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명유형: 향소부곡존속시기: 936~1391출전: 『신증동국여지승람』권35, 전라도 광산현문헌(원문): 良苽部曲 在縣西十五里 慶旨部曲 在縣西三十里 碧津部曲 在縣西二十里문헌(번역문): 양고부곡(良苽部曲) 현의 서쪽 15리에 있다. 경지부곡(慶旨部曲) 현의 서쪽 30리에 있다. 벽진부곡(碧津部曲) 현의 서쪽 20리에 있
지명유형: 향소부곡존속시기: 936~1391출전: 『신증동국여지승람』권35, 전라도 광산현문헌(원문): 良苽部曲 在縣西十五里 慶旨部曲 在縣西三十里 碧津部曲 在縣西二十里문헌(번역문): 양고부곡(良苽部曲) 현의 서쪽 15리에 있다. 경지부곡(慶旨部曲) 현의 서쪽 30리에 있다. 벽진부곡(碧津部曲) 현의 서쪽 20리에 있
지명유형: 향소부곡존속시기: 936~1391출전: 『세종실록』지리지, 권151, 전라도 나주목문헌(원문): 鄕二 從義 孫利 所一 水墮【一名橫山】部曲六 居平 任城 群山 極浦 金磨 平丘문헌(번역문): 종남향(從南鄕) 옛날에는 종의향(從義鄕)이라 불렀다. 주의 남쪽 50리에 있다. 손리향(孫利鄕)주의 북쪽 30리에 있다. 옛날에는
지명유형: 군현존속시기: 903~1391출전: 『고려사』지리지, 지리2, 전라도문헌(원문):伏龍縣本百 濟伏龍縣【一云盃龍】新羅景德王, 改名龍山 爲武州領縣 高麗 復古名 來屬문헌(번역문):복룡현(伏龍縣)은 본래 백제의 복룡현(伏龍縣)【배룡(盃龍)이라고도 함】으로, 신라 경덕왕(景德王) 때 이름을 용산(龍
지명유형: 군현존속시기: 903~1391출전: 『고려사』지리지, 지리2, 전라도문헌(원문): 餘艎縣本百濟水川縣【一云水入伊】新羅景德王 改今名 來屬 高麗 仍屬문헌(번역문): 여황현(餘艎縣)은 본래 백제의 수천현(水川縣)【수입이(水入伊)라고도 한다.】으로, 신라 경덕왕(景德王) 때 지금 이름으로 고치고, <나주목>에
지명유형: 군현존속시기: 538~756출전: 『삼국사기』지리지, 지리3, 신라문헌(원문): 艅艎縣 本百濟水川縣 景德王改名 今因之문헌(번역문): 여황현(艅艎縣)은 본래 백제의 수천현(水川縣)이었는데, 경덕왕(景德王)이 이름을 고쳤다. 지금까지 그대로 따른다.현위치:현재 지산동. 광주광역시 광산구 지산동에 위치.(역사지도
지명유형: 군현존속시기: 538~756출전: 『삼국사기』지리지, 지리3, 신라문헌(원문): 龍山縣 本百濟伏龍縣 景德王改名 今復故문헌(번역문): 용산현(龍山縣)은 본래 백제의 복룡현(伏龍縣)이었는데, 경덕왕(景徳王)이 이름을 고쳤다. 지금은 옛이름으로 회복되었다.--------------------------------------------------------
지명유형: 군현존속시기: 757~935출전: 『삼국사기』지리지, 지리3, 신라문헌(원문): 龍山縣 本百濟伏龍縣 景德王改名 今復故문헌(번역문): 용산현(龍山縣)은 본래 백제의 복룡현(伏龍縣)이었는데, 경덕왕(景徳王)이 이름을 고쳤다. 지금은 옛이름으로 회복되었다.현위치: 현재 광주 용곡동 복룡현 관아지. 전라남도 광주광
지명유형: 군현존속시기: 671~685출전: 『삼국사기』본기, 권8, 신라본기문헌(원문): 發羅州爲郡 武珍郡爲州문헌(번역문): 발라주(發羅州)를 군으로 하고, 무진군(武珍郡)을 주로 하였다.현위치: 현재 광주읍성유허. 광주광역시 동구 광산동에 위치.(역사지도 : 75)(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23)광주·전남지역 역사지명 문헌
지명유형: 군현존속시기: 757~935출전: 『삼국사기』지리지, 지리3, 신라문헌(원문): 艅艎縣 本百濟水川縣 景德王改名 今因之문헌(번역문): 여황현(艅艎縣)은 본래 백제의 수천현(水川縣)이었는데, 경덕왕(景徳王)이 이름을 고쳤다. 지금까지 그대로 따른다.현위치: 현재 지산동으로 유력하게 추정됨. 광주광역시 광산구 지
청소년의 감각과 개성으로 표현한 작품을 광주비엔날레 거시기홀에 채운다.광주 서구문화원은 오는 9일부터 10월 18일까지 광주비엔날레를 관람한 청소년들이 자기만의 창의성으로 참여하는 ‘나의 洞시대 광주오페라’ 전시공모전을 개최한다. 이번 공모전은 30주년을 맞은 제15회 광주비엔날레 협력프로그램의 하나로 ‘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