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사전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총 4164건
-
- 금곡동-치매바우
- 치매-바우 【바위】 원동 동북쪽에 있는 바위이다. 선조 때 김덕령(金德齡) 장군의 누이가 치마로 옮겨왔다 한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16 | NO.3864
-
- 금곡동-칠반두
- 칠반-두 【산】 곰번지 남쪽에 있는 산-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16 | NO.3863
-
- 금곡동-큰골
- 큰-골 【골】 만리당 서쪽에 있는 큰 골짜기-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16 | NO.3862
-
- 금곡동-큰무덤등
- 큰무덤-등 【등】 서름 북족에 있는 등성이다. 큰 무덤이 있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16 | NO.3861
-
- 금곡동-큰시암배
- 큰-시암배 【골】 시암배의 큰 골짜기-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16 | NO.3860
-
- 금곡동-탑배미
- 탑-배미 【논】 진대배미 밑에 있는 논이다. 바위탑을 세워 놓고 정월 보름에 마을 사람들의 소원을 비는 제를 지냈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16 | NO.3859
-
- 금곡동-포충사
- 포충사(褒忠祠) 【사당】 금곡동에 있는 사당이다. 선조 34년에 세워서 충렬공 고경명과 그 아들 의열공 고인후와 류팽로, 안영을 배향한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16 | NO.3858
-
- 금곡동-폭포평瀑布坪
- 폭포평瀑布坪 : 광주 석저면(石底面)의 이치리(梨峙里)에 있다. 현 북구 금곡동이다. 세심폭포, 원효폭포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7-23 | NO.3857
-
- 금곡동-퐅죽배미
- 퐅죽-배미 【논】 수퉁배미 밑에 있는 논-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16 | NO.3856
-
- 금곡동-풍암정
- 풍암-정(楓岩亭) 【정】 샘바우 남서쪽, 냇가에 있는 정자이다. 풍암(楓岩) 김덕보(金德普)가 그의 형 덕령(德齡 : "충장공 비각" 참조)이 억울하게 죽음을 당한 데에 충격을 받고 세상에 나오지 않으므로 나라에서 별제(別提) 벼슬을 주었으나,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이곳에 그의 호를 따서 풍암정을 짓고 여생을 보냈다 한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16 | NO.3855
-
- 금곡동-풍암정 楓巖亭
- 풍암정 楓巖亭 : 광주 석저면(石底面)의 신촌리(莘村里)에 소재하고 김덕령(金德齡)이 은거한 곳이다. 현 북구 금곡동 718(풍암제길 117) 풍암정이다. 김덕보(金德譜, 1571∼1627)가 김덕홍(金德弘, 1558∼1592), 김덕령(金德齡, 1567∼1596) 두 형을 위해 건립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7-23 | NO.3854
-
- 금곡동-풍암평楓巖坪
- 풍암평楓巖坪 : 광주 석저면(石底面)의 신촌리(莘村里)에 있다. 현 북구 금곡동이다. 풍암정(楓巖亭)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7-23 | NO.3853
-
- 금곡동-항골
- 항-골 【골】 서름 남쪽에 있는 큰 골짜기-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16 | NO.3852
-
- 금곡동-호전평虎田坪
- 호전평虎田坪 : 광주 석저면(石底面)의 신촌리(莘村里)에 있다. 현 북구 금곡동이다. 범밭골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7-28 | NO.3851
-
- 금곡동-후곡평後谷坪
- 후곡평後谷坪 : 광주 석저면(石底面)의 이치리(梨峙里)에 있다. 현 북구 금곡동이다. 뒷보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8-21 | NO.38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