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자진(李子眞) 순(淳) 에게 답함- 정구

한강(寒岡) 정구(鄭逑)  《한강집(寒岡集)》 속집 제7권 / 서(書)

이자진(李子眞) 순(淳) 에게 답함


보내 주신 편지를 받고 삼가 추운 겨울 날씨 속에 체후가 두루 평안하심을 알고 나니, 감격스럽고 기쁜 마음을 무어라 형언할 수 없습니다. 나는 어혈(瘀血)로 인한 통증이 심하고 피고름이 계속 흘러나오는 가운데 오랫동안 신음하고 있을 뿐, 이 밖에 달리 말씀드릴 만한 소식은 없습니다.

사추(士推 여윤서(呂允恕))가 세상을 떠난 일은 어찌 차마 말할 수 있는 일입니까. 통탄을 금할 수 없습니다. 존형의 아들이 오랫동안 돌아오지 않아 이상하게 여기며 애타게 기다리고 있었는데, 지금 소식을 들어 보니 사람을 저쪽에 보내 사정을 알아보고 송사가 끝날 무렵이 되면 반드시 그 사람을 대동하고 함께 돌아올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조 광주(趙光州 광주 목사(光州牧使) 조씨(趙氏))와는 젊었을 적에 서로 알았으나 소식이 전혀 없이 지낸 지가 20여 년이나 되었습니다. 지난해 목천(木川)에 있을 당시 서로의 거리가 그다지 멀지 않았으나 편지 한 장도 서로 주고받지 않아 소원하기가 저 길가는 사람이나 다름없습니다.

그가 귀양을 갔으나 나는 위문하지 않았고 내가 형의 상을 당했으나 그는 조문하지 않았습니다. 지금 갑자기 편지를 보낼 수 있는 상황이 아니므로 영공의 말씀을 들어드릴 수 없으니, 매우 유감스럽습니다. 낙복지(落幅紙 과거에 떨어진 사람의 글장)는 수중에 넣을 길이 없습니다. 그러나 혹시 구한다면 감히 받들어 올리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그리고 존형의 외증조 여 충순(呂忠順 충순위(忠順衛) 여우창(呂遇昌))의 무덤에 갈석(碣石)을 새겨 세우는 일은 내가 일찍이 사추에게 존형께 여쭈어 진행하도록 하라고 일러 주어, 지금 이미 비문이 완성되고 술도 이미 담갔다고 하는데, 사추가 갑자기 죽었으니, 더욱 슬프고 한탄스럽습니다. 이제 앞으로의 일을 담당할 사람이 없습니다. 존형께서 부디 유념하시고 문중 후생을 지휘하여 이 일이 끝내 실패하지 않도록 하시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소식이 없어 사무치는 그리움을 어찌 감히 형언할 수 있겠습니까. 삼가 보내 주신 편지를 받고 지금 늦더위에 존형의 체후가 두루 평안하심을 알고 나니, 감격스럽고 기쁜 마음 그지없습니다. 다만 대단치 않은 병환으로 오랫동안 고통을 겪고 계신다니 염려해 마지않습니다.

이명룡(李命龍) 등은 강물에 길이 막혀 참석할 수 없으니 형편이 그런 것을 어찌하겠습니까. 다만 존형의 막내손자 혁(爀)은 강물에 막히지 않았는데도 오지 않았으니, 독중(讀中)의 문책을 면치 못할 것 같아 우려됩니다. 추강(追講)하는 일은 독중이 함께 의논한 결과, 과거 시험을 치를 기일이 이미 임박하여 다시 모일 수 없으므로 다음 강회 때 합쳐서 강을 하자는 것으로 하였습니다.

자긍(子兢)이 병이 들었다는 소식은 이제야 비로소 들었습니다. 매우 걱정됩니다.

끝으로, 존형의 가르침을 받들 기회가 요원하기에 이 편지를 앞에 놓고 흠모하는 심정이 간절합니다.


* 여기에서 조 광주목사는 1601~1602년 광주목사를 거쳐 기축옥사 건으로 1602년 5월 공주에 유배된 조익(趙翊, 1556~1613)으로 보인다. 

*이순(李淳, 1530~1606)의 자 자진(子眞), 호 야로당(野老堂),  [증조] 필(珌) [조] 우(佑) [부] 언명(彦明)

야로당 이순은 성주지역 고성이씨 문중을 드높인 인물 중에 한 사람이다. 영남학파의 거두 퇴계와 남명의 양 문하에서 글을 배워 도학(道學)의 경지에 올랐고, 이를 바탕으로 인심을 흐리게 한 요승 보우를 탄핵하는 소를 올려 소윤의 미움을 받았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소모관(召募官)으로 의병을 일으켜 왜적을 막아냈다. 보학(譜學)에 밝아 고성이씨 최초 계보서인 ????야로당초보????를 편찬했다. 유계서원(柳溪書院)에 제향 되었는데, 저술한 가훈(家訓)과 성리휘집(性理彙集) 등은 병화로 남아 있지 않고, 약간의 시문을 수습한 <야로당문집>만이 전하고 있다.

<참고문헌> 고성이씨열전 55, 이순(李淳)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