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戲送一菴遊湖南訪光州牧使 : 서거정

戲送一菴遊湖南訪光州牧使  - 사가시집 제14권 / 시류(詩類) : 서거정(徐居正, 1420~1488)


일암(一菴)이 호남(湖南)을 유람하고 광주 목사(光州牧使)를 방문(訪問)하기로 한 데 대하여 장난삼아 읊어서 보내다.       


들으니 호남을 스스로 가련히 여긴다는데 / 聞說湖南也自憐
스님 행차가 정히 좋은 가을에 당했네그려 / 師行政趁好秋天
가사는 새벽의 웅강 달빛 아래 젖을 게고 / 袈裟曉濕熊江月
석장은 아침의 작령 연기 속에 날리겠네 / 杖錫朝飛鵲嶺煙
천녀의 꽃 흩는 모임엔 몇 번이나 갈런고 / 幾赴雨花天女會
사군이 베푸는 주연엔 응당 참여할 테지 / 應參開酒使君筵
뜬구름 같은 행장이 더욱 사랑스러워라 / 浮雲行李尤堪愛
소매 속에 얻은 시가 만 편에 가깝네그려 / 袖裏求詩近萬篇
사방 유람차 발 부르튼 그대가 가련하여라 / 繭足四方爾可憐
홀로 옹계의 하늘만 지킨 내가 부끄럽구려 / 慙予獨守甕鷄天
동화문의 거마는 뿌연 먼지 속에 침침한데 / 東華車馬迷紅土
남국의 누대들은 푸른 연기 속에 잠겼으리 / 南國樓臺間翠煙
어느 곳에서 원학이 깃든 절을 찾을런고 / 何處相尋猿鶴寺
때로는 더러 운우의 자리도 참여할 테지 / 有時或踏雲雨筵
광주 자사가 만일 나의 소식을 묻거들랑 / 光州剌史如相問
술 미치광이로 시가 백 편이라고 말해주소 / 道我酒狂詩百篇


[주-D001] 석장(錫杖)은 …… 날리겠네 : 
옛날에 고승 은봉(隱峰)이 오대산(五臺山)을 유람하고 회서(淮西)로 나가서는 석장을 던져 공중을 날아서 갔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전하여 승려들이 정처 없이 이리저리 행각하는 것을 말한다.
[주-D002] 천녀(天女)의 …… 갈런고 : 
《유마경(維摩經)》의 관중생품(觀衆生品)에 의하면, 중인도(中印度) 비사리성(毘舍離城)의 장자(長者)인 유마힐(維摩詰)이 여러 보살(菩薩)과 사리불(舍利佛) 등 대제자(大弟子)들을 위하여 설법할 적에 마침 천녀가 여러 사람들의 몸에 천화(天花)를 흩어 내렸는데, 이때 이미 일체(一切)의 분별상(分別想)을 단절한 보살에게는 이 천화가 달라붙지 않았으나, 아직 분별상을 단절하지 못한 대제자 등의 옷에는 이 천화가 달라붙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전하여 천녀의 꽃 흩는 모임이란 곧 고승의 법회를 가리킨다.
[주-D003] 홀로 …… 부끄럽구려 : 
옹계(甕雞)는 ‘항아리 속의 초파리〔甕裏醢雞〕’라는 말의 약칭으로, 견식이 아주 좁은 사람을 비유한 말이다. 《장자》 전자방(田子方)에 의하면, 공자(孔子)가 일찍이 노담(老聃)을 만나보고 나와서 안회(顔回)에게 이르기를 “나는 도에 대해서 마치 항아리 속의 초파리 같았구나. 부자께서 그 항아리의 덮개를 열어주지 않았더라면 나는 천지의 위대한 참된 모습을 모를 뻔하였구나.〔丘之於道也 其猶醢雞與 微夫子之發吾覆也 吾不知天地之大全也〕”라고 했다는 데서 온 말이다.
[주-D004] 동화문(東華門)의 …… 침침한데 : 
동화문은 백관이 입조할 때에 출입하던 문명(門名)인데, 소식(蘇軾)의 박박주(薄薄酒) 시에 “서호의 풍월이 동화문의 뿌연 먼지만 못하다.〔西湖風月 不如東華軟紅土〕”라는 전인(前人)의 희어(戱語)를 인용하여 “은거하여 뜻을 구함엔 의리만을 따를 뿐, 동화문의 먼지나 북창의 바람은 아예 계교치 않는다네.〔隱居求志義之從 本不計較東華塵土北窓風〕”라고 한 데서 온 말로, 전하여 동화문의 뿌연 먼지 속에 분주 다사한 관직 생활을 의미한다.
[주-D005] 어느 …… 찾을런고 : 
원학(猿鶴)이 깃든다는 것은, 남제(南齊) 때의 문인 공치규(孔稚圭)가 일찍이 변절한 은사 주옹(周顒)을 두고 지은 북산이문(北山移文)에 “혜초 장막이 텅 비어 밤의 학은 원망하고, 산인이 떠나매 새벽 원숭이는 놀라도다.〔蕙帳空兮夜鶴怨 山人去兮曉猿驚〕”라고 한 데서 온 말로, 전하여 은사가 머무는 깊은 산중을 가리킨다.
[주-D006] 때로는 …… 테지 : 
운우(雲雨)의 자리란, 전국 시대 초 회왕(楚懷王)이 일찍이 낮잠을 자는데 꿈에 한 여인이 와서 말하기를 “저는 무산(巫山)의 여자로서 고당(高唐)의 나그네가 되었는데, 임금님이 여기에 계신다는 소문을 듣고 왔으니, 원컨대 침석(枕席)을 같이 해주소서.”라고 하므로, 과연 그와 같이 하룻밤을 잤더니, 그 이튿날 아침에 그 여인이 떠나면서 말하기를 “저는 무산의 양지쪽 높은 언덕에 사는데, 매일 아침이면 아침 구름이 되고 저녁이면 내리는 비가 됩니다.〔旦爲朝雲 暮爲行雨〕”라고 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전하여 주로 남녀 간의 정사(情事)에 관한 일을 의미하는데, 여기서는 단지 화려한 주연을 가리킨 것이다.

서거정이 바둑을 잘 둔다 소문이 나자 어느 날 당대 고승 一菴禪師(일암선사)가 찾아와 바둑을 두기를 청하였다. 사가가 일암선사를 흔연히 맞아들여 대국을 해보니 기력이 막상막하 호적수여서 그 후로 두 사람은 상대방을 초청하기도 하고 혹은 찾아가기도 하여 아주 절친한 바둑친구가 되었다. <四佳詩集(사가시집)>을 보면 일암선사와 바둑을 두는 광경을 그린 여러 수의 가 있다.

 

僧一菴來請談棋(승일암래청담기) 일암선사가 찾아와 바둑 한 판을 하다

 

僧來長喚欲談棋(승래장환욕담기) 스님이 찾아와 바둑을 두자 졸라대기에

慵拂棋奩故遲遲(용불기렴고지지) 일부러 느릿느릿 바둑 의 먼지를 털었네.

當局不迷從古小(당국물미종고소) 바둑을 두게 되면 넋이 빠지지 않는 가 예부터 적었으니

輸嬴勝敗竟何爲(수영승패경하위) 이기면 어떻고 지면 어떻다는 말인가?

 

아마도 이날 서거정은 일암선사와 바둑을 겨루어 진 듯 보인다

2023.6.16. 수정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