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사전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총 4164건
-
- 광주목(조선전기)
- 지명유형: 군현존속시기: 1392~1910출전: 『세종실록』지리지, 권151, 전라 무진문헌(원문): 本百濟 武珍州都督【一云奴只】新羅取百濟 仍爲都督 景德王十六年丁酉【唐 肅宗 至德二年】改武州都督 眞聖王六年壬子【唐 昭宗 景福元年】甄萱襲據武珍州 稱後百濟王, 遂移全州 甄萱二十年辛未【梁 太祖 乾化元年】後高麗王弓裔以高麗 太祖爲精騎太監 帥舟師 略定武珍界 城主池萱 乃甄萱之壻也 與甄萱相應 堅守不降 至高麗 太祖二十三年庚子【晋 高祖 天福五年】改光州 成宗十五年丙申【宋 太祖 至道二年】降爲光州刺史 厥後 又降爲海陽縣令 高宗四十五年戊午【宋 理宗 寶祐六年】以功臣金仁俊外鄕 改知翼州事 後陞爲光州牧 忠宣王元年庚戌【元 世祖 至大三年】改化平府 恭愍王十一年壬寅【元 順帝 至正二十二年】改茂珍府【避惠廟諱, 改武爲茂】二十三年甲寅【大明 洪武七年】陞爲光州牧 本朝因之 今上十二年庚戌 邑人盧興俊歐本州牧使 杖流興俊于塞上 徙家小 降爲郡 別號光山 又翼陽문헌(번역문):본래 백제의 무진주도독(武珍州都督)이었는데,【일명 노지(奴只)라고 한다.】신라에서 백제를 차지하여 그대로 도독(都督)으로 하였고, 경덕왕(景德王) 16년 정유【당나라 숙종(肅宗) 지덕(至德) 2년.】에 무주도독(武州都督)으로 고쳤다. 진성왕(眞聖王) 6년 임자【당나라 소종(昭宗) 경복(景福) 원년.】에 견훤(甄萱)이 무진주(武珍州)를 습격하여 빼앗아 웅거하고 후백제왕(後百濟王)이라 일컫다가 드디어 전주(全州)로 옮겼다. 견훤 20년 신미【양(梁)나라 태조(太祖) 건화(乾化) 원년.】에 후고려(後高麗) 왕 궁예(弓裔)가 고려 태조(太祖)를 정기태감(精騎太監)으로 삼아서 뱃군사[舟師]를 거느리고 무진 지경을 공략하여 차지하게 하였는데, 성주(城主) 지훤(池萱)은 바로 견훤의 사위였으므로 견훤과 서로 응(應)하여 굳게 지키고 항복하지 아니하였다. 고려 태조 23년 경자【진(晉)나라 고조(高祖) 천복(天福) 5년.】에 이르러 광주(光州)로 고쳤고, 성종(成宗) 15년 병신【송나라 태조(太祖) 지도(至道) 2년.】에 광주자사(光州刺史)로 강등하였고, 그 뒤에 또 해양 현령(海陽縣令)으로 강등하였다가 고종(高宗) 45년 무오【송나라 이종(理宗) 보우(寶祐) 6년.】에 공신(功臣) 김인준(金仁俊)의 외향(外鄕)이라 하여 지익주사(知翼州事)로 고쳤고, 뒤에 광주목(光州牧)으로 승격하였고, 충선왕(忠宣王) 원년 경술【원나라 세조(世祖) 지대(至大) 3년.】에 화평부(化平府)로 고쳤고, 공민왕(恭愍王) 11년 임인【원나라 순제(順帝) 지정(至正) 22년.】에 무진부 (茂珍府)로 고쳤고,【혜묘(惠廟)의 휘자(諱字)를 피하여 ‘무(武)’를 ‘무(茂)’자로 고쳤다.】23년 갑인【명나라 홍무(洪武) 7년.】에 광주목으로 승격하였다. 본조에서도 그대로 따랐는데, 금상(今上) 12년 경술에 읍(邑) 사람 노흥준(盧興俊)이 본주(本州) 목사(牧使)를 구타하였으므로 노흥준을 곤장을 때려 변방(邊方) 지방으로 유형시키고 그 가족도 이주시키고서, 군(郡)으로 강등하였다. 별호를 광산(光山), 또는 익양(翼陽)이라고 한다. ----------------------------------------------------------존속시기: 1392-1910출전: 『신증동국여지승람』권35, 전라 광산문헌(원문): 東至昌平縣界十八里 南至和順縣界二十一里 至南平縣界二十八里 西至羅州界四十七里 北至珍原縣界二十一里 距京都七百二十五里동쪽으로 창평현(昌平縣) 경계까지 18리, 남쪽으로 화순현(和順縣) 경계까지 21리, 남평현(南平縣) 경계까지 28리, 서쪽으로 나주(羅州) 경계까지 47리, 북쪽으로 진원현(珍原縣) 경계까지 21리이며, 서울까지의 거리는 7백 25리이다. 현위치: 현재 충장로1가. 광주광역시 동구 충장로1가에 위치.(역사지도 : 74)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23)광주·전남지역 역사지명 문헌자료집-행정지명편-
- 2024-09-13 | NO.4059
-
- 광주목(조선후기)
- 지명유형: 군현존속시기: 1392~1910출전: 『여지도서』하, 전라 광주문헌(원문): 東至昌平縣界十八里西至羅州牧界四十七里南至和順縣界二十一里北至長城府界三十五里北距 京都七百二十五里七日程北距監營二百二十里三日程南距兵營一百四十里二日程東距左水營三百里四日程西距右水營二百四十里三日程東距統營五百里六日程문헌(번역문):동쪽으로 창평현의 경계까지 18리 떨어져 있고 서쪽으로 나주목의 경계까지 47리 떨어져 있다. 남쪽으로 화순현의 경계까지 21리 떨어져 있고 북쪽으로 장성부의 경계까지 35리 떨어져 있다. 북쪽으로 도읍과 725리 떨어져 있고 7일 걸린다. 북쪽으로 감영과 220리 떨어져 있고 3일 걸린다. 남쪽으로 군영과 140리 떨어져 있고 이틀 걸린다. 동쪽으로 우수영과 300리 떨어져 있고 4일이 걸린다. 서쪽으로 우수영과 240리 떨어져 있고 3일이 걸린다. 동쪽으로 통영과 500리 떨어져 있고 6일이 걸린다.-------------------------------------------------------------존속시기: 1392~1910출전: 『호남읍지』7책, 전라 광주문헌(원문):光州 東至昌平縣界十八里東南至東福界四十里南和順縣界二十一里至南平界二十八里西至羅州界四十七里北至長城界三十五里距京都七百二十五里문헌(번역문): 동쪽으로 창평현(昌平縣) 경계까지 18리, 남쪽으로 화순현(和順縣) 경계까지 21리, 남평현(南平縣) 경계까지 28리, 서쪽으로 나주(羅州) 경계까지 47리, 북쪽으로 진원현(珍原縣) 경계까지 21리이며, 서울까지의 거리는 7백 25리이다.-------------------------------------------------------------존속시기: 1392~1910출전:『대동지지』6책, 전라 광주현위치: 현재 충장로1가. 광주광역시 동구 충장로1가에 위치.(역사지도 : 74)*자료;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2023), 광주·전남지역 역사지명 문헌자료집-행정지명편-
- 2024-09-13 | NO.4058
-
- 광주천
- 광주천(光州川) 【내】 광주시 용연동 동쪽 무등산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흘러 선교동에서 북쪽으로 꺾여 여러 골 물을 합하여 광주시 복판을 궤뚫고 흐르다가, 광천동에서 서남쪽으로 꺾여 치평동 서쪽, 송정읍 경계 지점에서 극락강(도 산천)으로 홀러 들어감.
- 2019-07-09 | NO.4057
-
- 광천-가게논
- 가게논 【논】 남성골 서쪽에 있는 논.
- 2018-06-07 | NO.4056
-
- 광천-명냇께
- 명냇-께[명냇걸〕 【마을】 새방천 서쪽에 있는 마을.
- 2018-06-07 | NO.4055
-
- 광천-방애다리
- 방애-다리 【마을】 명냇걸 서쪽에 있는 마을.
- 2018-06-07 | NO.4054
-
- 광천-밭가래
- 밭-가래 【들】 광천 남쪽에 있는 들.
- 2018-06-07 | NO.4053
-
- 광천-시암내
- 시암-내 【들】광천 서쪽에 있는 들, 샘이 있음.
- 2018-06-08 | NO.4052
-
- 광천-신방리
- 신방-리 【마을】 → 광천동
- 2018-06-08 | NO.4051
-
- 광천-쌍시통
- 쌍-시통 【논】 아홉마지기 아래에 있는 논. 수통이 쌍으로 있었음
- 2018-06-08 | NO.4050
-
- 광천-아홉마지기
- 아홉-마지기 【논】 멧들거리와 장삼들 사이에 있는 논
- 2018-06-08 | NO.4049
-
- 광천-안보
- 안-보【보】 외보 아래에 있던 보
- 2018-06-08 | NO.4048
-
- 광천-일수배미
- 일수-배미 【논】 보십논 위에 있는 논. 바닥이 깊어서 항상 물이 흔함.
- 2018-06-11 | NO.4047
-
- 광천-가르갯보
- 가르갯-보 【보】 아홉마지기 위쪽에 있는 보
- 2018-06-07 | NO.4046
-
- 광천-고리짝배미
- 고리짝-배미 【논】 홈배미 아래쪽에 있는 논. 떡 한 고리짝과 바꿨다 함.
- 2018-06-07 | NO.4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