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37건)

권안제
서구 세하동백마산에서 만귀정으로 가는 길에 왼쪽에는 백마제, 오른쪽에는 권안제가 있다. 권안제는 노랑꽃창포 등 원예식물 식재로 습지의 훼손뿐만 아니라 원예식물의 고사체로 인하여 수질오염이 가속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백마제
서구 세하동백마산 자락 아래 보물처럼 자리 잡고 있는 백마제는 동하마을 뒤에 위치하고 있다. 백마제로 가는 길은 동하마을을 한참 지나 백마산 자락까지 가야 만날 수 있다. 백마제에서 자연스럽게 흘러 마을을 돌아 나오는 실개천과 도랑도 있다. 실개천과 도랑에는 다슬기류가 살고 있고 주변에는 습지생물인 갈대와
개산제(전평호수)
서구 매월동 519-1옛날에는 개산, 회산마을 사이로 하천이 흘렀다. 각시봉과 백마산에서 내려온 작은 물줄기가 개산을 지나 개산제로 모여 세하천으로 흘러갔는데 개금산의 작은 물줄기도 회산을 거쳐 개산제로 흘러들었고, 학산사 뒷산과 화방산花芳山 물도 매월제에 모여 개산제로 흘러들었다. 이곳 들판의 야트막한 산에
순재
서구 매월동백마산 북동부를 순재골이라 한다. 백마산 자락에 있는 순재는 모장재와 가까운 거리에 위치해 있다. 백마산은 세하동과 매월동 경계에 위치해 있는 산으로 해발 162m 높이인데 팔각정과 백마산 전망대, 숲 유치원, 백마정 등을 갖추고 있다. 순재는 숲 유치원 인근에 위치해 있다. 숲 유치원에서 각시봉으로 가
모장재
서구 세하동모장재는 지도를 펴놓고 보면 만귀정과 백마산, 서광주역의 한 가운데쯤 자리하고 있다. 모장재는 순재와 마찬가지로 백마산 일대에 있는 고개다. 송학산과 개금산 사이에 있는 백마산은 현재 광주에 속하지만 옛날에는 광산군에 속해 있던 지역으로 영산강 너머 평야지대로 연결되던 통로 쯤에 해당된다. 권안제
마재
서구 세하동 ‘마재’하면 금호동과 풍암동 경계에 있는 곳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공간으로는 시청자미디어센터와 119풍암안전센터가 자리한 곳 일대를 마재마을이라고 부른다. 마재마을은 광주시 서구 서창동 관할 세하동과 매월동 경계에 있는 백마산의 말발굽자리에 소재하고 있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광주광
백석산
서구 금호동과 마륵동 경계서구에는 백白자로 시작하는 산이 많다. 백마산이 있고, 백일지구라고 해서 붙여진 백일산이 있다. 그리고 백석산까지 있으니 서구는 유난히 ‘백’자와 인연이 깊은 곳이라 할 수 있다. 백석산은 금호동과 마륵동의 경계에 자리한 산으로 해발 79.8m로 채 100m가 안 되는 야트막한 구릉이다. 이처럼
백마산
서구 세하동과 매월동 경계백마산은 서구 세하동과 매월동 경계에 위치해 있는 산이다. 금당산에서 남서쪽으로 화방산을 거쳐 송학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가 절골[寺洞] 동편을 타고 북쪽으로 향하면서 솟아있다. 서쪽으로 극락강이 흐르고, 광주공항과 송정리 일대가 조망된다. 개금산을 마주보고 있으며 해발고도는 162.1m
금당산
서구 풍암동 광주 풍암지구를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는 금당산은 해발 303.5m로 100m대의 백마산이나 개금산에 비해 월등히 높다. 산등성이를 따라 남구 진월동과 서구 풍암동의 경계에 속하는 산이다. 무등산에서 분적산을 거쳐 북서쪽으로 내려선 능선이 1번 국도를 거쳐 오른 산이다. 금당산의 지질구조는 백악기 후반 유
개금산
서구 매월동 회산마을 북쪽풍암 유통단지와 전평호수, 서광주역을 품고 있는 듯한 개금산은 매월동 회산마을 북쪽에 위치한 산으로 백마산과 마주보고 있다. 개금산蓋金山은 ‘아름답고 돈이 많이 모인다 하여 마치 금으로 덮인 것 같다’는 뜻을 갖고 있다. 높이는 179.2m로 일명 계관산鷄冠山으로 불린다. 산봉우리가 세 갈
세하동 동하당산제
동하마을 뒤에는 백마산, 각시봉 등의 산들이 에워싸고 있으며 앞쪽(서쪽)에는 극락강 유역에 넓은 평야가 있어 대부분 논농사를 한다. 1990년대 들어서는 시설원예 농가가 늘었다. 조선 초에 청주한씨가 입촌하여 형성된 마을이다. 풍수설에 의하면 마을 형국이 연(하)꽃에 비유된다. 당산은 마을 앞에 큰샘과 마을 곳곳에
구산재
서구 회재로 551(서창동)구산재龜山齋는 서구 서창동 절골마을과 서창동주민센터 방향을 가르는 백마교차로에 있다. 백마산과 팔학산이 좌우에 있고 바래봉 동쪽 끝자락에 자리한다. 구산재는 구산龜山 김규환金奎煥(1769~?)으로 문중에서 세운 입비에 따르면 김해 가락국 수로왕의 66대손 삼현파이다.삼현은 사헌부,집의
학산사
광주시 서구 서창동 1서구 서창동 불암마을 외진 곳에 있는 학산사鶴山祠는 조선 중기 문신이며 의병장이었던 삽봉揷峯 김세근金世斤(1550∼1592)을 모시는 사우이다. 경내에는 학산사와 경의당景義堂, 창렬문, 학산사 묘정비 등이 세워져 있다. 해마다 음력 3월 22일에 춘향제를 지낸다. 사우는 정면 4칸의 측면 2칸으로 내
만귀정/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5호(1984. 2. 29.)
서구 동하길 10(세하동)만귀정晩歸亭은 흥성 장씨의 선조인 효우당孝友堂 장창우張昌雨(1704∼1774)가 학문을 가르쳤던 옛 터에 후손들이 그의 덕을 기리기 위해 지은 일제강점기 정자이다. 원래 건물은 소실됐으나 1934년에 다시 중건됐고, 1945년에 고쳐지었다. 앞면 2칸, 옆면 2칸 규모를 갖추고 있으며, 지붕은 옆면에서
만귀정 습향각 묵암정사
서구 동하길 10 (세하동)서구 세하동, 마을 뒤에 백마산과 옥녀봉이 솟아있고 마을 앞에는 서창평야의 넓은 들고 그 가운데로 극락강이 흐르는 전형적인 농촌이다. 넓은 서창평야를 바라보며 오랫동안 마을 입구에 자리한 옛 정원형 정자가 있다. 마을 입구에 큰 연못이 있고 그 위로 다리를 사이에 두고 3개의 정자가 나란
서구의 동(주민센터) 유래와 연혁
광천동 광천동의 유래와 연혁광천동은 일제 때의 광천정光川町을 1947년부터 고쳐 부른 이름이다. 엣날에는 광주천가에 새로 방죽을 쌓았다고 해서 새방천 혹은 신방천이라 부르기도 했다. 조선후기 기록인 『여지도서』 및 『호구총수』에 따르면, 현 광천동 지역은 광주목 군분면軍盆面에 속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광주를 이끌어온 광주의 중심
서구의 이름과 연혁 1973년 7월 1일 대통령령으로 구제區制 실시에 따라 남부·서부·지산출장소를 통합하여 45개 동으로 구성된 전라남도 광주시 서구가 신설되었다. 남부출장소의 사·구·양·월산·농성·백운 등 14개 동, 서부출장소의 유·누문·북·임·상무 등 15개 동, 지산출장소의 본촌·우치·삼소 등 16개 동을 합해 광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