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발굴
우리 문화의 의미와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공유하는 기회를 가지며 문화유산에 대한 자긍심 제고와 정체성 확립을 위해 지역문화유산 발굴에 힘쓰고 있다. 삶의 기록이자 역사인 우리문화를 올바르게 가꾸고 보존하여 후대에 전해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모두가 참여하여 일체감을 가짐으로써 지역공동체의 유대를 강화시키는 활동을 펼치고 있다.
❍ 사업 개요
- 사업목적
‧ 조선시대의 남도미술 500여 년과 남도 근현대 미술에 대한 통시사적인 미술사 강좌를 통한 우리 남도 화단의 중요한 가치를 인식하는 계기 마련
‧ 호남한국학 강좌를 미술사 분야로 다뤄 예향 남도의 뿌리를 찾는 의미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남도 미술의 역사성을 새로운 관점에서 돌아볼 수 있는 계기 마련
- 사 업 명: 조선시대 남도문화의 진수 500년+@
- 사업기간: 2024. 4.~11.
- 사업장소: 빛고을국악전수관 공연장/ 광주역사문화박물관·광주시립미술관
- 참여대상: 광주지역민 66명
❍ 사업세부내용
회차 | 강 의 명 | 강 사 명 | 강의 일자 |
1 | 조선 후반기 전라도의 시각적 재현 양상-고지도를 중심으로 | 박은순 | 8. 5.(월) |
2 | 조선후기 사찰의 불화-조계산 지역을 중심으로 | 이계표 | 8. 12.(월) |
3 | 초상화를 읽는 세 가지 관점-전라도 화가 채용신의 초상화를 중심으로 | 양진희 | 8. 19.(월) |
4 | 전라도 유배화가와 그 영향 | 이선옥 | 9. 2.(월) |
5 | 조선 후기 회화의 선구–공재 윤두서의 회화세계 | 이태호 | 9. 9.(월) |
6 | 남종문인화의 연원과 이해 | 이선옥 | 9. 23.(월) |
7 | 광주시립미술관, 국립광주박물관(현장답사) | 정인서 | 10. 5.(월) |
8 | 남도 서양화단에서 구상과 추상 회화 | 조인호 | 10. 7.(월) |
9 | 근현대 서양화단과 미술가들의 활동 | 김허경 | 10. 14.(월) |
10 | 미디어아트 창의도시 광주와 도시예술 프로젝트 | 10. 21.(월) |
❍ 추진실적
- 사업 홍보 활성화를 통해 당초 예상 인원수 보다 참여 신청 인원 증대
- 광주, 전남과 관련성 있는 회화 작가 및 미술사에 대한 분야별 강좌의 논문·책을 쓴 전문가를 강사를 초빙하여 9회에 걸친 강좌 진행
- 미술관·박물관 현장답사를 통해 근현대 미술 작품 관람과 전문가 해설 병행을 진행하여 참여자들에게 현장감을 부여하고 이해도를 넓힘
- 이전글2024 풍암동 '신암마을 당산제’
- 다음글다음글이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