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마을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하책봉사 안처량이 최부의 일을 치계하다 - 성종 19년

하책봉사 안처량이 돌아오다가 요동에 이르러 통사를 보내어 치계하다 - 성종 19년 무신(1488) 4월 15일(무신)

하책봉사(賀冊封使) 안처량(安處良)이 돌아오다가 요동(遼東)에 이르렀는데, 먼저 통사(通事)를 보내어 치계(馳啓)하기를,
“신(臣)이 북경(北京)에 있으면서 지난 3월 16일에 상마연(上馬宴)을 한 뒤 20일에 통사(通事) 탁현손(卓賢孫)으로 하여금 예부(禮部)에 사연을 적은 단자(單子)를 정납(呈納)하게 하였는데, 주객사 원외랑(主客司員外郞)이 탁현손에게 말하기를, ‘그대 나라 사람 최부(崔溥) 등이 표류(漂流)하다가 절강(浙江) 지방에 도착하였는데, 절강 총병관(浙江摠兵官) 등의 주본(奏本)을 본부(本部)에 내렸습니다. 최부가 틀림없이 그대의 나라 사람입니까?’ 하므로, 탁현손이 주본(奏本)을 청하여 보니, 곧 제주 경차관(濟州敬差官) 최부(崔溥)가 같은 배에 탄 43명과 더불어 표류해서 절강(浙江)에 도착하여 머문 일이었습니다. 원외랑(員外郞)이 말하기를, ‘최부의 출송(出送)하는 절차는, 최부가 북경에 도착되기를 기다렸다가 마땅히 주달(奏達)하고서 의논해 시행해야 할 것이니, 그대들은 먼저 가는 것이 좋겠습니다.’ 하므로, 탁현손(卓賢孫)이 인하여 주본을 등사(謄寫)하기를 청해서 가지고 왔기에 지금 동봉(同封)해서 아룁니다.”
하였다. 그 주본(奏本)에는 이르기를,
“흠차 총독 절강 비왜서 도지휘첨사(欽差摠督浙江備倭署都指揮僉使) 등관(等官) 신(臣) 황종(黃宗) 등은 삼가 해양(海洋)의 성식(聲息)이 되는 일을 구제(具題)합니다. 파총 송문 등처 비왜서 지휘(把摠松門等處備倭署指揮) 동지(同知) 유택(劉澤)의 정송(呈送)에 의거하면 이인(夷人) 43명이 도착하였다 하는데, 신이 먼저 정해(定海) 등의 위소(衛所)에서 각기 신보(申報)를 정송(呈送)한 것에 의거해서 안조(案照)하였더니, 홍치(弘治) 원년(元年) 윤정월(閏正月) 17일에 해문(海門) 밖의 도저 천호(桃渚千戶) 우두(牛頭)가 외양(外洋)에 배가 있는 것을 요견(瞭見)하였는데, 사인(使人) 사자체 도차(獅子寨塗次) 등을 통하여 이미 거쳐서 지나온 초소(哨所)의 비어(備禦)한 것과 회정(會呈)한 것을 절강(浙江)ㆍ도안(都按) 2사(司)가 관문(關文)에 의해 초록(抄錄)한 것에 준해서 흠차 진수 절강 사설감 태감(欽差鎭守浙江司設監太監) 장경(張慶)ㆍ순안 절강 감찰 어사(巡按浙江監察御史) 창형(暢亨)이 비어(備禦)를 안험(按驗)하여 우러러 전행(轉行)한다고 하였습니다. 신 등이 초소(哨所)의 구찰(究察) 등을 통해서 간행(間行)을 행하고, 또 도저 천호소(桃渚千戶所)의 신정(申呈)에 의거해서 해당 육로(六路)의 천호 유춘(柳春) 등에게 기군(旗軍)을 거느리고서 앞서 간 태주부(台州府) 임해현(臨海縣) 20도(都)와 더불어 그 곳에 머무르고 있는 사람과 배를 급히 압송(押送)하도록 하여, 천호소에 이르러 심문하였는데, 언어(言語)가 변별(辨別)하기 어려웠으나, 성명(姓名)ㆍ내력(來歷)을 필사(筆寫)함에 의하여 연유(緣由)를 모두 알 수 있었습니다.
신 등이 또 지나온 각사(各司)의 관문(關文)에서 물은 것과 또한 초록(抄錄)에 해당하는 흠차 진수 절강 사설감 태감(欽差鎭守浙江司設監太監) 장경(張慶)ㆍ순안 절강 감찰 어사(巡按浙江監察御史) 창형(暢亨)이 모여 의논한 것에 준해서 단자(單子) 내의 개심(開審)한 것을 간득(看得)하였는데, 이인(夷人) 최부(崔溥)가 공사(供辭)한 데 의거하면, ‘조선국(朝鮮國) 사람으로, 제주(濟州) 등지의 해도(海島)에 가다가 폭풍으로 역류(逆流)하는 바가 되었는데 대국의 경계에 도달하게 된 데에 대한 정황(情況)에 대해서는 보고할 만한 것이 없습니다.’ 하였고, 선내(船內)에 어떤 기계(器械)가 있었던 것과 별항(別項)의 행리(行李) 등건(等件)의 안행(案行)에 대해서는 신 등이 분수 관원(分守官員)과 분순 관원(分巡官員)을 아울러서 감심(勘審)하는 사이에 지금 해송(解送)하여 이르른 데 의거해서 신 등이 회동(會同)하여 살펴보았는데, 한 사람이 공사(供寫)한 것에 의거해 보면, ‘이름을 최부(崔溥)라 하며, 조선국(朝鮮國) 전라도(全羅道)의 나주(羅州) 사람으로 성화(成化) 정유년에 생원시(生員試)에 제 3인으로 합격하였고, 임인년에 문과(文科)의 을과(乙科) 제 1인으로 합격하여 교서관 저작랑(校書館著作郞)이 되고, 박사(博士)가 되고, 군자감 주부(軍資監主簿)가 되고,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이 되고,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이 되고, 홍문관 부수찬(弘文館副修撰)이 되었으며, 병오년에 문과 중시(文科重試)의 을과(乙科) 제 1인으로 합격하여 홍문관 부교리(弘文館副校理)가 되고, 용양위 부사직(龍驤衛副司直)이 되었으며, 정미년 가을 9월 17일에 국왕(國王)의 명(命)을 받들어 제주 등처 경차관(濟州等處敬差官)이 되었는데, 제주(濟州)는 남해(南海) 바다 가운데 있어 수로(水路)로 1천여 리가 됩니다. 같은 해 11월 12일에 바다를 건너 인정(人丁)을 추쇄(推刷)하다가 일이 아직 끝나지도 않았는데, 지난 윤정월 초 3일에 부상(父喪)을 당하여 가느라고 풍편(風便)을 기다릴 사이도 없이 전도(顚倒)되어 육지(陸地)로 나오다가 폭풍(暴風)에 역승(逆乘)되는 바가 되었습니다. 단지 대선(大船) 1척(隻)만 있어, 거친 파도와 큰 물결에 실려 잠겼다 떴다 하며 굶주린 끝에 구사 일생으로 단지 배만 버리고 육지(陸地)에 오르게 되어 대국(大國)의 경계에 도달하였는데, 관인(官人)의 인도함이 있어 이 성(城)에 이르렀습니다.
거느린 사람은 배리(陪吏) 4인(人)으로 광주 목리(光州牧吏) 정보(程保)ㆍ화순 현리(和順縣吏) 김중(金重)ㆍ나주 목리(羅州牧吏) 손효자(孫孝子)ㆍ제주 목리(濟州牧吏) 이효지(李孝枝)이며, 진무(鎭撫) 안의(安義)는 제주 사람이고, 반당(伴倘) 이정(李楨)은 경도(京都) 사람이며, 역리(驛吏) 최거이산(崔巨伊山)은 나주의 청암 역인(靑巖驛人)이며, 노자(奴子) 2인과 제주 관노(濟州官奴) 4인과 호송인(護送人) 김속(金粟) 등 9인과 선군(船軍)ㆍ격군(格軍)의 허상리(許尙理) 등 20인은 모두 제주 사람입니다. 소지(所持)하고 있는 것은 인신(印信) 1과(顆), 마패(馬牌) 1척(隻), 중시 방록(重試榜錄)ㆍ관대(冠帶) 및 다스린 바의 문적(文籍)을 함께 가지고 왔으며, 선내(船內)의 노(櫓)와 상앗대[楫]ㆍ돛대[帆檣]는 바람을 만나 잃어버렸으나 띠고 있던 바의 말안장[馬鞍] 1부(部)와 각 사람들의 의복(衣服)이 함께 있으며, 칼[刀] 1자루[把], 활[弓] 1장(張)에 창전(鎗箭) 등의 물건은 별로 없습니다.’ 하였습니다. 이에 의거해서 신 등이 재삼 모여 살펴보았으나 다른 것은 없었으므로, 청함에 따라 인신(印信)ㆍ마패(馬牌)ㆍ방록(牓錄)ㆍ문적(文籍)ㆍ관모(冠帽)ㆍ의포(衣包)ㆍ말안장[馬鞍] 등의 물건은 명백하게 점검해 보고서 최부(崔溥) 등에게 급여(給與)하여 수령(收領)하도록 하였습니다. 이선(吏船)의 행(行)함은 파총 지휘(把摠指揮) 유택(劉澤)으로 하여금 각상(閣上)의 마을로 끌어다가 지나온 연유(緣由)를 모여 살펴보게 하고, 관련인과 칼 1자루, 활 1장을 아울러서 흠차 진수 절강 사설감 태감(欽差鎭守浙江司設監太監) 장경(張慶)ㆍ순안 절강 감찰 어사(巡按浙江監察御史) 창형(暢亨) 등에게 해송(解送)하도록 해서 복심(覆審)하는 한편, 전송(轉送)하여 부경(赴京)하도록 하였습니다. 신 등이 염려되는 것은 아마도 이인(夷人)의 사위(詐僞)가 예측하기 어렵고, 또 지나온 파총(把摠)ㆍ송문(松門) 등지의 지휘(指揮) 유택(劉澤) 등이 각 해당 성(城)을 지키는 조육(操陸)ㆍ출해(出海) 등의 길목을 담당한 관군(官軍)을 독려하여 구찰(究察)과 방비를 엄하게 더하는 외에, 지금 이인(夷人)의 성명(姓名)을 가지고 급여(給與)와 수령(收領)을 거친 의포(衣包) 등건(等件)의 수목(數目)을 아울러서 개좌(開坐)합니다. 회본(會本)은 순차 지휘(順差指揮) 동지(同知) 양노(楊輅)가 친히 가지고 삼가 제주(題奏)를 갖추어 계개(計開)합니다.”
하였다.
【원전】 11 집 327 면
【분류】 외교-명(明) / 사법-탄핵(彈劾) / 호구-이동(移動)


[주-D001] 본부(本部) : 
예부(禮部).
[주-D002] 구제(具題) : 
사유를 갖추어 제본(題本)을 만들어 아룀.
[주-D003] 안조(案照) : 
조사해서 고찰함.
[주-D004] 홍치(弘治) : 
명(明)나라 효종(孝宗)의 연호.
[주-D005] 원년(元年) : 
1488 성종 19년.
[주-D006] 요견(瞭見) : 
요망(瞭望)하여 발견함.
[주-D007] 행리(行李) : 
행장(行裝).
[주-D008] 감심(勘審) : 
생각하여 소상히 조사함.
[주-D009] 성화(成化) : 
명(明)나라 헌종(憲宗)의 연호.
[주-D010] 정유년 : 
1477 성종 8년.
[주-D011] 임인년 : 
1482 성종 13년.
[주-D012] 병오년 : 
1486 성종 17년.
[주-D013] 정미년 : 
1487 성종 18년.
[주-D014] 창전(鎗箭) : 
창과 화살.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