이 수립한 공보다도 더욱 빛나게 드러나는 자입니다. 사당(祠堂)을 세우자는 것이 선비들에게서 나온 일이기는 하지만 편액(扁額)을 하사하는 은전은 유명(幽明)이 함께 빛나는 일입니다. 호남의 선비들이 천일을 위하여 강개한 마음을 일으킨 것도 타고난 덕을 좋아하는 양심(良心)에서 우러난 것으로 권면할 수는 있어도 막을 수는 없습니다. 우선 문려(門閭)에 정표(旌表)하여 권면하는 풍교(風敎)가 되게 함이 합당할 것 같습니다.”
하니, 계하(啓下)하기를,
“국사에 죽은 신하를 위해 정문(旌門)한 전례는 없다. 다른 사람 또한 본받게 될 것이니 다시 자세히 살펴 대신들과 의논해서 참작, 시행토록 하라.”
하였다. 대신에게 의논한 바 완평 부원군(完平府院君) 이원익(李元翼)은 의논드리기를,
“김천일은 제도(諸道)에서 제일 먼저 창의(倡義)하여 그의 강직한 지조가 사람들의 이목(耳目)에 환히 드러나 있습니다. 따라서 정표하는 일을 속히 거행하는 것이 마땅합니다.”
하고,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 이덕형(李德馨)은 의논드리기를,
“해조(該曹)의 공사대로 시행하소서.”
하고, 오성 부원군(鰲城府院君) 이항복(李恒福)은 의논드리기를,
“김천일이 창의하여 사지(死地)로 나아간 것은 태양처럼 찬란하여 다시 의논할 것도 없는바, 인격과 명망이 으뜸이 되기에 충분합니다. 다만 정표하는 일은 마땅히 성상의 결단에서 나와야 합니다.”
하고, 영의정 윤승훈(尹承勳), 좌의정 유영경(柳永慶), 우의정 기자헌(奇自獻)은 의논드리기를,
“김천일이 다른 사람들이 일을 일으키기 전에 제일 먼저 창의하였으니, 제도(諸道)의 수창(首唱)입니다. 마땅히 먼저 포상(褒賞)하는 은전을 시행하여 인심을 용동시키는 거조를 삼아야 합니다. 그러나 예조에서 지금 이에 대해 마련하는 중에 있고 천일도 그 가운데 들어 있으니, 그 공사(公事)가 귀일되기를 기다려 다른 사람들과 동시에 거행하는 것도 무방하겠습니다.”
하니, 삼공의 의논을 따르라고 하였다.
사신은 논한다. 대가(大駕)가 서쪽으로 파천(播遷)할 적에 팔로(八路)가 무너지고 인심이 흩어져 곤수(閫帥)와 읍재(邑宰)들은 거개가 자신과 처자식을 보전하기 위해 민간에 숨어 구명도생하기에 바빴는데도 천일은 일개 서생으로서 자신을 잊고 창의하여 향병(鄕兵)을 규합하였다. 그리하여 처음에는 강도(江都)에서 명령을 통하게 하였고 나중에는 진주성(晉州城)을 보장(保障)으로 만들기에 이르렀는데 군졸이 다하고 화살이 떨어져 전사하였으나 후회하지 않았으니, 구구한 충의(忠義)야말로 숭상할 만하다. 저 적 때문에 임금을 버리고 몸을 보존하기 위해 나라를 등진 무리들이 어찌 부끄럽지 않겠는가. 아!
【원전】 24 집 680 면
【분류】 정론(政論) / 인사(人事) / 식생활(食生活) / 윤리(倫理) / 역사-사학(史學)


[주-D001] 강회(江淮) : 
양자강(楊子江)과 회수(淮水)의 약칭으로 여기서는 한강과 임진강을 뜻한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