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4259
게시물 검색 폼
  • 벽진리
    벽진-리(碧津里)(벅진〕 【리】 본래 광주(산)군 당부면의 지역으로 벽진부곡이 있으므로 벽진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선도면의 마산리, 월산리를 병합하여 벽진리라 해서 서창면에 편입되었다. 1957년 광주시에 편입되었다가 1963년에 복구됨.
    2018-05-30 | NO.2909
  • 벽진부곡(고려)
    지명유형: 향소부곡존속시기: 936~1391출전: 『신증동국여지승람』권35, 전라도 광산현문헌(원문): 良苽部曲 在縣西十五里 慶旨部曲 在縣西三十里 碧津部曲 在縣西二十里문헌(번역문):  양고부곡(良苽部曲) 현의 서쪽 15리에 있다. 경지부곡(慶旨部曲) 현의 서쪽 30리에 있다. 벽진부곡(碧津部曲) 현의 서쪽 20리에 있다.현위치: 현재 광주광역시 서구 벽진동 벽진마을에 위치.(역사지도 : 76)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2023), 광주·전남지역 역사지명 문헌자료집-행정지명편-
    2024-09-13 | NO.2908
  • 복룡동-아오락보阿五落洑
    아오락보阿五落洑 : 광주 동각면(東角面)의 팽이리(彭伊里)에 있다. 현 광산구 복룡동이다. - 朝鮮地誌資料(1910)
    2020-06-04 | NO.2907
  • 복룡동-아오락평阿烏洛坪
    아오락평阿烏洛坪 : 광주 동각면(東角面)의 상선리(上船里)에 있다. 현 광산구 복룡동이다. - 朝鮮地誌資料(1910)
    2020-06-04 | NO.2906
  • 복룡동-언내점堰內店
    언내점堰內店 : 광주 동각면(東角面)의 복호리(伏虎里)에 있는 주막명(酒幕名)이다. 현 광산구 복룡동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2020-06-09 | NO.2905
  • 복룡리-복룡폐현伏龍廢縣
    복룡폐현伏龍廢縣 : 광주 관동면(官洞面)의 복룡리(伏龍里)에 있다. 백제(百濟) 시대는 복룡현(伏龍縣)이고 반룡현( 盤龍縣)이라고도했다. 신라(新羅) 시대에는 용산(龍山)으로 고쳐 무주 영현(武州領縣)이 되었다. 고려(高麗) 시대는 다시 옛 이름을 쓰고 내속하였다. 조선시대에 폐하였다.- 朝鮮地誌資料(1910)
    2020-05-07 | NO.2904
  • 복룡현(고려)
    지명유형: 군현존속시기: 903~1391출전: 『고려사』지리지, 지리2, 전라도문헌(원문):伏龍縣本百   濟伏龍縣【一云盃龍】新羅景德王, 改名龍山 爲武州領縣 高麗 復古名 來屬문헌(번역문):복룡현(伏龍縣)은 본래 백제의 복룡현(伏龍縣)【배룡(盃龍)이라고도 함】으로, 신라 경덕왕(景德王) 때 이름을 용산(龍山)으로 고치고, 무주(武州)의 영현(領縣)이 되었다. 고려에 와서 옛 이름으로 복구하고,〈나주목〉에 내속(來屬)하였다.현위치: 현재 복룡현 관아지터, 광주광역시 광산구 용곡동에 위치.(역사지도 : 77)(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23)광주·전남지역 역사지명 문헌자료집-행정지명편-
    2024-09-13 | NO.2903
  • 복룡현(삼국)
    지명유형: 군현존속시기: 538~756출전: 『삼국사기』지리지, 지리4, 백제문헌(원문):武珍州【一云奴只】未冬夫里縣 伏龍縣 屈支縣 分嵯郡【一云夫沙】助助禮縣 冬老縣 豆肹縣 比史縣 㐲忽郡 馬斯良縣 季川縣 烏次縣 古馬彌知縣 秋子兮郡 菓支縣【一云菓兮】栗支縣 月奈郡半奈夫里縣 阿老谷縣 古彌縣 古尸伊縣 丘斯珍兮縣 所非兮縣 武尸伊郡 上老縣 毛良夫里縣 松彌知縣 欿平郡【一云武平】猿村縣 馬老縣 突山縣 欲乃郡 遁支縣 仇次禮縣 豆夫只縣 尒陵夫里郡【一云竹樹夫里 一云仁夫里】波夫里郡 仍利阿縣【一云海濵】發羅郡 豆肹縣 實於山縣 水川縣【一云水入伊】道武郡 古西伊縣 冬音縣 塞琴縣【一云投濵】黄述縣 勿阿兮郡 屈乃縣 多只縣 道暩縣【一云隂海】因珍㠀郡【海島也】徒山縣【海島也 或云猿山】買仇里縣【海島也】阿次山郡 葛草縣【一云何老 一云谷野】古禄只縣【一云開要】居知山縣【一云安陵】奈巳郡문헌(번역문):무진주(武珍州)【한편 노지(奴只)라고도 이름】미동부리현(未冬夫里縣) 복룡현(伏龍縣) 굴지현(屈支縣) 분차군(分嵯郡)【한편 부사(夫沙)라고도 이름】조조례현(助助禮縣) 동로현(冬老縣) 두힐현(豆肹縣) 비사현(比史縣) 복홀군(伏忽郡) 마사량현(馬斯良縣) 계천현(季川縣) 오차현(烏次縣) 고마미지현(古馬彌知縣) 추자혜군(秋子兮郡) 과지현(菓支縣)【한편 과혜(菓兮)라고도 이름】율지현(栗支縣) 월나군(月奈郡) 반나부리현(半奈夫里縣) 아로곡현(阿老谷縣) 고미현(古彌縣) 고시이현(古尸伊縣) 구사진혜현(丘斯珍兮縣) 소비혜현(所非兮縣) 무시이군(武尸伊郡) 상로현(上老縣) 모량부리현(毛良夫里縣) 송미지현(松彌知縣) 감평군(欿平郡)【한편 무평(武平)이라고도 이름】원촌현(猿村縣) 마로현(馬老縣) 돌산현(突山縣) 욕내군(欲乃郡) 둔지현(遁支縣) 구차례현(仇次禮縣) 두부지현(豆夫只縣) 이릉부리군(尒陵夫里郡)【한편 죽수부리(竹樹夫里)라고도 이르고 한편으로 인부리(仁夫里)라고도 이름】파부리군(波夫里郡) 잉리아현(仍利阿縣)【한편 해빈(海濱)이라고도 이름】발라군(發羅郡) 두힐현(豆肹縣) 실어산현(實於山縣) 수천현(水川縣)【한편 수입이(水入伊)라고도 이름】도무군(道武郡) 고서이현(古西伊縣) 동음현(冬音縣) 색금현(塞琴縣)【한편 착빈(捉濱)이라고도 이름】황술현(黃述縣) 물아혜군(勿阿兮郡) 굴내현(屈乃縣) 다지현(多只縣) 도계현(道暩縣)【한편 음해(陰海)라고도 이름】인진도군(因珍島郡)【바다 섬임】도산현(徒山縣)【바다 섬이며 한편 원산(猿山)이라고도 이름】매구리현(買仇里縣)【바다 섬임】아차산군(阿次山郡) 갈초현(葛草縣)【한편 하로(何老)라고도 이르고 한편 곡야(谷野)라고도 이름】고록지현(古祿只縣)【한편 개요(開要)라고도 이름】거지산현(居知山縣)【한편 안릉(安陵)이라고도 이름】나이군(奈已註 416郡)이다.출전: 『고려사』지리지, 지리2, 전라도문헌(원문): 伏龍縣 本百濟伏龍縣【一云盃龍】新羅景德王 改名龍山 爲武州領縣 高麗 復古名 來屬문헌(번역문): 복룡현(伏龍縣)은 본래 백제의 복룡현(伏龍縣)【배룡(盃龍)이라고도 함】으로, 신라 경덕왕(景德王) 때 이름을 용산(龍山)으로 고치고, 무주(武州)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에 와서 옛이름으로 복구하고,〈나주목〉에 내속하였다.현위치: 현재 광주 용곡동 복룡현 관아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용곡동에 위치.(역사지도 : 77)(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23)광주·전남지역 역사지명 문헌자료집-행정지명편-
    2024-09-13 | NO.2902
  • 복룡현(통일신라)
    지명유형: 군현존속시기: 538~756출전: 『삼국사기』지리지, 지리3, 신라문헌(원문): 龍山縣 本百濟伏龍縣 景德王改名 今復故문헌(번역문): 용산현(龍山縣)은 본래 백제의 복룡현(伏龍縣)이었는데, 경덕왕(景徳王)이 이름을 고쳤다. 지금은 옛이름으로 회복되었다.-----------------------------------------------------------출전: 『고려사』지리지, 지리2, 전라도문헌(원문): 伏龍縣 本百濟伏龍縣【一云盃龍】新羅景德王 改名龍山 爲武州領縣 高麗 復古名 來屬문헌(번역문): 복룡현(伏龍縣)은 본래 백제의 복룡현(伏龍縣)【배룡(盃龍)이라고도 함】으로, 신라 경덕왕(景徳王) 때 이름을 용산(龍山)으로 고치고, 무주(武州)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에 와서 옛이름으로 복구하고,〈나주목〉에 내속하였다.현위치: 현재 광주 용곡동 복룡현 관아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용곡동에 위치.(역사지도 : 77)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23)광주·전남지역 역사지명 문헌자료집-행정지명편-
    2024-09-13 | NO.2901
  • 본덕동-공산公山
    공산公山 : 광주 마곡면(馬谷面)의 창교리(滄橋里)에 있다. 현 광산구 본덕동이다. 공산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2020-04-06 | NO.2900
  • 본덕동-둔대평屯代坪
    둔대평屯代坪 : 광주 마곡면(馬谷面)의 창교리(滄橋里)에 있다. 현 광산구 본덕동이다. 둔버리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2020-04-13 | NO.2899
  • 본덕동-본촌강本村江
    본촌강本村江 : 광주 마곡면(馬谷面)의 본촌리(本村里)에 있다. 현 광산구 본덕동이다. 본촌, 본동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2020-05-07 | NO.2898
  • 본덕동-빙고산氷庫山
    빙고산氷庫山 : 광주 마곡면(馬谷面)의 창교리(滄橋里)에 있다. 현 광산구 본덕동이다. 빙개등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2020-05-14 | NO.2897
  • 본덕동-유미평油米坪
    유미평油米坪 : 광주 마곡면(馬谷面)의 창교리(滄橋里)에 있다. 현 광산구 본덕동이다. - 朝鮮地誌資料(1910)
    2020-06-22 | NO.2896
  • 본덕동-장구치長久峙
    장구치長久峙 : 광주 마곡면(馬谷面)의 유덕리(柳德里)에 있다. 현 광산구 본덕동이다. 장구배미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2020-06-24 | NO.2895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