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사전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총 4259건
-
- 금곡동-물통골
- 물통-골 【골】 샘바우 동쪽, 이상봉에 있는 골짜기다. 물탕이 있었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07 | NO.4019
-
- 금곡동-미락바우
- 미락-바우 【바위】 큰시암배에 있는 큰 바위이다. 돌미륵처럼 생겼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07 | NO.4018
-
- 금곡동-반석계盤石溪
- 반석계盤石溪 : 광주 석저면(石底面)의 서림리(西林里)에 있다. 현 북구 금곡동이다. 방석모랭이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4-17 | NO.4017
-
- 금곡동-방석모랭이
- 방석-모랭이(니머리) 【모롱이】 서름 서남쪽에 있는 모롱이다. 위 산이 누에 머리 형국이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07 | NO.4016
-
- 금곡동-배알등
- 배알-등(拜謁一) 【등】 서촌 남쪽에 있는 등성이다. 신하가 임금을 배알하는 천자봉조(天子奉朝) 형의 명당이 있다 한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07 | NO.4015
-
- 금곡동-배재
- 배-재(이치) 【마을】 백톳재 밑에 있는 마을-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07 | NO.4014
-
- 금곡동-백련암
- 백련-암(白蓮庵) 【골】 오진암 북쪽에 있는 골짜기다. 백련암 절이 있었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07 | NO.4013
-
- 금곡동-백토개
- 백토-개 【고개】 →백톳재-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07 | NO.4012
-
- 금곡동-백토치白土峙
- 백토치白土峙 : 광주 석저면(石底面)의 이치리(梨峙里)에 있다. 현 북구 금곡동이다. 백톳재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4-24 | NO.4011
-
- 금곡동-백토치점白土峙店
- 백토치점白土峙店 : 광주 석저면(石底面)의 이치리(梨峙里)에 있는 주막명(酒幕名)이다. 현 북구 금곡동이다. 백톳재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4-24 | NO.4010
-
- 금곡동-백톳재
- 백톳-재(백토개) 【고개】 배재 서남쪽에서 화암동으로 가는 고개이다. 백토가 났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07 | NO.4009
-
- 금곡동-범바우
- 범-바우 【바위】 범박골에 있는 바위이다. 범 두 마리가 나란히 앉아 있는 것처럼 생겼다. -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07 | NO.4008
-
- 금곡동-범박골
- 범박-골 【바위】 큰골 북쪽에 있는 골짜기다. 범바우가 있다. -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07 | NO.4007
-
- 금곡동-불당재
- 불당-재(佛堂一) 【고개】 서름 남쪽에서 화순읍으로 가는 고개이다. 불당이 있었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07 | NO.4006
-
- 금곡동-빙발암터
- 빙발암-터(氷鉢庵一) 【터】 →빙발절터-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07 | NO.4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