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사전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총 4164건
-
- 대산동-삽교평揷橋坪
- 삽교평揷橋坪 : 광주 도림면(道林面)의 대야리(大也里)에 있다. 현 광산구 대산동이다. 삽다리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5-15 | NO.3504
-
- 대산동-성산평星山坪
- 성산평星山坪 : 광주 도림면(道林面)의 대야리(大也里)에 있다. 현 광산구 대산동이다. -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5-20 | NO.3503
-
- 대산동-수량점水良店
- 수량점水良店 : 광주 도림면(道林面)의 주막명(酒幕名)이다. 현 광산구 대산동이다. 수랑굴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5-21 | NO.3502
-
- 대산동-신교제薪橋堤
- 신교제薪橋堤 : 광주 도림면(道林面)의 현 광산구 대산동이다. 섶다리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5-26 | NO.3501
-
- 대산동-연치평鳶峙坪
- 연치평鳶峙坪 : 광주 도림면(道林面)의우치리(牛峙里)에 있다. 현 광산구 대산동이다. -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6-10 | NO.3500
-
- 대산동-월촌평越村坪
- 월촌평越村坪 : 광주 도림면(道林面)의 우치리(牛峙里)에 있다. 현 광산구 대산동이다. 월천곡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6-18 | NO.3499
-
- 대산동-조목평造木坪
- 조목평造木坪 : 광주 도림면(道林面)의 용산리(用山里)에 있다. 현 광산구 대산동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6-25 | NO.3498
-
- 대산동-주애평走崖坪
- 주애평走崖坪 : 광주 도림면(道林面)의 가산리(佳山里)에 있다. 현 광산구 대산동이다. 줄바우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6-29 | NO.3497
-
- 대산동-진보평眞保坪
- 진보평眞保坪 : 광주 도림면(道林面)의 용산리(用山里)에 있다. 현 광산구 대산동이다. 찬보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7-06 | NO.3496
-
- 대의동
- 대의-동(大義洞) 【동】 1957년 12월 2일 동제 실시에 따라 궁동과 장동을 합하여 대의동회라 한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3-10 | NO.3495
-
- 대의동-고향교평古鄕校坪
- 고향교평古鄕校坪 : 광주 성내면(城內面)의 사정리(射亭里)에 있다. 현 동구 대의동이다. 두 번째 향교거리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4-06 | NO.3494
-
- 대의동-석교평石橋坪
- 석교평石橋坪 : 광주 성내면(城內面)의 고촌리(孤村里)에 있다. 한글로 독다리들이고 현 동구 대의동이다. 경양방죽, 보들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5-15 | NO.3493
-
- 대인동
- 대인-동(大人洞)(고촌, 북문밖, 붕밖, 북문외) 【동】 본래 광주군 기례방면의 지역으로 광주 읍성 북문 밖이 되므로 북문밖 또는 붕밖, 북문외, 고촌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광주면 성저리라 하여 광주면(시)이 되었다. 1931년 4월 1일 고촌을 갈라서 대정정이라 하다가, 1948년 왜식 동명 변경에 따라 대인동으로 고쳤다. 1957년 동제 실시에 따라 동구 대금동회의 관할이 되었다. -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3-10 | NO.3492
-
- 대인동-고촌
- 고-촌(孤村) 【마을】 →대인동-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3-10 | NO.3491
-
- 대인동-당산거리
- 당산-거리(堂山一) 【마을】 고촌과 금남로 4가에 걸쳐 있는 마을이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3-10 | NO.3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