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599건)

조언수-창녕조씨삼강정려각
 광주시 광산구 용진로 219(북산동 450)1887년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8호창녕조씨삼강정려각(昌寧曺氏三綱旌閭閣)은 창녕조씨 일가 4대의 충, 효, 열의 행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려이다.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동한 조언수의 충, 그의 손자 조순악과 증손자 조후건의 효, 며느리 문화유씨
전상의-충민공 전상의 신도비
광주시 북구 무등로 1050 충민사 內(화암동)1972년전상의신도비(全尙毅神道碑)는 충민사에 있다. 구성부사 증자헌대부 병조판서 시충민 전공 신도비(龜城府使 贈資憲大夫 兵曹判書 諡忠愍 全公 神道碑)라 한다. 비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1627(정묘)년에 건노(建虜, 후금국)가 반적(反賊) 강홍립(姜弘立)을 앞세워 쳐들어올
장렬사유적비
광주시 북구 효령동 636(우곡마을)1957년장렬사유적비(壯烈祠遺蹟碑)는 광주광역시 북구 효령동 우곡마을 입구 대로변에 있다. 金亨在 짓고 具哲祐 쓰다이 비는 1957년 광주광역시 북구 효령동 우곡마을 입구 큰길가에 세워 놓은 유적비이다. 장렬사는 1868년 서원 철폐령에 따라 훼철되었다가 1906년 유림들에 의해 현재의
성재최공홍진공적비
광주광역시 남구 양과동 1237-11963년이 성재최공홍진공적비(省齋崔公鴻鎭功績碑)는 1963년 계묘년에 양과제유지계원들이 건립했다. 대촌 양과동에서 포충사로 들어가는 큰길의 공예창작촌 입구 옆에 경운 박재룡비와 함께 세워져있다.공적의 내용은 주로 양과 저수지 축조에 공적을 세운 내용으로 되어 있다. 원문은
관찰사윤공웅렬선정비
광주광역시 남구 중앙로107번길 15 (광주공원內)1898년이 관찰사윤공웅렬선정비(觀察使尹公雄烈善政碑)는 광주공원 비석군에 있다. 비의 양 옆면에는 다음과 같은 글귀가 있다.維公喬木世華  氷O淸操  哭O設府 毁尿咸O  革二O染   一省OO十里湖山 人皆自得 召棠冠栢 百世匹休 豊功盛德 書難盡辭
경렬사유허비
광주광역시 북구 망월동 산 176번지1893년이 경렬사유허비(景烈祠遺墟碑)는 망월동에 있는 경렬사에 있다. 사당에는 고려 말의 무신 정지(鄭地)장군을 비롯하여 정충신, 유사, 고중영 등 8현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그 안에 1893년 행주인 奇宇萬  선생이 쓴 경렬사유허비가  옛 사지에서 1979년 경열사 경내로
광주문화재단, 정율성성악콩쿠르 참가 인재 찾아요
광주 출신의 세계적인 작곡가 정율성을 기리는 2018정율성음악축제 ‘광주성악콩쿠르’가 열린다.지난 2012년부터 정율성축제의 하나로 추진돼온 광주성악콩쿠르는 정상급 성악가들의 불꽃 튀는 경연으로 국내 신진 성악인들의 등용문 역할을 해왔다.올해 열리는 제11회 광주성악콩쿠르는 광주시 주최, 광주문화재단과 광주시
학산사(鶴山祠)
학산사(鶴山祠)는 서구 서창동 불암마을에 있는 의병장 김세근(金世斤)을 모신 사당이다.1958년 지역 유림들이 뜻을 모아 김세근의 충의정신을 기리고 그의 넋을 추모하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경내에는 사우인 학산사와 경의당, 학산사 묘정비 등이 세워져 있으며 해마다 음력 3월 22일에 춘향제를 지낸다.향사 인물
박선정 전 광주문화재단 사무처장 별세
박선정 전 광주문화재단 사무처장, 전 광주광역시 시의원이 5월 30일 별세했다. 향년 61세.박선정 전 처장은 전남대 사회학과와 행정대학원을 졸업했다. 1980년 4월 전남대 인문사회 대 학생회장으로 당선, 민주화운동의 대열 속에 있다가 5월 17일 밤 예비검속된 후 구속되었다. 학교에서 제적당하고 1982년부터 문화운동
‘싸목싸목 묵고가所’, ‘오매광주’ 등 광주관광리플릿 배포 눈길
최근 자유여행객이 늘어나는 추세에 맞춰 광주시의 이색숙소를 안내한 ‘싸목싸목 묵고가所’가 발간되어 눈길을 끈다. 특히 광주관광정보 리플릿 ‘오매광주’를 비롯해 ‘렛츠고광주’, ‘그래 이 맛이다’ 등도 광주를 찾는 관광객들에게 유용한 팁을 제공하고 있다.리플릿 형태로 제작된 ‘싸목싸목 묵고가所’는 광주의 대체숙박
중앙공원 비행장 동굴
서구 화정동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회관 뒤편중앙공원에 동굴이 있다는 것을 이 일대 거주하는 주민들을 제외하면 아는 시민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설령 동굴의 존재를 알고 있다 하더라도 그 용도에 대해서 정확하게 인식하는 주민들은 더더욱 많지 않지요. 이 일대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회관과 광주광역시 청소년수련원,
옥녀봉과 김덕령 장군의 사랑
풍암지구를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는 금당산金塘山은 해발 304m로 옥녀봉과 황새봉을 거느리고 있지요. 금당산에서는 일찍부터 옥녀봉과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인 충장공忠壯公 김덕령金德齡(1567∼1596) 장군 사이에 얽힌 설화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먼저 옥녀봉을 알면 이 이야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지요. 풍암지구가
두꺼비의 보은
이 설화는 보통 두꺼비가 소녀에게 입은 은혜를 갚기 위해 지네를 죽이고, 제물로 바쳐진 소녀를 구하는 내용입니다. 이 지역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설화는 조금 다르게 어머니와 딸이 등장하지만 대체적으로 한 소녀와 홀아비 장님 아비가 등장하지요. 옛날 무등산 계곡 어느 조그만 마을에 어머니와 딸, 단 두 식구만이 가
정충신-거지 사행(使行) 2천리
조선 중기의 무신이자 광주 지역 아전이었던 충무공 정충신鄭忠信(1576∼1636)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목사 권율權慄 장군의 휘하에 들어갔습니다. 그런데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정충신은 거지 복장을 했지요. 임금에게 장계狀啓를 전해야 하는 데 왜군들이 길을 점령하고 있어 갈 수가 없었어요. 그래서 장계를 전달할 사
박광옥
박광옥朴光玉(1526~1593)은 조선 중엽 명종과 선조 때에 성리학을 연구하고 향약을 널리 실시해 이름을 세우고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위기에 처한 나라를 구하고 백성을 살리기 위해 의병을 일으킨 의기로운 선비이다.박광옥의 본관은 음성陰城. 자는 경원景瑗, 호는 회재懷齋. 할아버지는 박자회朴子回이고, 아버지는 사예
광주월드컵경기장
서구 금화로 240(풍암동)환경친화적이며 시각적으로도 아름다움을 갖춘 축구경기장이다. 2001년 11월 개장하여 2002년 한일월드컵 때 국제축구연맹(FIFA)실사단으로부터 ‘가장 아름다운 구장’이라는 평가를 받은 바 있다. 수용인원은 4만3천여명이며, 2002년 FIFA 대한민국.일본 월드컵 경기를 성공적으로 치러낸 곳이다. 20
아시아창작스튜디오
서구 경열로 17번길 20번지(농성동)아시아창작스튜디오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레지던시(공동 작업실 및 거주 공간) 공간으로 국내 작가는 물론이고 아시아작가들이 거주하며 창작활동을 벌이고 있다. 광주광역시 구 서구청사를 리모델링한 아시아창작스튜디오엔 예술가 작업실 35개가 있다. 또 게스트하우스, 주방 및 식당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빛고을문화)
광주시 서구 풍금로 182(빛고을국악전수관 내)서구의 전통문화를 잘 보존해 계승시킴으로써 서구민으로서 자존감을 심어주는 서구 전통문화연구센터이자 계승터이다. 전통문화는 우리들에게 자긍심을 심어줄 뿐 아니라 아름답지만 무조건의 답습은 따분할 수 있다. 서구문화원은 전통문화를 배우고 익히는데 답습에 머무르지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회관
광주시 서구 서구 학생독립로 30(화정동)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회관은 우리 민족의 거룩한 혼과 숭고한 정신이 깃든 역사의 전당이다. 원래는 광주광역시 동구 황금동에 있었지만 건물이 노후화되고 좁은 관계로 2005년 광주 서구로 이전하여 개관했다.일제강점기에 나라를 잃고 고통을 받아왔던 학생들이 피를 흘리며 항거했
광주예총
서구 경열로 17번길 20번지(농성동)광주예총의 공식명칭은 한국문화예술단체총연합회 광주광역시지회이다. 예술문화인 상호간 친목을 도모하고 회원의 권익을 보호하며 향토 예술의 창달로 광주광역시 지역사회의 예술문화 발전에 기여하며 문화예술을 통하여 소통과 화합을 이루기 위한 예술인 모임체다. 건축가협회, 국악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