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599건)

광산이씨의 손(孫)을 지킨 종
광주광역시 서구 서창동 절골마을에서 전해 내려오는 광산이씨 일가에 관한 이야기. '광산이씨의 손(孫)을 지킨 종'은 광산이씨(光山李氏) 집안에서 살아남은 아이와 아이를 지켰던 종에 관한 이야기이다.  2018년 3월 6일 광주광역시 서구 서창동 절골마을에 거주하는 주민 이우춘[여, 80세]의 이야기를 채록하였으며,
곳간에 도로 넣은 업구렁이
광주광역시 광산구 본량동 평촌마을에서 전해 내려오는 업구렁이에 관한 이야기. 광주광역시 광산구 평촌마을에서 전해 내려오는 업구렁이와 집주인에 관한 이야기이다.2018년 4월 27일 광주광역시 광산구 본량동 평촌마을에 거주하는 주민 정선자[여, 77세]의 이야기를 채록하였으며,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주관하는 한국구
고봉 기대승 선생의 산소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산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고봉 기대승에 관한 이야기. 고봉(高峰) 기대승(奇大升)[1527~1572]이 자기가 묻힐 묏자리를 스스로 정했는데, 풍수설에 따라서 기대승의 후손이 끊겼다는 이야기이다. 1989년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산동에 거주하는 기세옥의 이야기를 채록하였으며, 1990년 광주직할
고목나무 속의 구렁이업
광주광역시 서구 덕흥동 덕흥마을에서 전해 내려오는 구렁이업에 관한 이야기. '고목나무 속의 구렁이업'은 구렁이업으로 우환을 당한 본량댁에 대한 이야기이다. 2018년 3월 6일 광주광역시 서구 덕흥동 덕흥마을에 거주하는 주민 최현섭(남, 84세)의 이야기를 채록하였으며,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주관하는 한국구비문학대
고려장과 지게
광주광역시 북구 생용동 생용마을에서 전해 내려오는 고려장에 관한 이야기. '고려장과 지게'는 고려장(高麗葬)을 이행하려는 아버지와 아들에 관한 이야기이다. 2018년 1월 30일 광주광역시 북구 생용동 생용마을 마을회관에서 주민 이맹순(여, 80세)의 이야기를 채록하였으며,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주관하는 한국구
경양방죽에서 고기 잡다
광주광역시 동구 용산동 화산마을에서 전해 내려오는 경양방죽에 관한 경험담. '경양방죽에서 고기 잡다'는 당시 경양방죽의 모습과 고기를 잡고 놀았다는 이야기이다.2018년 2월 21일 광주광역시 동구 용산동 화산마을 경로당에서 주민 최복연(남, 87세)의 이야기를 채록하였으며, 한국학중앙연구소에서 주관하는 한국구비
견훤과 생용마을
광주광역시 북구 생용동 생용마을에 전해 내려오는 마을 이름의 유래와 견훤에 관한 이야기. '견훤과 생용마을'은 생용마을에 태어난 후백제의 견훤(甄萱)[재위 892~935]과 관련된 지명의 유래에 관한 이야기이다.2018년 1월 30일 광주광역시 북구 생용동 생용마을에 거주하는 주민 범희인(남, 82세)의 이야기를 채록하였다,
갱피 훑는 부인
[정의] 광주광역시 남구 지산마을에 전해 내려오는 강피를 훑어 밥을 지었던 부인과 남편에 대한 이야기.[개설] 「갱피 훑는 부인」은 가난한 선비와 강피를 모아 밥을 지었던 부인에 관한 이야기이다. [채록/수집 상황] 2018년 4월 12일 광주광역시 남구 양과동 지산마을에 거주하는 주민 윤정이[여, 82세]의 이야기를 채록
갈처사가 쓴 풍영정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창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풍영정의 유래에 관한 이야기.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창동에 있는 풍영정(風詠亭) 이름의 유래와 현판 글씨에 대한 이야기이다. 풍영정 현판의 글씨체가 다른 이유와 임진왜란 때 불에 탈 뻔하였으나 현판 글씨가 오리로 변해서 화재를 막았다는 이야기이다. [채록/수집 상황] 198
가장살과 처녀 무덤
광주광역시 효령동 종방마을에서 전해 내려오는 가장살과 처녀귀신에 관한 이야기. '가장살과 처녀 무덤'은 효령동 종방마을에 있는 가장살에 관한 지명설화와 처녀귀신을 달래는 방법에 관한 이야기이다.[채록/수집 상황] 2018년 1월 30일 광주광역시 북구 효령동 종방마을에 거주하는 주민 기봉주[남, 76세]의 이야기를 채
가문을 일으킨 이천서씨 부인
광주광역시 서구 서창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눌재 박상과 어머니에 관한 이야기.  눌재(訥齋) 박상(朴祥)[1474~1530]이 태어날 수 있었던 배경과 박상의 강직함에 관한 이야기이다. 박상의 어머니는 18세에 처녀로 50세인 박상의 아버지와 혼인하여 박상을 낳았다. 박상의 어머니인 이천서씨(利川徐氏) 부인의 혜안 덕
광주의 설화
광주광역시에서 옛날부터 입으로 전해 내려오는 일정한 서사 구조를 지닌 이야기. 1. 설화의 정의  설화는 입으로 전해 오는 이야기이다. 그러나 입으로 전해 오는 모든 이야기가 설화는 아니다. 일상의 신변잡기, 역사적 사실이나 현재적 사실을 입으로 전하는 이야기는 설화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다. 설화는
광주 서구, 이야기 있는 마을길로 관광자원화
광주광역시 서구(구청장 김이강)가 도시재생 사업지 내에 권역별 특색을 반영한 이야기를 입혀 관광자원화에 나선다. 서구는 17일‘도시재생사업 스토리텔링길 발굴 용역’착수 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김이강 서구청장 주재로 열린 이날 보고회는 관련 부서장과 동장 등이 참여한&nbs
서구 마을 컨셉(BI)과 의미
광주광역시 서구 마을 컨셉(BI)과 의미
서석산 신지위비(瑞石山 神之位牌) 또는 서석산(瑞石山) 신단
서석산 신지위비(瑞石山 神之位牌)는 광주광역시 동구 지산동 722-27 약사사 藥師寺(약사암)에 있는 비석으로 조선말~근대 시기로 추정된다. 언제 세워졌는지는 알 수 없다. 산신각 대신 세워진 것으로 보이며 산신이 일반 중생들을 돌보듯 불교신앙이 민속신앙과 습합되어 산신과 소통하는 것을 보여준다.증심사와 약
박강수 묘지(朴康壽墓誌)
박강수 묘지朴康壽墓誌는 고려 중기의 무신이었던 박강수(朴康壽, 1115-1200)의 생애와 행적을 기록한 지석이다. 제작 연대는 1200년(신종 3)이다. 묘지는 피장자의 생애와 행장을 새겨 무덤 가운데 남기는 글로, 지誌와 명銘이 함께 기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박강수 묘지는 박강수의 행장과 명을 기록한 것으로, 그 내용
제108회 서구 아카데미 「미래사회의 리더십 - 피드백과 관계주의」 개최 안내
광주광역시 서구는 제108회 서구 아카데미에 김경일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를 초청하여 「미래사회의 리더십 - 피드백과 관계주의」라는 주제로 강연을 마련하였다.새로운 세대와의 소통, 기존 세대와의 협응에 필요한 '피드백 시스템' 과 한국인만의 독특한 문화인 '관계주의'에 대해 이
광주비엔날레, 학교예술강사 연계 프로젝트 검토키로
광주비엔날레 30년을 맞은 2024 광주비엔날레 때 광주지역 250여 예술인들이 270개 초중고의 학생들과 일선 학교에서 비엔날레 협업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5일 광주비엔날레 박양우 대표이사와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정인서 원장은 광주비엔날레 대표이사실에서 만나 ‘2024 광주지역 학교예술강사와
서구 청년 여러분~ 청년 문화학교 '문화의 신(新)' 참여자를 모집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는 청년문화학교 ‘문화의 新’ 참여자를 모집한다.교육기간은 7월 6일부터 10월 5일까지이며 교육장소는 서구청 들불홀, 서빛마루문예회관, 억새축제장 등이다.문화기획에 관심있는 청년(서구 거주 또는 활동중인 청년 만19세~39세 우선선발) 30명 내외로 선발한다. 이론교육 3주, 기획실습 4주, 선진지견학,
제20회 전국애송시낭송대회 대상 김윤선(광주) 수상
정일근 시인의 ‘날아오르는 산’을 낭송한 광주의 김윤선씨가 제20회 전국애송시낭송대회에서 대상의 영예를 안았다.23일 빛고을국악전수관에서 광주광역시 서구청,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이 주최·주관하고 한국문화원연합회, 광주광역시 문인협회가 후원하는 제20회 전국애송시낭송대회는 100여명이 접수하여 예선심사를 거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