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4259
게시물 검색 폼
  • 금곡동-큰무덤등
    큰무덤-등 【등】 서름 북족에 있는 등성이다. 큰 무덤이 있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2020-04-16 | NO.3929
  • 금곡동-큰시암배
    큰-시암배 【골】 시암배의 큰 골짜기-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2020-04-16 | NO.3928
  • 금곡동-탑배미
    탑-배미 【논】 진대배미 밑에 있는 논이다. 바위탑을 세워 놓고 정월 보름에 마을 사람들의 소원을 비는 제를 지냈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2020-04-16 | NO.3927
  • 금곡동-포충사
    포충사(褒忠祠) 【사당】 금곡동에 있는 사당이다. 선조 34년에 세워서 충렬공 고경명과 그 아들 의열공 고인후와 류팽로, 안영을 배향한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2020-04-16 | NO.3926
  • 금곡동-폭포평瀑布坪
    폭포평瀑布坪 : 광주 석저면(石底面)의 이치리(梨峙里)에 있다. 현 북구 금곡동이다. 세심폭포, 원효폭포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2020-07-23 | NO.3925
  • 금곡동-퐅죽배미
    퐅죽-배미 【논】 수퉁배미 밑에 있는 논-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2020-04-16 | NO.3924
  • 금곡동-풍암정
    풍암-정(楓岩亭) 【정】 샘바우 남서쪽, 냇가에 있는 정자이다. 풍암(楓岩) 김덕보(金德普)가 그의 형 덕령(德齡 : "충장공 비각" 참조)이 억울하게 죽음을 당한 데에 충격을 받고 세상에 나오지 않으므로 나라에서 별제(別提) 벼슬을 주었으나,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이곳에 그의 호를 따서 풍암정을 짓고 여생을 보냈다 한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2020-04-16 | NO.3923
  • 금곡동-풍암정 楓巖亭
    풍암정 楓巖亭 : 광주 석저면(石底面)의 신촌리(莘村里)에 소재하고 김덕령(金德齡)이 은거한 곳이다. 현 북구 금곡동 718(풍암제길 117) 풍암정이다. 김덕보(金德譜, 1571∼1627)가 김덕홍(金德弘, 1558∼1592), 김덕령(金德齡, 1567∼1596) 두 형을 위해 건립했다.- 朝鮮地誌資料(1910)
    2020-07-23 | NO.3922
  • 금곡동-풍암평楓巖坪
    풍암평楓巖坪 : 광주 석저면(石底面)의 신촌리(莘村里)에 있다. 현 북구 금곡동이다. 풍암정(楓巖亭)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2020-07-23 | NO.3921
  • 금곡동-항골
    항-골 【골】 서름 남쪽에 있는 큰 골짜기-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2020-04-16 | NO.3920
  • 금곡동-호전평虎田坪
    호전평虎田坪 : 광주 석저면(石底面)의 신촌리(莘村里)에 있다. 현 북구 금곡동이다. 범밭골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2020-07-28 | NO.3919
  • 금곡동-후곡평後谷坪
    후곡평後谷坪 : 광주 석저면(石底面)의 이치리(梨峙里)에 있다. 현 북구 금곡동이다. 뒷보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2020-08-21 | NO.3918
  • 금남로1가
    금남로1가(錦南路一街) 【동】 본래 광주군 성내면의 지역으로서 광주 읍성 북문 안쪽이 되므로 북문안 또는 북문내, 북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공수방면의 상촌리, 하촌리의 각 일부와 기례방면의 시리, 성저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북성정이라 했다. 1927년 본정 1정목으로 고쳤는데, 1948년 왜식 동명 변경에 의하여 금남군(錦南君) 정충신(鄭忠信)의 군호를 따서 금남로 1가로 고치고, 1957년 동제 실시에 따라 동구 충금동회의 관할이 됨.
    2019-07-16 | NO.3917
  • 금남로2가
    금남로2가(錦南路二街) 【동】 본래 광주군 성내면의 지역으로서 광주 읍성 안이 되므로 성안 또는 성내, 읍내라 하였는데, 1927년 본정 2정목이라 하다가 1948년 왜식 동명 변경에 따라, 금남군 정충신의 군호를 따서 금남로 2가로 고치고, 1957년 동제 실시에 따라 동구 충금동회의 관할이 됨.
    2019-07-16 | NO.3916
  • 금남로3가
    금남로3가 (파 【동】 본래 광주군 기례방면의지역으로서 광주 읍성 밑이 되므로 성밑 또는 성저라 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후리, 보통리의 각 일부와 성내면의 고촌리, 북촌리 일부를 병합하여 성저리라 해서 광주면(시)에 편입했다. 1927년 본정 3정목으로 고쳤다가, 1948년 왜식 동명 변경에 의하여 전 성저리와 하촌리 일부를 갈라서 금남군 정충신의 군호를 따서 금남로 3가로 고치고, 1957년 동제 실시에 따라 동구 충금동회의 관할이 됨.
    2019-07-16 | NO.3915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