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도깨비 정체

광주광역시 여러 곳에서 전해 내려오는 도깨비의 정체에 관한 이야기.

 도깨비는 괴이한 재주와 강한 힘으로 사람을 홀리거나 괴롭히기도 하지만, 인간에게 물고기를 몰아 주거나 부자로 만들어 주는 등의 도움을 주기도 한다. 주로 밤에 활동하는 도깨비를 낮에 보면 본래의 정체가 밝혀지는데, 대체로 빗자루 몽둥이나 나무막대기, 부지깽이 등이라는 이야기이다.

2018년 광주광역시 동구 지원동에 거주하는 주민 이정애, 광산구 본덕동에 거주하는 주민 류임, 북구 생용동에 거주하는 주민 서판순의 이야기를 채록하였으며, 한국구비문학대계에 수록되었다.

도깨비불은 빗자루처럼 길다. 옛날에 도깨비를 묶어 놓았다가 아침에 가서 보면 대빗자루였다. 도깨비불은 비가 오려고 할 때 사방에 나타나서 왔다갔다한다. 지금은 도깨비불을 볼 수 없다. 어떤 사람이 밤 동안 도깨비에게 홀려 다니다가 나무에 도깨비를 묶어 놓았다.

그다음날 가 보니 나무막대기였다. 막대기 이외에도 부지깽이나 낡은 빗자루가 도깨비의 정체이다. 지금 세대는 도깨비를 보지 못하지만 더 윗세대 사람들은 도깨비를 보았다. 도깨비는 다리가 없고 도깨비불만 왔다갔다한다. 밤에 술을 마시고 집에 오다 보면 도깨비가 씨름을 하자고 한다. 도깨비와 씨름을 하고 나무에 묶어 두고 다음날 가 보면 불에 탄 방앗공이나 빗자루 몽둥이가 있다. 그러한 물건에 도깨비가 붙는다.

「도깨비의 정체」의 주요 모티프는 ‘도깨비를 본 경험담’과 ‘도깨비의 정체’이다. 도깨비는 조선시대 야담집 등의 문헌기록에도 등장하지만, 현대 이야기판에서도 여전히 등장하고 있다. 특히 도깨비는 직접 보았다거나 만나서 씨름을 했다거나 혹은 주변의 아는 사람[아버지, 할아버지 등]이 직접 만났다는 이야기를 들었다는 등의 경험담의 형태로 전승되고 있다. 제보자들이 도깨비를 직접 보지 못하였지만, 도깨비의 정체가 무엇이고, 도깨비가 언제 나타나는지 등의 단편적인 이야기를 한다.


[참고문헌]

장덕순, 『구비문학개설』(일조각, 1971) 『한국민속문학사전』설화 1-2(국립민속박물관, 2012)

한국구비문학대계(https://gubi.aks.ac.kr)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