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게시물 (4건)
- 이태진 李泰鎭 고종 19년(1882) 11월 12일∼고종 20년(1883) 11월 4일
- 이태진 李泰鎭 고종 19년(1882) 11월 12일∼고종 20년(1883) 11월 4일이태진(1812∼?)의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운여(雲汝), 아버지는 증 이조참판 이충영 (李忠永)이다. 1852년 식년시 생원에 합격하여 1853년 경기전 참봉, 1857년 한성주 부·영접도감 낭청, 1861년 장악주부·사옹주부·연기현감, 1865년 괴산군수, 1867년
- 送鄭書狀 伯樞 赴京- 홍명원 광주목사가 서장관 정응두를 보내며 쓴 시이다.
- 送鄭書狀 (伯樞) 赴京海峯集 권2 / 七言四韻
- 《고운집(孤雲集)》 해제(解題)
- 최치원의 저술과 고뇌, 그리고 역사 탐구 -1. 최치원의 생애와 저술신라 말의 격동기에 살았던 최치원은 여러 저술을 남겼다. 그의 저술은 재당 시절과 귀국한 뒤 관리로 재직하던 시절, 그리고 관직에서 물러난 뒤 해인사에 은거하던 시절 등 세 시기로 구분된다.1_ 가계와 출생최치원은 헌안왕(憲安王) 1년(857) 신라의 서
- 농은정1
- 광주 쌍유리雙柳里에서 출생한 농은農隱 이엽李爗(1729~1788)의 은거터 농은정農隱亭이 있었다. 서석산 서쪽 구림지역에 농사를 감독하기 위해 지었으며 자신이 농은당기(農隱亭記)를 직접 남겼다.이엽의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시회(時晦), 호는 농은(農隱). 아버지는 이상규李相奎, 할아버지는 이윤李潤이다. 이엽은 17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