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게시물 (9건)
- 광주시립미술관, 제24회 하정웅청년작가초대전 ‘빛2024’
- 광주시립미술관이 제24회 하정웅청년작가초대전 ‘빛2024 <사이: 현실과 이성>’전시를 하정웅미술관에서 열고 있다.이번 전시에 맞춰 현대미술의 경계를 탐색하는 네 명의 작가와 함께 지난 2월 4일 현실과 이성 사이에서 균형을 찾는 다양한 담론의 시간을 가졌다. 이번 행사는 전시 참여 작가들과 예술 전문가들
- ‘착한도시 서구’에서 천사들의 페스티벌을 열다
- 광주광역시 서구(구청장 김이강)가 동별로 추진하고 있는 ‘천사사업’을 확대해 ‘착한도시 서구’ 실현의 동력을 마련한다.서구는 지난 1일 하정웅미술관 앞 잔디광장에서 ‘천사들의 페스티벌’을 열고 동별로 추진 중인 주민 참여형 천사사업을 공유했다. 특히 이 자리에는 금호1동 상생천사,&n
- 광주문학의 산실 ‘광주문학관’ 문 열었다
- 광주문학의 산실이자, 시민과 함께하는 전시·교육·창작·교류의 복합문화공간인 ‘광주문학관’이 문을 열었다.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북구 시화문화마을에 광주문학관을 건립, 22일 개관식과 함께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 광주문학관은 지난 2006년 건립 논의를 시작해 18년 만에 결실을 맺었다. 총 사업비 171억원을
- 농은정기(농은 이근태의 농은정3)
- 농은 이근태의 농은정에 대한 후석 오준선의 기문이다. 이 때의 농은정은 한자가農隱亭, 膿隱亭 등 출처마다 다르므로 원전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호가 膿隱이므로 膿隱亭이 마땅해보인다.農隱亭記世之隱者或入山而逃名或避地而浮海或屠市酒肆托跡而藏身之數子者非高尙其事以保淸節猖狂自恣以避禍網而然於中行之道胥失
- 경연대 景筵臺
- 남구 구만산길 34 조선 선조 때 남강정의 주인 양심당 이시원(1428~1488)과 동생 청심당 이조원(1433~1510)이 함께 그의 아버지 필문 이선제(1390~1453)를 위해 지었다. 문인들과 예를 익히고 후학을 가르치며 학문을 연마한 곳이다. 1610년(만력38년 경술 2. 20) 포충사제위답여납명문에는 유등곡리(柳等谷里)
- 김현승- 절대고독
- 광주시 남구 양림동 225-13 2013년다형 김현승 시인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는 시비가 2013년 남구 양림동 사직도서관 건너편 길에 세워졌다.시비는 '절대고독'이라는 시를 담았다.
- 정소파 시비
- 광주시 북구 운암동 문화예술회관 국악당 앞1998년정소파 시비는 광주문화예술회관에 있다. 1층 주차장에서 후문 출입구 방향으로 가다보면 2층으로 올라가는 통로를 막 지나 오른편에 있다. 얼른 지나치면 잘 보이지 않는다.정소파(鄭韶坡)의 본명은 현민(顯珉)이며 광주 사직 공원 밑 사동에서 1912년 2월 5일 태어났다. 1
- 김만옥시비
- 광주 북구 운암동 중외공원 어린이공원지구 내1998년김만옥 시비는 북구 광주시립미술관에서 광주비엔날레 가는 방향 중간쯤 왼편에 있다. 반대편에 김남주 시비가 보인다. 시는 '딸아이의 능금'을 적었다.봄비가 다녀간 담장 밑 양지쪽에어느 날 딸아이가 능금씨 심는다 봄이 다 가고 여름이 와도싹은 나지 않고 가슴
- 문틈, 이 달콤한 고독
- 대체로 사람들은 홀로 있는 것을 못 견뎌한다. 불안하거나 두려운 까닭인지도 모른다. 언제부턴가 개인보다는 공동체가 더 강조되면서 ‘하나는 전체를 위하여’에 복무해야 한다고 믿는 시대가 되다보니 더욱 그러한 것 같다.홀로 있을 때에도 텔레비전을 보거나 인터넷 서핑을 하면서 홀로 있음을 벗어나려고 애를 쓴다. 사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