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34건)

한생이산(팔학산)
서구 서창동 1번지 164.1m의 이 산은 지도에서는 한생이산이지만 삽봉 김세근 장군 문중에서는 팔학산이라 부른다. 김세근 장군의 학산사가 있다. 아마도 여덟개의 봉위리가 학의 날개 처럼 보인 때문이라는 구전이 전한다.
백마산
서구 세하동과 매월동 경계백마산은 서구 세하동과 매월동 경계에 위치해 있는 산이다. 금당산에서 남서쪽으로 화방산을 거쳐 송학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가 절골[寺洞] 동편을 타고 북쪽으로 향하면서 솟아있다. 서쪽으로 극락강이 흐르고, 광주공항과 송정리 일대가 조망된다. 개금산을 마주보고 있으며 해발고도는 162.1m
열부흥성장씨행적비
광주시 서구 서창동 산46-101986년김해김씨 열부각 열부흥성장씨 행적비는 서창동 백마교차로 사거리에서 서창주민센터방향으로 들어가는 입구 왼쪽에 있다. 구산재와 백마교 사이 산자락에 있다. 1986년에 세워진 것인데 빨간 벽돌로 사면 담장을 두르고 김해김씨 열부각이라는 석조물로 집을 만들었고 ‘열부흥성장씨
열부유인김씨행적비
광주시 서구 눌재로 420(세하동)이 비는 서창한옥문화관 주차장 입구에 있다, 상산김씨商山金氏 전라도 병마절도사 김수정金守貞의 후손인 김채호金彩鎬가 산송山訟 사건으로 1905년 악한에게 피살된다. 그 부인 김씨(1871~1930)가 남편의 원수를 갚고 열부가 되기까지의 행적을 기록한 것이다. 그 부인은 삽봉 김세근 장군
학산사 묘정비
광주시 서구 불암길 82-100(서창동)1592년 임진왜란 때 충남 금산에서 왜적과 싸우다가 순절한 삽봉 김세근 장군의 업적을 새긴 비이다. 1974년(갑인년)에 유림 지도자인 안동 김윤동金潤東이 글을 지었다. 묘정비 내용은 극락강변 팔학산 아래에 건물을 짓고 창렬단이라 하였다. 고제봉, 유월파, 안청계, 고학봉 등과 함께
김용훈-야은거사 김해김공용훈 유적비명
서구 눌재로 420(세하동)야은거사 김해김공 용훈 유적비명은 서창한옥문화관과 야은당 사이 주차장 한쪽에 있다. 야은野隱 김용훈金容燻(1876~1948)의 9대조가 삽봉 김세근 장군이다. 야은공의 덕행과 후학 양성을 위해 노력한 과정을 비문에 새겼다. 글은 김종金鍾 전 조선대 교수(시인)이 썼다.
김세근 장군 훈적비
서구 눌재로 420(세하동)임진왜란 의병장 삽봉 김세근 장군 훈적비勳積碑는 비문에 김해 가락국 수로왕의 제 60세손으로 성장과정과 임진왜란에 참여하여 금산전투에서 순국하고 부인도 목숨을 끊은 내용이 담겨 있다. 2000년에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장 오성근吳晟根과 학산사보존회장 김종훈金鍾燻 등이 서창한옥문화관
구산재
서구 회재로 551(서창동)구산재龜山齋는 서구 서창동 절골마을과 서창동주민센터 방향을 가르는 백마교차로에 있다. 백마산과 팔학산이 좌우에 있고 바래봉 동쪽 끝자락에 자리한다. 구산재는 구산龜山 김규환金奎煥(1769~?)으로 문중에서 세운 입비에 따르면 김해 가락국 수로왕의 66대손 삼현파이다.삼현은 사헌부,집의
학산사
광주시 서구 서창동 1서구 서창동 불암마을 외진 곳에 있는 학산사鶴山祠는 조선 중기 문신이며 의병장이었던 삽봉揷峯 김세근金世斤(1550∼1592)을 모시는 사우이다. 경내에는 학산사와 경의당景義堂, 창렬문, 학산사 묘정비 등이 세워져 있다. 해마다 음력 3월 22일에 춘향제를 지낸다. 사우는 정면 4칸의 측면 2칸으로 내
만취정2 晩翠亭- 김용희
서구 매월동 (동산부락)만취정(晩翠亭)은 1925년에 김용희(金容希, 1860.5.27~1927.7.21)가 매월동 화개산 기슭에 처소로 지었다. 김용희의 호는 송암(松菴) 또는 만취정이다. 유고가 2권 있다고 족보에 기록되어 있으나 전해지지 않는다. 현와 고광선이 행장을 썼다. 삽봉 김세근 장군의 후손이다.만취정은 『광
서창루 세동각 세하당
서구 눌재로 420(세하동)1998년 조성된 기존의 서창향토문화마을이 2017년에 정비사업을 통해 서창한옥문화관으로 이름을 바꾸면서 내부의 한옥 건물에 대하여 정인서 서구문화원장의 제안으로 지역의 명칭을 따라 건물 이름과 방 이름을 정하여 생명을 갖도록 했다.서창루西倉樓는 서창지역이 옛 세곡창고였다는
야은당
서구 눌재로 420(세하동)야은당野隱堂은 야은野隱 김용훈金容燻(1876~1948)을 기리는 정자이다. 자字는 봉현奉賢, 호號는 야은野隱, 우호又號는 우재愚齋이다. 광주향교의 『광주지』(1968)에는 김용훈을 기리는 서호영당瑞湖影堂이라 불렀다. 지금은 서창한옥문화관과 함께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이 운영되는 정자로 활용되고
옛 지도 속 서구는 어떻게 생겼나
언젠가 ‘고산자 대동여지도’라는 영화를 본 적이 있다. 영화 속 주인공은 지도에 목숨 걸고 지도 때문에 딸도 잃는 일들이 벌어진다. 지도는 문물이 소통하며 사람이 소통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매김했다. 오늘날 위성지도나 내비게이션 등으로 길 찾는 일이 쉬워지긴 했으나 여전히 지도는 중요하다. 우리나라 지도는 삼
광주를 이끌어온 광주의 중심
서구의 이름과 연혁 1973년 7월 1일 대통령령으로 구제區制 실시에 따라 남부·서부·지산출장소를 통합하여 45개 동으로 구성된 전라남도 광주시 서구가 신설되었다. 남부출장소의 사·구·양·월산·농성·백운 등 14개 동, 서부출장소의 유·누문·북·임·상무 등 15개 동, 지산출장소의 본촌·우치·삼소 등 16개 동을 합해 광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