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88건)

우산정사 牛山精舍
북구 효령동 산102   효령동 종방마을 입구 도로변을 따라 향리 송은松隱 기정륜奇梃崙(1663~1740)이 학문을 가르치던 우산정사가 있다. 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북쪽 30리에 있다. 이 정사는 뒷편에 존성재라는 별도의 재각이 있는 것으로 보아 정자로 여겨진다. 이곳은 강학이나 종친 모임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외성당 畏省堂
광산구 안청동 495번지 외성당은 안촌安村 박광후朴光後(1637~1678)가 거처한 서실이다. 《광주읍지》(1879, 1924)에 따르면 주의 북쪽 30리에 있다. 박광후의 스승 우암 송시열이 쓴 ‘외성당’이라는 글씨가 현액되었으나 지금은 없다. 1930년대에 철거된 후 텃 자리에는 새 건물이 들어서 있다. 이곳은 후에 아들 소은素隱
영사재1 永思齋 /오효석
광산구 명곡길 170-30   영사재는 1673년 생로당 오효석(1620∼1697)이 정치적 뜻을 펼치지 못하는 한을 후학으로 가르쳤던 곳이다. 영사재는 장사재와 함께 광산구 대명동 명곡마을 뒤쪽 산기슭에 있다. 명곡마을 입구를 지나 크고 작은 제방 끝 산 아래에 대명사와 영사재가 있다. 이곳은 골짜기가 길어 장탄長灘이
양암정 羊巖亭
광산구 산막동 (어등산 북쪽)   양암洋巖 최형崔衡(1663~ ?)이 지냈던 곳으로 광산구 어등산의 북쪽 황룡강 위에 있었던 정자이다. 조선지지자료(1910)에는 광산구 산막동이라 했다.호남인물지(湖南人物志)에는 최형(崔衡)의 자는 평숙(平叔)이요 호는 양암(羊岩)이다. 본관은 수원(水原)이다. 그는 우암 송시
연로정 延老亭
박상현은  광산구 진곡동에 1667년(헌종8) 39세 때 연노정(延老亭)을 짓고 우헌(寓軒)이라 자호하고 고요함에 만족하였다. 그는 경전에 널리 통하였으며 특히 대학에 밝았으며 주희(朱熹)의 학문을 근본으로 삼았다.   사헌부장령으로 추증됐던 우헌寓軒) 박상현朴尙玄(1629~1693)은 본관은 순천(順天).
양과정 良苽亭 양과동정
남구 이장동 266   《광주읍지》(1879, 1924)에는 양과정이 주의 서남쪽 20리에 있다. 일명 간원대諫院臺이다. 이 지역 출신 인물들이 간관諫官으로 많이 진출하여 국사를 논하였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다. 고경명의 별장이라고 한다. 현재의 건물은 1600년대 중반께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편액 '良苽洞亭'이라는
소빈헌 笑嚬軒
동구 금남로1가   지금의 민주의 종각 옆 건물 상무관 주변에 소빈헌과 함께 관누정 중 월소루가 있었다. 광주읍지(1879, 1924)에는 객사의 동쪽에 있는 하모당 서쪽 10보의 지점에 소빈헌이 있다. 바로 옆 건물인 셈이다. 광주목사로 부임한 한성우(1633~1710)가 광주 동헌 하모당 서쪽에 지었다. 목사 한성우는 170
선암역仙岩驛 누각
광산구 선암동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1530) 제35권 광산현光山縣 편에 광주 주변의 역으로 선암역은 현의 서쪽 40리에 있다. 《광주읍지》(1879, 1924)에도 주의 서쪽 40리에 있는 데 또한 관원 전용 주막인 원院이 있다고 했다. 이곳은 유배자들도 쉬어 자는 곳이었다. 1750년대 초반에 제작된 해동지
서헌정사 瑞軒精舍
북구 생룡동   북구 생룡동에 태어나 향촌의 정신적 지주로 서헌瑞軒 범윤기范潤奇(1850~1923)가 만년에 지은 서헌정사가 있었으나 지금은 사라졌다. 그는 자가 찬도贊道이다. 그의 부친은 심재心齋 범재준范再駿(1822~1857), 자는 인헌仁憲이며 심재유고(心齋遺稿)가 있다.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로 경학과 성
백야당 白野堂
광산구 진곡동   《광주읍지》(1879, 1924)에 따르면 주의 북쪽 30리에 있다. 정랑 백야당 박광원(朴光元, 1659∼1741)은 광산구 진곡에 살던 우헌 박상현의 둘째아들로 박광일의 아우이자, 박광선의 형이다. 1699년 기묘증광사마시己卯增廣司馬試에 생원 1등으로 합격하여 벼슬이 형조정랑刑曹正郞, 의금부도사義禁府
만오정(晩悟亭)2 -임리정
광산구 산월동   북구 용두동 거진마을에 거주하는 최희순(崔喜順)이 거처한 공간이다. 원래 임리정(臨履亭)은 광산구 산월동 월봉마을 입구의 안산 정상에 있었다. 정자 주인 최희순이 읊은 임리정 원운(原韻)의 시이다.임리정 높은 곳에 저자 티끌 끊어지니서식(棲息)한 이내 몸이 한없이 새롭도다.오동(梧桐)의 밝
만경당 晩警堂
남구 압촌동 만경당晩警堂 고두경高斗經(1619~1690)은 남구 압촌동 출신으로 그의 서재나 정자가 이곳에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자는 처중(處中). 호는 만경당(晩警堂) 또는 황탄거사(黃灘居士)이다. 참의參議를 지낸 고성후高成厚의 후손이며 병자호란 때, 의병과 군량을 모아 청병과 대적하려 했던 탄음(灘陰) 고부민(高傅
월봉서원 / 月峯書院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산동 452(광곡길 133)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있는 조선 전기 기대승을 추모하기 위해 1578년 창건한 서원. 교육시설로 호남정신문화의 산실로 일컫고 있다. 기대승(奇大升), 박상(朴祥), 박순(朴淳), 김장생(金長生), 김집(金集)등 조선 명신들을 배향하고 있다.1578년(선조 11)에 김계휘(金繼輝)를 중심
대명사 / 大明祠
광주광역시 광산구 명도동 가마마을송시열(宋時烈) 오효석(吳孝錫)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는 사우1963년 창건연혁 1963년 지역유림의 뜻을 모아 건립(나주 오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사당 : 정면 4칸, 측면 2칸, 팔작지붕향사인물송시열(宋時烈, 1607~1689) 본관-은진(恩津) 자-영보(英甫) 호-우암(尤菴)·우재(尤齋)오
광주향교 / 光州鄕校
광주광역시 남구 중앙로107번길 5(구동 22-3 광주공원 내)에 있으며 광주유형문화재 제9호(1985년 2월 25일)이다.1398년(태조 7)에 서석산(瑞石山) 아래 창건1488년(성종 19) 현감 권수평(權守平)이 현재 위치로 이건정유재란 때 소실1974년 대성전 보수 및 단청1976년 동·서재 수리1978년 명륜당1981년 담장 및 외관수리 광
고한주(高漢柱)
고한주(1871~1959)의 본관은 장흥이다. 자는 방서(邦瑞)이고 호는 외당(畏堂)이다. 주요 거주지는 광주 장산리였다.부 : 高濟寅조 : 高亨鎭증조 : 高時瑾외조 : 鄭燦默처부1 : 忠州 朴源佑고한주는 1894년 장성 西二面의 유생 奇宇冕 朴義容 등과 함께 召募使에게 東學에 가담하지 않았음을 증명하는 소지를 올렸다.간재艮齋
대명사
광산구 명도동 가마마을 1963년 나주오씨문중 영사재 그 뒤편 높은 곳 대명사는 1963년 이 마을의 유림들이 조선 중기의 문신 생로당 오효석(生老堂 吳孝錫)과 그와 각별한 사이였던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유덕(遺德)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곳에 자리하고 있었다. 난와(難窩) 오광
유애서원 묘정비
광주시 광산구 용아로 460(경장각)유애서원은 광산구 흑석사거리 부근에 1754년 시정 유애사로 건립되어 대원군의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2005년 유애서원으로 복원하여 성균관에 등록하였다. 광주 유림들의 주관으로 매년 (음)2월 20일 문정공 석탄 이신의 선생의 춘향제를 봉행하고 있다. 석탄石灘 이신의李愼儀(1551~16
사암박순선생신도비명
광주시 광산구박순(1523∼1589)의 신도비인 思庵朴淳先生神道碑銘은 우암 송시열이 지었다고 하는 데 위치를 알 수 없었다. 그동안 기록 착오로 경기도 포천 옥병서원 앞에 있는 것을 광산으로 착각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박순은 후손이 없자 양자를 들이지 않고 외동딸이 시집(군수 이희간에게 출가)간 포천에서 은거하
해광송선생지천
광주시 북구 무등로 1040(화암동)이 해광송선생지천(海狂 宋先生支阡)은  《송자대전》과 《해광집》에는 海狂處士宋公墓表로 기록되었고, 이 해광송선생지천은 석곡수원지 위 관광도로 동쪽에 있던 묘비를 옮겼다.호남에는 옛날부터 으뜸가고 위대하며 어질고 뛰어난 선비들이 많았지만 그중에서도 세상을 잘못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