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599건)

만주사 / 晩州祠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 515송병선(宋秉璿) 노종룡(盧種龍)을 배향하는 사우1944년 창건규모사당 : 정면 3칸, 측면 2칸, 팔작지붕경의재(景義齋) : 정면 3칸, 측면 3칸, 팔작지붕농암정(聾岩亭) : 정면 5칸, 측면 3칸, 팔작지붕향사인물송병선(宋秉璿, 1836~1905) 본관-은진(恩津) 자-화옥(華玉) 호-동방일사(東方一士)‧연재
두암사 / 斗岩祠
광주광역시 북구 두암동 837-1(광주광역시 북구 면앙로170번길 12-17)두암사(斗巖祠)는 장열사(壯烈祠) 옆에 있는 사우이다. 1850년(철종 1) 우치동에 건립되어 고려조 삼중대광 금녕군(金寧君) 김목경(金牧卿)과 문민공(文愍公) 탁영 김일손(濯纓 金馹孫), 망헌 김광립(望軒 金光立)의 삼위를 봉사하였다. 그러다
도림사 / 道林祠
광주광역시 광산구 도덕동(광산구 도림하길 33) 마을 안에 있는 도림사는 1934년 노사 기정진, 난와 오계수, 후석 오준선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유림들이 세운 사우다.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단 위의 기둥이나 단청 등은 고풍스럽게 느껴지지만 기단은 콘크리트로 쌓아 축조된 1
덕림사 / 德林祠
광주광역시 광산구 덕림동 송산마을문화 류씨(文化 柳氏) 문중 사우1798년(정조 22) 창건연혁1798년(정조 22) 건립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훼철령으로 철폐1963년 호남유림에 의해 복설 류인옥(柳寅玉) 추배규모: 사우 : 정면 3칸, 측면 1칸, 영보재향사인물류절(柳節, 1517~1580) 본관-문화(文化) 호-일
대산사 / 大山祠
광주광역시 광산구 대산동 대야마을, 송정리에서 영광쪽으로 10여 km를 가다가 삼도 삼거리에서 나주쪽으로 2km 남짓 가면 오른편으로 대산동 대야마을이 나온다.이 마을 후록(後麓)에 대산사(大山祠)가 있다.1727년(영조 3) 창건했고,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고 광복 후인 1957년
대명사 / 大明祠
광주광역시 광산구 명도동 가마마을송시열(宋時烈) 오효석(吳孝錫)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는 사우1963년 창건연혁 1963년 지역유림의 뜻을 모아 건립(나주 오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사당 : 정면 4칸, 측면 2칸, 팔작지붕향사인물송시열(宋時烈, 1607~1689) 본관-은진(恩津) 자-영보(英甫) 호-우암(尤菴)·우재(尤齋)오
남동사(남동영각) / 南洞祠(南洞影閣)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호동 420, 남동마을심원표(沈遠杓) 아들 심종대(沈鍾大) 손자 심한구(沈翰求) 3대의 영정을 모시고 있는 사우로 1946년 창건했다. 건물의 형태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단층평기와 팔작지붕으로 되어있다.주변에는 풍광을 더해주는 정원수가 심어져 있고 노목이 우거져 한적한 공간을 꾸며주고 있
국제사우 / 國濟祠宇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산동 세동마을오겸(吳謙)의 행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사우1916년 창건규모: 정면 3칸, 측면 2칸, 맞배지붕향사인물: 오겸(吳謙, 1496~1582) 본관-나주(羅州) 자-경부(敬夫) 호-지족암(知足庵), 국재(菊齋)
오자치 (吳自治)
본관은 나주이며 금성군 오신중(錦城君 吳愼中)의 아들로 태어났다.조선 전기의 무신 오자치 장군은 어려서부터 용력이 뛰어나 같은 나이 또래에서는 감히 당할 자가 없었다고 한다. 무예를 닦으며 자라면서 활쏘기와 말타기에 능했고 병서를 두루 읽으며 무장으로서의 자질을 키워 나갔다. 이후 무과 시험에서 장원급제를
효자정계흥지려 / 孝子鄭啓興之閭
광주광역시 광산구 평동 봉정마을에 1875년 鄭啓興의 효행의 뜻을 기리고자 羅州鄭氏門中에서 건립한 정려이다.봉정마을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시 관동면 수각리(水閣里) 봉정리(鳳亭里) 평지리(平地里) 오동촌(五洞村)을 합하여 법정리인 나주군 평동면 지정리(地亭里)로 하였다. 1949년 광산군으로 되었다가 1988년 광주
효열부김해김씨기적비 / 孝烈婦金海金氏紀蹟碑
광주광역시 광산구 오선동1765년 金海金氏(朴孝東의 妻)의 孝烈의 뜻을 기리고자 儒林들의 뜻을 받들어 門中에서 석조로 건립
효열녀광산이씨정려 / 孝烈女光山李氏旌閭
광주광역시 서구 금호동1892년 光山李氏의 孝烈行의 뜻을 기리고자 유림들의 천거로 순종이 命旌하여 목조와가로 지은 정려
창녕조씨삼강문 / 昌寧曺氏三綱門
광주광역시 광산구 본량동 북산리 1897년 昌寧曺氏 일가의 忠孝烈行의 뜻을 기리고자 유림의 천거로 命旌昌寧 / 曺彦壽文化 / 柳氏昌寧 / 曺舜岳
장흥고씨삼강문 / 長興高氏三綱門
광주광역시 광산구 대촌 갑촌리 압촌동 마을 입구1595년 임진왜란 공신인 고경명 일가의 忠孝烈行의 뜻을 기리고자 유림들의 천거로 선조가 命旌, 문중에서 목조와가로 건립조선 중기의 문관·의병장인 고경명 일가삼강문옆에 문중 제각인 追遠閣이 있음長興 / 高敬命長興 / 高從厚長興 / 高因厚長興 / 高氏長興 / 高傳金光山
열부광산김씨정려 / 烈婦光山金氏旌閭
광주광역시 광산구 본량동 지산리 1850년 문중에서 광산김씨의 열행을 기리고자 목조와가로 건립 1979년 중건
서산유씨효렬정려 / 瑞山柳氏孝烈旌閭
광주광역시 광산구 삼도동 송산2리 1615년(광해군 7) 건립한 정려瑞山柳氏一家의 孝烈行의 뜻을 기리고자 羅州牧使가 천거 조정에서 命旌, 1615년 건립한 정려瑞山 / 柳瑛瑞山 / 柳玹
광산김씨효열문 / 光山金氏孝烈門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읍 박호리 노동마을 입구孝子 金應期와 烈女 羅州羅氏의 孝烈을 기리기 위해 조선 인조 때 건립한 효열문, 목조와가孝子 金應期와 烈女 羅州羅氏의 孝烈의 뜻을 기리고자 儒林들의 천거로 仁祖와 宣祖께서 命旌  
광주향교 / 光州鄕校
광주광역시 남구 중앙로107번길 5(구동 22-3 광주공원 내)에 있으며 광주유형문화재 제9호(1985년 2월 25일)이다.1398년(태조 7)에 서석산(瑞石山) 아래 창건1488년(성종 19) 현감 권수평(權守平)이 현재 위치로 이건정유재란 때 소실1974년 대성전 보수 및 단청1976년 동·서재 수리1978년 명륜당1981년 담장 및 외관수리 광
광산사 / 廣山祠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산동 837 오겸(吳謙)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는 사당이다.1825년(순조 25) 오겸의 후손들이 건립하였으며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후에 중수 하였다.사당 : 정면 3칸, 측면1칸, 단층 맞배지붕 오겸(吳謙, 1496~1582) 본관-나주(羅州) 자-경부(敬夫) 호-지족암(知足庵)·
경현사(지) / 景賢祠(地)
광주광역시 광산구 비아동 김극기(金克己)를 배향했던 사우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 김극기(金克己, 1397~1463) 본관-광산(光山) 자-예근(禮謹) 호-지월당(池月堂) 주(州)의 서쪽 30리에 있다. 지월당(池月堂) 김극기(金克己), 탄암(炭岩) 김득종(金得宗), 모계당(暮階堂) 김효종(金孝宗), 우봉(牛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