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사전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총 4164건
-
- 광천-칠성보
- 칠성-보 【보】 외보 밑에 있던 보.
- 2018-06-11 | NO.4014
-
- 광천-호래비깽븐
- 호래비-깽븐 【들】 명냇께 복판에 있는 들
- 2018-06-11 | NO.4013
-
- 광천-홈배미
- 홈-배미 【논】 질수통 아래에 있는 논. 홈통을 놓았었음.
- 2018-06-11 | NO.4012
-
- 광천동(光川洞)
- 광천동(光川洞)(새방천, 신방천, 신방리〕 【동】 본래 광주군 군분면의 지역으로서 광주천(시 산천) 가에 새로 방천을 쌓았으므로 새방천 또는 신방천, 신방리라 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내동리, 송정리, 쌍촌리 의 각 일부와 황계면의 대자리 일부를 병합하여 내동과 신방천의 이름을 따서 내방리라 하여 극락면에 편입되었다. 1955년 광주시에 편입되어 내방동 가운데 신방천을 떼어 광천동회로 고침 ('내방동' 참조)
- 2018-06-07 | NO.4011
-
- 광천동-가수보柯樹洑
- 가수보柯樹洑 : 광주 군분면(軍盆面)의 내동리(內洞里)에 있다. 한글로 새보이고 현 서구 광천동이다. 새보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4-03 | NO.4010
-
- 광천동-동산평東山坪
- 동산평東山坪 : 광주 군분면(軍盆面)의 내동리(內洞里)에 있다. 현 서구 광천동이다. 동살매, 동살미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4-13 | NO.4009
-
- 광천동-칠성보七星洑
- 칠성보七星洑 : 광주 군분면(軍盆面)의 쌍촌리(雙村里)에 있다. 현 서구 광천동이다. 칠성보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7-17 | NO.4008
-
- 광천동-칠성평七星坪
- 칠성평七星坪 : 광주 군분면(軍盆面)의 쌍촌리(雙村里)에 있다. 현 서구 광천동이다. 칠성보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7-17 | NO.4007
-
- 광천-보십논
- 보십-논 【논】 장구논과 남성골 사이에 있는 논
- 2018-06-07 | NO.4006
-
- 괘배기
- 괘배기(괘봉) 【산】 광주시 용산동과 노대동 경계에 있는 산, 높이 220m. 용산동 쥐봉의 취를 쫓는 괘(고양이) 형국으로 되었다 함
- 2019-07-09 | NO.4005
-
- 구소동-구락평九洛坪
- 구락평九洛坪 : 광주 칠석면(漆石面)의구소리(九沼里)에 있다. 현 남구 구소동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4-06 | NO.4004
-
- 구소동-상보上洑
- 상보上洑 : 광주 칠석면(漆石面)의 도촌리(陶村里)에 있다. 현 남구 구소동이다. 상보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5-15 | NO.4003
-
- 구소동-전평前坪
- 전평前坪 : 광주 칠석면(漆石面)의 구소리(九沼里)에 있다. 현 남구 구소동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6-25 | NO.4002
-
- 구소동-촌후평村後坪
- 촌후평村後坪 : 광주 칠석면(漆石面)의 구소리(九沼里)에 있다. 현 남구 구소동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7-17 | NO.4001
-
- 구소동-후평後坪
- 후평後坪 : 광주 칠석면(漆石面)의 구소리(九沼里)에 있다. 현 남구 구소동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8-26 | NO.4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