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동명집 제5권 / 오언율시(五言律詩) 189수
홍주의 수령인 이후가 지은 근민당에 부쳐 제하다〔寄題洪州李使君 垕 近民堂〕
홍주 고을 바로 호서 큰 고을인데 / 邑是湖中巨
맡은 사람 오늘날의 한의 양리네 / 人今漢吏良
정사 폄에 그 근본을 능히 알아서 / 能知爲政本
드디어는 근민당을 지어 세웠네 / 遂作近民堂
비 온 뒤엔 푸릇푸릇 보리 자라고 / 雨後靑靑麥
봄이 오면 곳곳마다 뽕잎 돋아서 / 春來處處桑
모든 이들 노래하며 즐기는 것이 / 歌聲盡懽樂
어양 땅만 그런 것이 아닐 것이리 / 不獨在漁陽
[주-D001] 이후(李垕) :
1611~1668.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중(子重), 호는 남곡(南谷)이다. 1644년(인조22) 정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650년(효종1)에 지평(持平)에 제수되었으며, 은진 현감(恩津縣監), 광주 목사(光州牧使), 홍주 목사(洪州牧使) 등을 역임하였다. 1667년(현종8)에 사간으로 있다가 온성(穩城)에 유배되었다.
[주-D002] 근민당(近民堂) :
홍주(洪州)의 관아에 있던 당이다. 홍양호(洪良浩, 1724~1802)의 《이계집(耳溪集)》 권3에 홍양호가 홍주 목사에 제수되고서 지은 〈근민당한영(近民堂閒咏)〉이 있다.
[주-D003] 어양(漁陽) …… 것이리 :
홍주 고을 백성들이 모두 선정(善政)을 베푼 혜택을 받을 것이란 뜻이다. 후한(後漢) 때의 어진 수령인 장감(張堪)이 어양 태수(漁陽太守)가 되어 선정을 베풀자, 백성들이 그를 칭송하여 노래하기를 “뽕나무엔 붙은 가지가 없고, 보리 이삭은 두 갈래가 생기었네. 장군이 고을을 다스리니, 즐거움을 감당치 못하겠네.〔桑無附枝 麥穗兩岐 張君爲政 樂不可支〕”라고 하였다. 《後漢書 卷31 張堪列傳》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 제목 | 발행처 |
---|---|---|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 광주 향토사 연구 |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 동구의 인물2 | 광주광역시 동구청 |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마을(동)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민속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21) | 양림 인물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동구문화원(2014) |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 광주동구문화원 |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 누리집(2023.2 |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 광주의 다리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재단(2021) | 근현대 광주 사람들 | 광주문화재단 |
광주북구문화원(2004) | 북구의 문화유산 | 광주북구문화원 |
광주서구문화원(2014) | 서구 마을이야기 | 광주서구문화원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옛 지도로 본 광주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 국역 光州邑誌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 영산강의 나루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 경양방죽과 태봉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 1896광주여행기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 광주천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김경수(2005) | 광주의 땅 이야기 | 향지사 |
김대현.정인서(2018) |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정호(2014) | 광주산책(상,하) | 광주문화재단 |
김정호(2017) |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학휘(2013) |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4) |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5) |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6) |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8) |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9) |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 광산문화원 |
남성숙(2017) | 전라도 천년의 얼굴 | 광주매일신문 |
노성태(2016) | 광주의 기억을 걷다 | 도서출판 살림터 |
노성테.신봉수(2014) |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 광주문화원연합회 |
박규상(2009) | 광주연극사 | 문학들 |
박선홍(2015) | 광주 1백년 | 광주문화재단 |
정인서(2016) |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 광주문화원연합회 |
정인서 외(2015) | 광주의 옛길과 새길 | 시민의 소리 |
정인서(2011) |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 대동문화재단 |
정인서(2011) | 광주문화재이야기 | 대동문화재단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
천득염(2006) | 광주건축100년 | 전남대학교출판부 |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 광주향약 1,2,3. | 한국학호남진흥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