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528건)

두꺼비 허물은 화수분
업으로 여겨지는 두꺼비의 허물을 발견하고 집안의 쌀 독에 붙여두면 가세가 늘어 부자가 된다는 이야기로 업 신앙과 관련이 있다.2018년 1월 30일 광주광역시 북구 효령동 주민 김봉희의 이야기를 채록한 것과 2018년 4월 12일 광주광역시 남구 원산동 주민 정임순의 이야기를 채록한 것으로 한국구비문학대계에 수록되었다
동산마을 송도박굴
광주광역시 동구 운림동 동산마을에 있는 큰 바위는 송도에 성을 쌓기 위해 가져가려던 바위였으나 가져가지 못해서 송도바위라고 부른다고 한다. 1988년 12월 25일 광주광역시 동구 운림동 성촌마을 주민 최두진에게 채록하여 1990년에 간행한 『광주의 전설』에 수록되어 있다.광주광역시 동구 운림동 동산마을 뒤쪽에 송
도천동 참샘과 비석등에 대한 지명 전설
광주광역시 광산구 도천동 참샘의 전승 이야기와 비석등의 유래에 관한 이야기이다.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동의 제보자 김채균의 이야기를 1989년 채록한 것으로, 1990년 광주직할시가 간행한 『광주의 전설』에 수록하였다.광주광역시 광산구 도천동 도촌마을은 광산김씨, 순천박씨, 장흥고씨가 주류를 이루며 살아왔
도적을 잡은 칠석동 당산나무
「도적을 잡은 칠석동 당산나무」는 광주광역시 남구 칠석마을에 있는 당산나무와 그 나무를 지나다가 봉변을 당한 도적에 관한 이야기이다. 광주광역시 남구 칠석마을에서 이인식의 이야기를 채록하였고, 1990년 광주직할시에서 간행한 『광주의 전설』에 수록되었다.옷돌[칠석]마을은 풍수지리설에 따르면 소가 쪼그리고
도래산의 유래
광주광역시 광산구 평동의 도래산의 지명전설이다. 비가 오던 날, 산고개를 넘던 오누이 중 남동생이 누이에게 성욕을 느껴 자신의 성기를 때리다가 죽었다. 그걸 본 누이가 "차라리 도라고나[달라고나] 해 보지"라고 해서 도래산이 되었다.2000년 8월 24일 광주광역시 광산구 평동 용곡마을에 거주하는 황문애의 이야기를
도깨비와 씨름
광주광역시에서 전해 내려오는 도깨비와 씨름한 경험에 관한 이야기.도깨비와의 씨름에서 이겨서 도깨비를 묶어 놓고 집에 왔는데, 다음 날 가 보니 빗자루가 묶여 있었다는 경험담이다.2018년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동에 거주하는 최정백, 남구 원산동에 거주하는 최찬, 광산구 본량동에 거주하는 오성교, 광산구 본량동에
도깨비불
광주광역시에서 전해 오는 도깨비불에 관한 이야기.제보자가 도깨비불을 직접 보았다는 경험담이다. 예전에는 도깨비불이 많이 보였는데, 지금은 안 보인다고 한다.2018년 광주광역시 남구 양과동에 거주하는 제보자 윤정이에게 채록하여 한국구비문학대계에 수록하였다.제보자가 시집와서 집 마루에 앉아 산을 보면 시퍼런
도깨비가 망쳐 놓은 물고기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도깨비에 관한 이야기. 바닷가에서 만난 도깨비가 고기를 달라며 쫓아왔다는 경험담이다. 2018년 3월 23일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동에 거주하는 주민 최정백의 이야기를 채록하였으며, 한국구비문학대계에 수록되었다.제보자 최정백이 전라남도 무안에 살던 총각 시절, 밤에 바
도깨비 정체
광주광역시 여러 곳에서 전해 내려오는 도깨비의 정체에 관한 이야기. 도깨비는 괴이한 재주와 강한 힘으로 사람을 홀리거나 괴롭히기도 하지만, 인간에게 물고기를 몰아 주거나 부자로 만들어 주는 등의 도움을 주기도 한다. 주로 밤에 활동하는 도깨비를 낮에 보면 본래의 정체가 밝혀지는데, 대체로 빗자루 몽둥이나
도깨비 둠벙
광주광역시 광산구 안청동 안청마을의 둠벙에는 도깨비와 관련된 이야기가 전해 내려온다. 물고기가 둠벙에 많이 살아서 마을 사람들이 물을 퍼냈지만, 물고기 한 마리도 잡을 수 없었고, 밤이 되면 주변에 도깨비불이 자주 나타난다는 이야기이다.광주광역시 광산구 안청동 안청마을에 거주하는 제보자 박열규의 이야기를 1
덕석이 떠내려가도 공부만 한 남편
광주광역시 동구 용산동 화산마을에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덕석이 떠내려가도 공부만 한 남편」은 다른 일에 집중하여 덕석이 떠내려가도 그 상황을 알지 못하는 남편에 관한 이야기이다. 2018년 2월 21일 광주광역시 동구 용산동 화산마을에 거주하는 주민 성귀덕[여, 85세]의 이야기를 채록하였으며, 한국구비문학대계
당산나무가 잡은 도둑
광주광역시 남구 칠석동 옻돌마을의 당산나무 덕분에 마을에 들어온 쌀 도둑을 잡은 이야기이다.2003년 광주광역시 남구 칠석동 옻돌마을에서 채록한 이야기를 2004년에 고싸움놀이보존회에서 간행한 『옻돌마을 사람들과 고싸움놀이』에 「당산나무가 잡은 도둑」으로 수록하였다. 어느 마을에 도둑이 들어 쌀가마니를 훔쳐
담뱃대 뺏어간 귀신
광주광역시 북구 생용동 생용마을에서 전해 내려오는 담뱃대를 뺏은 귀신에 관한 이야기.「담뱃대 뺏어간 귀신」은 제보자 최영숙의 아버지가 경험한 귀신에 관한 이야기이다.2018년 1월 30일 광주광역시 북구 생용동 생용마을에 거주하는 주민 최영숙[여, 78세]의 이야기를 채록하였으며, 한국구비문학대계에 수록되었다.최
닭으로 친정아버지 속인 딸
「닭으로 친정아버지 속인 딸」은 딸이 자신의 닭은 하루에 달걀 열 개를 낳는다면서 친정아버지를 속이는 이야기이다. 2018년 3월 23일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대동 송정마을에 거주하는 주민 최옥순[여, 71세]의 이야기를 채록하였으며,  한국구비문학대계에 수록되었다. 어느 날 아버지가 장에 가다가 시집간 딸
달마산
광주광역시 광산구 대산동 가산마을에 있는 달마산은 달리는 말의 형세를 띠고 있다고 붙여진 지명이며, 주변에는 달마산과 관련한 지명이 많이 전해 온다는 이야기이다.광주광역시 광산구 삼도동 신동마을에 거주하는 제보자 임익주의 이야기를 1989년에 채록해서 1990년 발행한 『광주의 전설』에 수록했다. 달마산은 광주
광주 서구 '평생학습도시' 재지정
광주광역시 서구가 교육부 및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 주관한 2주기 평생학습도시 재지정평가에서 또다시 평생학습도시로 지정됐다. 이로써 서구는 2015년 최초 평생학습도시 지정 이후 2026년까지 평생학습도시로서의 지위와 동력을 확보하게 됐다.서구에 따르면 이번 평가는 지난 2020년 1주기 재지정 이후 두 번째 이뤄진
2023 서구 공동체 이락(里樂)페스티벌 안내
예술 공동체 ‘마을(里)’과 함께하는 우리, 새롭게 시작하는 ‘즐거움(樂)’광주광역시 서구는 오는 7일 서빛마루문예회관에서 서구공동체와 함께하는 축제 ‘이(里)락(樂) 페스티벌’을 개최한다고 밝혔다.이번 행사는 ‘마을에서 즐겁게’ 주제로 마을공동체, 마을활동가, 주민 등이 참여해 주민들 간 소통‧화합과 마을공동체 성
걷기 좋은 소통테마길 조성 사업 -마스터플랜 수립 주민설명회
광주광역시 서구는 「걷기 좋은 소통테마길 조성사업」 마스터플랜 수립 용역 주민설명회를 진행한다고 밝혔다.소통테마길 마스터 플랜 수립 대상 구간이 속한 동 주민들에게 직접 본 사업에 대해 설명하고,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들어 마스터플랜 수립에 참고하고자 한다.10월 25일(수) 오후 2시부터 화정3동 행복센터 2층
억새길 따라 열린 ‘제13회 빛고을문예백일장’ 시상식 가져
서창억새축제에서 백일장에 참가하셨나요?이날 열린 백일장에서 일반부 대상(광주서구청장상)에 김혜윤 씨(금호동)의 ‘오빠의 탯줄’이, 청소년부 대상(광주시교육감상)에 세품기독학교 6년 장유나 학생의 ‘가을이 온다’가 각각 차지했다. 또 별도로 공모전을 통해 사전 접수한 서구마을이야기 부문은 정소진 씨(방림동)의 ‘
여섯 극단과 함께 찾아온 "제9회 광주시민연극제"
“여보 할망구들, 이번엔 저~~기 영감탱이 좀 벗겨볼까. 정력에 좋다고 하면 뭐든 씹어먹을 것 같은데.”“맞아, 맞아. 듣자하니 필리핀에 꽤나 돈 좀 벌어왔다는디. 한약재로 완전히 벗겨불세.”제9회 광주시민연극제 개막작인 극단 정거장의 ‘강물에 글 쓰고 바람에 색칠하니’에서 4명의 할머니가 개나리상담소에서 다른 할아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