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 515송병선(宋秉璿) 노종룡(盧種龍)을 배향하는 사우1944년 창건규모사당 : 정면 3칸, 측면 2칸, 팔작지붕경의재(景義齋) : 정면 3칸, 측면 3칸, 팔작지붕농암정(聾岩亭) : 정면 5칸, 측면 3칸, 팔작지붕향사인물송병선(宋秉璿, 1836~1905) 본관-은진(恩津) 자-화옥(華玉) 호-동방일사(東方一士)‧연재
광주광역시 광산구 도덕동(광산구 도림하길 33) 마을 안에 있는 도림사는 1934년 노사 기정진, 난와 오계수, 후석 오준선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유림들이 세운 사우다.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단 위의 기둥이나 단청 등은 고풍스럽게 느껴지지만 기단은 콘크리트로 쌓아 축조된 1
광주광역시 광산구 대산동 대야마을, 송정리에서 영광쪽으로 10여 km를 가다가 삼도 삼거리에서 나주쪽으로 2km 남짓 가면 오른편으로 대산동 대야마을이 나온다.이 마을
후록(後麓)에 대산사(大山祠)가 있다.1727년(영조 3) 창건했고,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고 광복 후인 1957년
광주광역시 광산구 명도동 가마마을송시열(宋時烈) 오효석(吳孝錫)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는 사우1963년 창건연혁 1963년 지역유림의 뜻을 모아 건립(나주 오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사당 : 정면 4칸, 측면 2칸, 팔작지붕향사인물송시열(宋時烈, 1607~1689) 본관-은진(恩津) 자-영보(英甫) 호-우암(尤菴)·우재(尤齋)오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호동 420, 남동마을심원표(沈遠杓) 아들 심종대(沈鍾大) 손자 심한구(沈翰求) 3대의 영정을 모시고 있는 사우로 1946년 창건했다. 건물의 형태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단층평기와 팔작지붕으로 되어있다.주변에는 풍광을 더해주는 정원수가 심어져 있고 노목이 우거져 한적한 공간을 꾸며주고 있
본관은 나주이며 금성군 오신중(錦城君 吳愼中)의 아들로 태어났다.조선 전기의 무신 오자치 장군은 어려서부터 용력이 뛰어나 같은 나이 또래에서는 감히 당할 자가 없었다고 한다. 무예를 닦으며 자라면서 활쏘기와 말타기에 능했고 병서를 두루 읽으며 무장으로서의 자질을 키워 나갔다. 이후 무과 시험에서 장원급제를
광주광역시 광산구 평동 봉정마을에 1875년 鄭啓興의 효행의 뜻을 기리고자 羅州鄭氏門中에서 건립한 정려이다.봉정마을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시 관동면 수각리(水閣里) 봉정리(鳳亭里) 평지리(平地里) 오동촌(五洞村)을 합하여 법정리인 나주군 평동면 지정리(地亭里)로 하였다. 1949년 광산군으로 되었다가 1988년 광주
광주광역시 남구 중앙로107번길 5(구동 22-3 광주공원 내)에 있으며 광주유형문화재 제9호(1985년 2월 25일)이다.1398년(태조 7)에 서석산(瑞石山) 아래 창건1488년(성종 19) 현감 권수평(權守平)이 현재 위치로 이건정유재란 때 소실1974년 대성전 보수 및 단청1976년 동·서재 수리1978년 명륜당1981년 담장 및 외관수리 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