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사전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총 4164건
-
- 금곡동-동구
- 동구(洞口) 【마을】 →원동-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06 | NO.3969
-
- 금곡동-동실앞
- 동실-앞 【들】 서름 앞에 있는 들 -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06 | NO.3968
-
- 금곡동-동실앞보
- 동실앞-보 【보】 동실앞에 물을 대는 보 -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06 | NO.3967
-
- 금곡동-뒷보
- 뒷-보 【보】 서름 뒤쪽에 있는 보 -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06 | NO.3966
-
- 금곡동-땅재
- 땅-재 【고개】 서름 북쪽에서 충효로 가는 고개이다. 당집이 있었다 한다. -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06 | NO.3965
-
- 금곡동-뛰엄바우
- 뛰엄-바우(머리바우) 【바위】 무등산의 인왕봉과 천왕봉 사이에 있는 바위이다. ① 조선 선조 때 의병장(義兵將) 김덕령(金德齡) 장군이 뜀질을 하며 무술과 담력을 길렀다 한다. ② 머리 얹은 것같이 생겼다. -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광주시 북구 금곡동 뛰엄바우는 의병장 김덕령(金德齡)이 무술을 연마한 곳이었다고 하며, 금곡마을에서는 8·15광복 이전까지 당산제와 기우제를 지냈다.
- 2020-04-06 | NO.3964
-
- 금곡동-마당바우
- 마당-바우(광석) 【바위】 ① 마당바웃골에 있는 바위이다. 마당처럼 넓고 평평하다. ② 서름 서북쪽에 있는 바위이다. 마당처럼 넓고 평평하다. 열 사람이 둘러 앉을 수 있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06 | NO.3963
-
- 금곡동-마당바웃골
- 마당바웃-골 【골】 신촌 동쪽에 있는 골짜기-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07 | NO.3962
-
- 금곡동-마혜麻鞋
- 마혜麻鞋 : 광주 석저면(石底面)의 이치리(梨峙里)에서 생산된다. 현 북구 금곡동이다. -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4-14 | NO.3961
-
- 금곡동-만리당
- 만리-당 【골】 서름 서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구 성백이 역적 모의를 했다 한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07 | NO.3960
-
- 금곡동-만치
- 만-치(晩峙) 【고개】 →늦재-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07 | NO.3959
-
- 금곡동-매봉평梅峰坪
- 매봉평梅峰坪 : 광주 석저면(石底面)의 서림리(西林里)에 있다. 현 북구 금곡동이다. 매봉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4-16 | NO.3958
-
- 금곡동-머리바우
- 머리-바우 【바위】 →뛰엄바우-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4-07 | NO.3957
-
- 금곡동-목리木履
- 목리木履 : 광주 석저면(石底面)의 서림리(西林里)에서 생산된다. 현 북구 금곡동이다. -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4-17 | NO.3956
-
- 금곡동-목탄木炭
- 목탄木炭 : 광주 석저면(石底面)의 신촌리(莘村里)에서 생산된다. 현 북구 금곡동이다. -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4-17 | NO.3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