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사전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총 4164건
-
- 내남동-내지
- 내-지(內池, 內地) 【마을】 →육판이-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3-10 | NO.3759
-
- 내남동-내지리
- 내지-리(內地里) 【마을】 →육판이-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3-10 | NO.3758
-
- 내남동-도치바우
- 도치-바우 【바위】 통골 동쪽에 있는 바위이다. 도치(도끼)처럼 생겼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3-10 | NO.3757
-
- 내남동-동자바우
- 동자-바우(童子一)(동자암) 【바위】 남계 남쪽에 있는 바위이다. 동자(아이)처럼 생겼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3-10 | NO.3756
-
- 내남동-동자암
- 동자-암(童子岩) 【바위】 →동자바우-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3-10 | NO.3755
-
- 내남동-문더러미
- 문-더러미 【산】 →문드리미-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3-10 | NO.3754
-
- 내남동-문드리미
- 문-드리미(문더러미) 【산】 장골 동쪽에 있는 산이다. 산마루가 밋밋하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3-10 | NO.3753
-
- 내남동-밀매산
- 밀매-산 【산】 개바웃등 서북쪽에 있는 산이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3-10 | NO.3752
-
- 내남동-산적곡山赤谷
- 산적곡山赤谷 : 광주 지한면(池漢面)의 내지리(內池里)에 있다. 현 동구 내남동이다. 산적골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5-15 | NO.3751
-
- 내남동-산적골
- 산적-골 【골】 남계 북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도적이 숨어있었다고 한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3-10 | NO.3750
-
- 내남동-성산보星山洑
- 성산보星山洑 : 광주 지한면(池漢面)의 내지리(內池里)에 있다. 현 동구 내남동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5-18 | NO.3749
-
- 내남동-성산평星山坪
- 성산평星山坪 : 광주 지한면(池漢面)의 내지리(內池里)에 있다. 한글로 별맷들이고 현 동구 내남동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5-18 | NO.3748
-
- 내남동-세양곡細楊谷
- 세양곡細楊谷 : 광주 지한면(池漢面)의 내지리(內池里)에 있다. 현 동구 내남동이다. 가락골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5-20 | NO.3747
-
- 내남동-소대정보小大丁洑
- 소대정보小大丁洑 : 광주 지한면(池漢面)의 남계리(南溪里)에 있다. 현 동구 내남동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5-20 | NO.3746
-
- 내남동-시양곡時楊谷
- 시양곡時楊谷 : 광주 지한면(池漢面)의 내지리(內池里)에 있다. 현 동구 내남동이다. -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5-26 | NO.37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