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송순- 기언 별집 제10권 / 발(跋)

송 상공(宋相公) 간독첩(簡牘帖)의 발       


계미년(1643, 인조21) 봄에 영남 관찰사 임공(林公)이 동쪽을 순행(巡行)하던 길에 바닷가로 나를 찾아왔다. 그때 나에게 면앙정(俛仰亭) 송 상공의 편지 세 편이 든 서첩(書帖) 하나를 보여 주었는데, 그 지면에 ‘임 진사(林進士)’, ‘임 상사(林上舍)’, ‘임 정자(林正字)’라고 쓰여 있었으니, 모두 우리 외조(外祖) 백호공(白湖公)을 가리킨 말이다.
그중 한 편지는 면앙정이 시를 지어 달라고 청한 것이고, 또 하나는 시를 받은 뒤에 감사의 뜻을 전한 것이었다. 이 두 편지는 연월(年月)이 병자년(1576) 5월과 6월로 되어 있는데, 그때 우리 백호공이 중부(仲父)의 상을 당하였으니, 편지에서 “정자공(正字公)의 부음(訃音)을 받았다.”라고 한 것이 바로 그 말이다.
정자공은 뛰어난 기개와 큰 재주가 있었으나 배척당한 채 고향에서 지내다가 돌아가셨기 때문에 편지에서 슬프고 애석한 뜻을 거듭 말하였다. 우리 백호공이 그 이듬해 과거에 급제하였는데, 그때 대부(大府) 절도공(節度公)이 제주 목사(濟州牧使)로 재직하고 있었기 때문에 장차 바다를 건너가서 과거에 합격한 영광을 고하려 하였다. 이때 상공이 은근하게 여행길의 안부를 물었으니, 이것이 또 한 편지이다.
편지를 읽어 보니 상공의 풍신(風神)과 의기(意氣)가 마치 눈앞에 보이는 것 같았다. 오래된 편지라서 종이가 떨어져 나간 곳이 많으나, 연월일은 모두 남아 있어서 알아볼 수 있다. 상공은 중종ㆍ인종ㆍ명종을 섬기고 선조 18년인 을유년(1585)에 이르러 네 조정을 거친 기로(耆老)로서 치사(致仕)하고 별세하였으니, 연세가 90여 세였다고 한다.
아! 정자공이 10년 전에 가장 먼저 돌아가셨고, 또 상공이 별세한 3년 뒤에는 우리 백호공이 별세하였다. 사상(使相)은 정자공의 친손이고 나는 백호공의 외손이다. 지금 이 편지를 거의 6, 7십 년이 지난 뒤에 헌 상자 안의 버려진 종이 속에서 찾아냈는데, 글씨가 또렷하여 어떤 일은 아무 해에 있었고 아무 말은 어떤 일과 관계가 있는지를 알려 주는 것이 직접 귀로 듣고 눈으로 보는 것처럼 역력하니, 마주 대하매 옛일에 대한 감회가 끝이 없다.
몇 년 전에 내가 호남을 여행하였을 때 담양(潭陽)에서 상공의 묘소에 참배하고 면앙정에 올랐었다. 그러고는 그 자손을 방문하여 유고(遺稿) 속에서 〈을유년 10월에 임 한림과 금강에서 뱃놀이하다〔乙酉冬十月與林翰林泛舟錦江〕〉라는 시 3수와 〈낙봉호음 두 선생의 운을 써서 귀래장에게 올리다〔駱峯湖陰二先生韻奉贈歸來丈〕〉라는 시 2수를 얻었으니, 이는 모두 우리 외고조(外高祖) 대윤공(大尹公)과 주고받은 시이다. 대윤공이 상공과 함께 중종조에 벼슬하여 일찍이 한림으로서 북도 병마평사(北道兵馬評事)가 되었으며, 명종 때에 벼슬이 동경 대윤(東京大尹)에까지 이르렀다가 뒤에 좌천되어 광주(光州)에서 별세했으니, 귀래당(歸來堂)은 별호이다.
지금 대윤공의 시 5수를 간독첩에 이어서 썼는데, 사상(使相)이 장차 낙봉과 호음의 시를 아울러 구하여 이 첩에 옮겨 쓰겠다고 한다. 이어서 나를 위해서 말하기를,
“지금 내가 다행히 이 편지를 얻었으니 자네는 기록하지 않아서는 안 된다.”
하므로, 삼가 그 대략을 위와 같이 쓴다.


[주-D001] 송 상공(宋相公) : 
송순(宋純, 1493~1582)으로, 본관은 신평(新平), 자는 수초(遂初)ㆍ성지(誠之), 호는 기촌(企村)ㆍ면앙정(俛仰亭)이며, 부친은 증 이조 판서 송태(宋泰)이다. 1519년(중종14) 별시 문과에 합격한 뒤 여러 관직을 거치고 의정부 우참찬으로 은퇴하였다. 면앙정가단(俛仰亭歌壇)의 창설자이자 강호가도(江湖歌道)의 선구자로서 조선 시가문학에 크게 기여하였다.
[주-D002] 임공(林公) : 
임담(林墰, 1596~1652)으로,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재숙(載叔), 호는 청요(淸曜)이며, 부친은 감사 임서(林㥠)이다.
[주-D003] 백호공(白湖公) : 
임제(林悌, 1549~1587)로, 본관은 나주, 자는 자순(子順), 호는 백호ㆍ풍강(楓江) 등이며, 부친은 절도사 임진(林晉)이다. 조선 중기의 유명한 시인이며, 한문소설, 시조 등을 남겼다.
[주-D004] 정자공(正字公) : 
임복(林復, 1521~1576)으로, 본관은 나주, 자는 희인(希仁), 호는 풍암(楓巖)이며, 부친은 승지 임붕(林鵬)이다. 1546년(명종1) 증광 문과에 합격하여 승문원 정자에 등용되었다가 이듬해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삭주에 유배되었다. 1551년(명종6) 특사령으로 고향에 돌아갔다가 선조 초에 박사에 임명되었으나 무고를 받아 취임하지 못하고 고향에 은거하였다.
[주-D005] 대부(大府) 절도공(節度公) : 
대부는 부군(府君)과 같은 말로 부친을 뜻하고, 절도공은 백호(白湖) 임제(林悌)의 부친 임진(林晉, 1526~1587)을 가리킨다. 임진은 자가 희선(希善)이며, 1546년(명종1) 무과에 합격한 뒤 훈련원 정(訓鍊院正), 전라도 수군절도사, 제주 목사(濟州牧使), 오도 병마절도사(五道兵馬節度使) 등을 역임하였다.
[주-D006] 사상(使相) : 
관찰사(觀察使)로서, 여기에서는 영남 관찰사 임담(林墰)을 가리킨다.
[주-D007] 낙봉(駱峯) : 
신광한(申光漢, 1484~1555)의 호이다.
[주-D008] 호음(湖陰) : 
정사룡(鄭士龍, 1494~1573)의 호이다.
[주-D009] 귀래장(歸來丈) : 
임붕(林鵬, 1486~?)으로, 미수의 외고조부이다.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중거(仲擧), 호는 귀래당(歸來堂)이며, 부친은 임평(林枰)이다. 1521년(중종16) 별시 문과에 합격하여 삼사(三司)의 관직, 승지, 병사(兵使), 경주 부윤(慶州府尹) 등을 역임하였다.
[주-D010] 대윤공(大尹公) : 
임붕이 경주 부윤을 지냈으므로 이렇게 칭한 것이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