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사전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총 4259건
-
- 궁산리-광보평光洑坪
- 광보평光洑坪 : 광주 갈전면(葛田面)의 신기리(新基里)에 있다. 현 담양군 수북면 궁산리이다.
- 2020-04-06 | NO.4064
-
- 금곡-와송정계臥松亭溪
- 와송정계臥松亭溪 : 광주 석저면(石底面)의 신촌리(莘村里)에 있다. 현 북구 금곡이다. -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6-16 | NO.4063
-
- 금곡동
- 금곡-동(金谷洞)(서름, 서림, 금곡, 서촌) 【동】 본래 광주군 석저면의 지역으로서, 쇠가 났다 하여 서름 또는 금곡, 서림, 서촌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원촌리, 신촌리, 이치리와 상대곡면의 화암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금곡리라 해서 석곡면에 편입되었다. 1955년 7월 1일 담양군 남면에 편입되었다가, 1957년 11월 6일 광주시에 편입되어 리를 동으로 고쳤다. 그해 12월 2일 충효동회의 관할이 되었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06 | NO.4062
-
- 금곡동-개삼평開參坪
- 개삼평開參坪 : 광주 석저면(石底面)의 야평명(野坪名)이다. 서림리(西林里)에 있다. 현 북구 금곡동이다. -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4-03 | NO.4061
-
- 금곡동-고랑껄
- 고랑-껄 【들】 원동 남족에 있는 들 -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06 | NO.4060
-
- 금곡동-곰번지
- 곰-번지(웅붕) 【산】 서당등 동쪽에 있는 큰 산 -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06 | NO.4059
-
- 금곡동-광석
- 광-석(廣石) 【바위】 →마당바우-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06 | NO.4058
-
- 금곡동-굉이바우
- 굉이-바우 【바위】 제비안골에 있는 바위이다. 굉이(고양이)처럼 생겼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06 | NO.4057
-
- 금곡동-구렁걸
- 구렁-걸 【들】 서름 서남쪽에 있는 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06 | NO.4056
-
- 금곡동-구렁걸보
- 구렁걸-보 【보】 구렁걸에 물을 대는 보-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06 | NO.4055
-
- 금곡동-권선암
- 권선-암(勸善庵) 【골】 짚은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다. 권선암이 있었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06 | NO.4054
-
- 금곡동-금곡
- 금-곡(金谷) 【마을】 →금곡동-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06 | NO.4053
-
- 금곡동-금산
- 금-산(金山) 【산】 초장골 동쪽에 있는 산이다. 금이 매장되었다 한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06 | NO.4052
-
- 금곡동-기생바우
- 기생-바우(뛰엄바우) 【바위】 마당바우 동쪽에 있는 바위다. ① 기생이 떨어져 죽었다 한다. ② 젊은이들이 뜀뛰기의 표적으로 삼았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06 | NO.4051
-
- 금곡동-깐치봉
- 깐치-봉(작봉, 작산) 【산】 서름 서남쪽에 있는 작은 산-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06 | NO.4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