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143건)

최상현
일농(一聾) 최상현(崔相鉉, 1881~1945)은 광주 최부자로 알려진 최명구(1860~1924)의 장남이다. 일제강점기 때 언론에서는 최상현은 좋은 인물로, 때로는 악덕지주로 보도하기도 해 인물에 대한 평가는 전문 역사가들의 몫으로 남겨둔다.1924년 최명구가 세상을 떠나자 장남&n
금곡동-불당재
불당-재(佛堂一) 【고개】 서름 남쪽에서 화순읍으로 가는 고개이다. 불당이 있었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화순-규봉암奎峰庵
규봉암奎峰庵 : 광주 지한면(池漢面)의 장복리(長福里)에 있다. 현 전남 화순군 이서면 영평리이다. 규봉암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학동-학동삼거리
학동-삼거리 【길】 학동 2구에서 운림동 증심사와 화순군으로 가는 세 갈림길-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이지호 李贄鎬
이지호(李贄鎬, 1836~1892)는  광주 이씨, 자는 동현(東賢), 호는 지남(芝南)으로 광산(光山)에서 태어났다.  청심당(淸心堂) 이조원(李調元)의 후손이다. 아들 이승우(李承愚, 1855~1919)는 화순 출신으로, 일신재(日新齋) 정의림(鄭義林)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서양 오랑캐에 대응하여 자주적인 사상
지남정사
광주 지남정사(芝南精舍)는 조선 후기의 학자 이지호(李贄鎬, 1836~1892)가 지어 학문을 탐구하고 연구하며 지냈던 곳이다. 이지호는  광주 이씨, 자는 동현(東賢), 호는 지남(芝南)으로 광산(光山)에서 태어났다.중국을 존중하고 서양오랑캐를 물리친다는 존왕양이론(尊王攘夷論)의 최익현(崔益鉉), 이항로(李恒老),
조양대 朝陽臺
광산구 박호동 산131-1 송천 양응정(1519∼1581)은 1519년 화순군 능주 월곡리에서 태어났다. 부친 앵팽손이 을사사화에 연좌되어 화순 중조산 아래 쌍봉리에 학포당學圃堂을 짓고 은둔하였을 때 조양대朝陽臺에서 수학했다. 조양(朝陽)은 아침해가 뜨는 동산으로, 오동나무가 이곳에서 자라 봉황새가 산다고 한다. 시경(詩經
선교동-너릿재
너릿-재(판치, 널재, 너리재) 【고개】 교동 남쪽에서 화순군 화순읍으로 가는 큰 고개이다. 늘어진 것처럼 밋밋하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임류정 臨流亭
광산구 박호동 480-8 임류정은 조선 전기 유학자인 송천 양응정(1519~1581)이 조양대와 함께 지은 누정이다. 화순군 도곡면 월곡리에서 태어났다. 교리 양팽손梁彭孫의 아들이며 동래부사를 역임한 양응태梁應台의 동생이다. 그는 처가가 있는 박호마을로 거처를 옮겼다.현재 누정은 임류정중수기에 따르면 1994년에 보
월파장서루 月坡藏書樓
광산구 서봉동월파장서루는 화정(花汀) 박원국(朴源國)이 지었으나 지금은 사라지고 없다. 노사 기정진이 쓴 기문이 전하고 있어 조선말 서양세력의 침략기에 지어진 정자로 보인다. 《광주읍지》(1879, 1924)에서는 주의 서쪽 36리에 있다. 승정원 일기 고종 14년 정축(1877)  8월 21일에 보면 조선시대에도 불우이웃
영추재 永追齋
주의 서쪽 40리   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서쪽 40리에 있다. 광산구 동곡동에 있었으나 지금은 없다.화순군 동곡면 하산리 매상마을에 살던 김중배金重培가 이를 건립한 것으로 전해진다. 1893년 알성시 병과(丙科)에 등과한 오학선吳鶴善(1853~?)이 쓴 기문과 현와弦窩 고광선高光善(1855-1934)의 상량문이
영귀정 永歸亭
남구 사직동   <광주1백년>의 저자 박선홍은 남구 사직공원 정상 부근에 정자가 있었다고 한다. 그 정자는 사직단 옆에 있는  영귀정永歸亭을 말한다. 같은 이름의 영귀정이 가까운 곳에는 화순군 춘양면 회송리 칠성마을에 있고 옥과 영귀정은 송강 절철이 '玉果永歸亭題詠'이라는 시를
서헌정사 瑞軒精舍
북구 생룡동   북구 생룡동에 태어나 향촌의 정신적 지주로 서헌瑞軒 범윤기范潤奇(1850~1923)가 만년에 지은 서헌정사가 있었으나 지금은 사라졌다. 그는 자가 찬도贊道이다. 그의 부친은 심재心齋 범재준范再駿(1822~1857), 자는 인헌仁憲이며 심재유고(心齋遺稿)가 있다.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로 경학과 성
삼괴정 三愧亭
북구 금곡동 산17-5 북구 무등산으로 가는 길에 충장사에서 광주호 방면에 금곡동이 나온다. 금곡동 입구 삼거리 길에서 소쇄원으로 가는 도로 옆 하천변 윗골(金감마을)의 꾀꼬리 당산나무가 있는 곳에 삼괴정이라는 정자가 하나 있다. 삼괴정은 1900년 괴암槐庵 문병일文炳日(1877~1948)이 부친 삼괴三愧 문유식文愉植의
분수원 分手院 누각
동구 학동 무등산 앞 분수원은 지금의 동구 학동 일대로 보이는 남문 밖에 있었다. 동구 원지교 일대로 오늘날 학동에 속하는 원머리마을은 아주 오래전 분수원 역원이었다. 즉 관리들의 주막이었다. 이곳에는 먼 길을 떠나는 나그네들의 휴식 공간의 물길이 있었고 그 변에 반드시 누각이 있었다.좀 더 동쪽으로 난 길을
봉생정 鳳笙亭
동구 충장로 2가   광주읍성 내 황화루 동쪽 지금의 동구 충장로2가에 있었다는 봉생정, 1760년에 편찬한 《여지도서輿地圖書》에 금폐今廢라 했고 《광주읍지》(1879, 1924)에도 지금은 없어졌다고 했다.황화루의 동쪽에 있던 누정인 봉생정은 《동국여지지》에는 나오지만 《여지도서》에는 ‘지금 없어졌다’고 한
백암 白菴
북구 하백로29번길 24 (매곡동)   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북쪽 10리 거리에 김기현이 건립하였다. 후석 오준선의 기문이 있다. 이 기문에 백암은 서석산 북쪽의 연화봉 아래 있다고 하였다. 김기현은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화순 동복에 거주한 농재 김곤변의 8세손 김윤겸金潤謙의 아들이다김기현이 작고한
무등산석실
화순군 이서면 영평리 산96   나옹선사(1320~1376)는 1340년 허망하게 요절한 친구의 죽음에 무상함을 느끼고 그길로 공덕산 묘적암에서 요연선사에게 출가한다. 1344년에는 회암사에서 큰 깨달음을 얻게 되면서 원나라에 가서 연경의 법원사에 머물며 4년여를 지공에게 수학하였다구월산ㆍ용문산ㆍ원적산ㆍ금강산 등
도담정사 陶潭精舍
동구 지산동   동쪽으로 5리에 있으며 구단舊丹 사동砂洞 서암瑞岩 조병훈趙秉勳이 지어 지냈던 곳으로 《조선환여승람(1935)》에 전하고 있다. 화순 능주 광덕리 출신 방은(芳隱) 임호응(林鎬應, 1870~?) 등이 다녀가며 시를 남겼다고 전한다. 임석주(林碩周)의 아들로 어려서부터 나주의 신 모에게서 수업을
규봉암 누각
규봉암(圭峯菴) 누각은 문루 겸 종각이다. 무등산 중턱에 있는 규봉암은 조선 전기 세종, 문종, 단종 때의 문신으로 문장으로 이름이 높았던 영의정에 추증된 습재(習齋) 권극화(權克和)의 서석규봉기(瑞石圭峯記) 에 따르면 신라시대 의상대상(義湘大師)가 지었다고 한다. 현재 무등산 소재 사찰 중에서 가장 높은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