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보첩고(報牒攷) - 光州牧使
○ 영조(英祖) 39년(1763) 8월 14일
풍재(風災)의 상황을 순영(巡營)에 보고하다
첩보(牒報)하는 일. 본부(本府)의 농형(農形)에 대해서는 지난달 말에 대략 첩보하였습니다. 이달 초4일 아침부터 동풍(東風)이 크게 일어나 3일 밤낮으로 그치지 않고 불다가 초7일 인시(寅時 오전 3시~5시)에 그치더니, 비가 또 저녁부터 밤새도록 주룩주룩 내리기도 하고 흩뿌리기도 하였습니다. 초8일 사시(巳時 오전 9시~11시)에 동풍이 다시 비를 대동하고 불다가 초9일 저녁에 이르러 비로소 바람이 그치고 비가 개었습니다. 그런데 개천과 도랑이 넘쳐흐른 바람에 물 주변의 전답(田畓)이 또 간간이 떨어져나가거나 토사(土沙)가 뒤덮은 환난을 면하지 못하였습니다.
이미 익은 올벼는 바람이 지나간 곳마다 간간이 낱알이 떨어지기도 하였고 또 쓰러져서 일어나지 않은 곳도 많았는가 하면 익어 가는 늦벼와 늦게 이앙하여 이삭이 막 패는 벼 및 전지의 팥ㆍ콩ㆍ기장ㆍ벼 등은 더욱더 재해를 입었습니다. 그리고 높은 지대 건조한 곳에 가장 늦게 이앙하여 지금 막 이삭을 머금고 있는 벼는 역풍(逆風)이 짓밟아서 전혀 열매를 따먹을 가망이 없습니다. 다래가 약간 남아 있는 목화(木花)도 모두 시들고 손상되어 전부 농사를 실패하였습니다.
그중에 동면(東面)의 하번암(下磻巖)과 산동(山東), 남면(南面)의 산동(山洞), 북면(北面)의 보현(寶賢)과 고사(高寺) 등 5방(坊)은 협곡에 가까운 지대여서 혹독하게 풍재를 입어 혹은 온 들이 재해를 입기도 하고 혹은 일자(一字)의 전 지역이 재해를 입기도 하였으므로 면보(面報)에 백성의 하소연이 매우 분분하다고 하였습니다. 그래서 별도로 사람을 파견하여 조사해 보니 낱알이 약간 떨어진 올벼는 돌아볼 것도 없고 늦게 이앙하여 이삭을 머금고 아직 열매를 이루지 못한 늦벼는 비가 지나간 뒤에 햇볕이 쨍쨍 내리쬐어 꼿꼿이 서서 말라버렸으므로 보기에 수심을 자아내고 마음이 아팠습니다.
산동(山東)ㆍ산동(山洞)ㆍ고사(高寺) 등 3방(坊)은 이른바 전 들판과 전 일자(一字)가 재해를 입었다는 백성들의 말이 더러 실정에 지나친 바가 없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일자(一字)나 일필지(一筆地)의 재해가 다소 천심의 구별이 있으므로 평명(坪名)과 자호(字號)를 전부 들어 재해를 입었다고 보고하지는 않았습니다만 하번암과 보현 2방(坊)은 전 지역이 재해를 입은 곳이 가장 많아 열매를 따먹을 가망이 없습니다. 이는 논곡식만 그렇지 않고 밭의 각종 곡식 중에 풍재(風災)를 입은 곳이 도처마다 된서리를 맞아 시들어 하얗게 되어버렸으므로 매우 애긍하고 참담하였습니다.
금년의 농사는 가뭄과 장마가 번갈아 도래한 바람에 이미 많이 재해를 입은 데다 뜻밖에 풍재로 입은 손상이 또 이처럼 심하므로 결국 흉년의 탄식을 면치 못하게 되었으니, 민사(民事)를 생각할 적에 고민과 염려를 금할 수 없습니다. 비가 내린 상황은 곧바로 치보(馳報)해야 합니다만 지역이 광대하여 각 면(面)에서 일제히 보고하기를 기다려 자세히 조사하는 사이에 자연히 지연되었으니, 또한 매우 황송합니다. 이상의 연유를 모두 첩보합니다.
제사(題辭)
계문(啓聞)하겠다. 첩보는 접수하였음.
[주-D001] 자호(字號) :
어떤 사물의 차례를 천자문(千字文)의 글자 차례에 따라 매긴 호수(號數). 토지의 경우 5결(結)마다 하나의 자호를 부과하였음.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 제목 | 발행처 |
---|---|---|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 광주 향토사 연구 |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 동구의 인물2 | 광주광역시 동구청 |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마을(동)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민속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21) | 양림 인물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동구문화원(2014) |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 광주동구문화원 |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 누리집(2023.2 |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 광주의 다리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재단(2021) | 근현대 광주 사람들 | 광주문화재단 |
광주북구문화원(2004) | 북구의 문화유산 | 광주북구문화원 |
광주서구문화원(2014) | 서구 마을이야기 | 광주서구문화원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옛 지도로 본 광주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 국역 光州邑誌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 영산강의 나루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 경양방죽과 태봉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 1896광주여행기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 광주천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김경수(2005) | 광주의 땅 이야기 | 향지사 |
김대현.정인서(2018) |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정호(2014) | 광주산책(상,하) | 광주문화재단 |
김정호(2017) |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학휘(2013) |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4) |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5) |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6) |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8) |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9) |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 광산문화원 |
남성숙(2017) | 전라도 천년의 얼굴 | 광주매일신문 |
노성태(2016) | 광주의 기억을 걷다 | 도서출판 살림터 |
노성테.신봉수(2014) |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 광주문화원연합회 |
박규상(2009) | 광주연극사 | 문학들 |
박선홍(2015) | 광주 1백년 | 광주문화재단 |
정인서(2016) |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 광주문화원연합회 |
정인서 외(2015) | 광주의 옛길과 새길 | 시민의 소리 |
정인서(2011) |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 대동문화재단 |
정인서(2011) | 광주문화재이야기 | 대동문화재단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
천득염(2006) | 광주건축100년 | 전남대학교출판부 |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 광주향약 1,2,3. | 한국학호남진흥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