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사이트정보
게시물 (60건)
광주천
광주천(光州川) 【내】 광주시 용연동 동쪽 무등산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흘러 선교동에서 북쪽으로 꺾여 여러 골 물을 합하여 광주시 복판을 궤뚫고 흐르다가, 광천동에서 서남쪽으로 꺾여 치평동 서쪽, 송정읍 경계 지점에서 극락강(도 산천)으로 홀러 들어감.
치평동 -피아재, 피화대(避禍臺)
피아재(피화대] 【마을】 평촌 북쪽에 있는 마을.
치평동 -평촌(坪村), 평촌리
평촌(坪村)(평촌리] 【마을】 노치 서쪽, 들 가운데에 있는 마을. 1957년 12월 2일 동제 실시로 유덕동회의 관할 구역이 됨
치평동 -지망보
지망보 【보】 동녕보 아래쪽에 있는 보.
치평동 -수산봇들
수산봇들 [들] 평촌 앞에 있는 들.
치평동 -수산보
수산보 [보] 평촌 앞에 있던 보
치평동 -동녕보
동녕보 [보] 노칫들에 물을 대는 보
치평동 -노치리
노치리 ( 보) [마을】 →노치.
치평동 -노칫들
노칫들 【둘】 노치 앞에 있는 들
치평동 -내정
내정(內丁, 內亭) [마을】 노치 남쪽에 있는 마을.
치평동 -노치(노치리)
노치(노치리) 【마을】 치평동에서 으뜸되는 마을.
치평동 -계숫봉
계숫봉(계수봉, 겟봉] 【산】 치평동과 쌍촌동 경계에 있는 산
치평동 -계수봉
계수봉 [산]→계숫봉.
치평동 -계수(桂樹)-계수동
【마을] 노치 북쪽에 있던 마을. 군인들의 주둔지(상무대)로 되어 유촌동의 “계수” 마을로 옮겨 갔음.
치평동 (治平洞)
치평동(주) [동] 본래 광주군 군분면의 지역인데.'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계수리, 노치리 일부와 내정면의 하촌리, 평촌리의 각 일부와 덕산면과 서작리 일부와 우산면의 동작리 일부와 당부면의 마륵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노치와 평촌의 이름을 따서 치평리라 하여 극락면에 편입되었다가, 1955년 광주시에 편입
상무시민공원에 생활밀착형 국민체육센터 건립 추진
광주 서구(구청장 서대석)가 상무시민공원에 생활밀착형 국민체육센터 건립을 본격 추진한다.지난해 10월 문화체육관광부 공모사업인 ‘2018년 생활체육시설 설치 지원사업’에 선정됨에 따라 본격적인 추진에 나선다.
유덕-계수(桂樹)
계수(桂樹) 【마을】 유촌 남쪽에 있는 마을. 치평동의 계수마을 자리가 군인 주둔지가 됨으로써 이곳으로 옮겨 왔음. 옛 지도에는 계수(桂樹)가 계수(桂水)로 표기됨. 이 일대를 광주천으로부터 영산강으로 흘러들어가는 실개천이 많았다고 함
유덕동(柳德洞)
유덕동(柳德洞) 【동】 1957년 12월 2일 동제 실시에 따라 유촌동, 덕흥동과 동림동, 내방동, 치평동의 각 일부 지역을 합하여 유촌과 덕흥의 이름을 따서 유덕동회라 함
쌍촌-계수봉
계수-봉 【산】 치평동의 계숫봉
향림사창건비
광주시 서구 마륵복개로150번길 221980년향림사 창건 기록이 들어있는 '향림사창건기념비'이다. 1980년에 세웠다.1967년 큰스님께서 해남 대둔사에 계실 때 일이었다. 하루는 잠을 자는데 꿈에 샘에서 물을 떠 마시다가 잠을 깨게 되었다. 그런데 그날 광주의 새로 지은 어느 절에서 법문요청이 있었다. 오로지 천운 스님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