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송시열, 박광후와 이민서에 화운함

송자대전 제1권 / 시(詩)○오언 고시(五言古詩) 부 사언(附四言)

박 상사 사술 광후익양 사군의 시에 차운한 시에 화운하여 언실의 담대가 보인 정중한 뜻에 사례하다〔和朴上舍士述 光後 所次翼陽使君韻 以謝偃室澹臺鄭重之意〕


옛날 우리 자양옹께서 / 昔我紫陽翁
대은병 봉우리에 거처할 적에
/ 身居大隱屛
도가 완전하여 집대성하니 / 道全集大成
온 천하를 다 포괄하였네 / 乾坤涵八溟
경원 연간에 낭패를 당해 / 顚躓慶元間
적막하게 순녕으로 돌아가시니
/ 寂寞歸順寧
이천 문도들이 눈물을 흘렸건만 / 二千徒弟泣
하늘은 귀 기울여 듣지 않았네 / 天不傾耳聽
허나 우리는 남겨진 책을 품고 / 而我抱遺編
묻고 생각하길 멈추지 않으니 / 問思兩無停
표범 반점 하나도 아직 못 봤으나 / 雖未一斑窺
배고픔에 초평이 생각나는 듯하네 / 如飢憶楚萍
진중한 광산백이여 / 珍重光山伯
일찍 스스로 학문의 방도를 세우고 / 早自立門庭
더하여 우뚝이 높은 뜻 지녔으니 / 還將壁立志
죽을 때까지 시들지 않으리라 / 抵死未凋零
백록동 학규를 다시금 천명하여 / 更闡白鹿規
선비들이 엄숙히 경서 끼고 공부하니 / 章甫儼橫經
세대는 달라도 즐거움은 실로 같은데 / 異世諒同符
어느덧 이미 천년이 흘렀어라 / 不覺已千齡
생도들 모두가 걸출한 인재인지라 / 生徒皆俊彥
애초에 회초리 가르침 필요가 없지 / 初不煩敎刑
그대 만나 터득한 바 시험해 보니 / 逢君徵所得
넓게 트인 것이 청천을 오른 듯 / 豁若陞靑冥
돌아가서 함께 멀리 찾아보세나 / 歸哉共遐尋
성인의 문은 본디 빗장이 없다네 / 聖門元不扃


[주-D001] 박 상사 사술(朴上舍士述) : 
박광후(朴光後, 1637~1678)로,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사술, 호는 안촌(安村)이다. 우암의 문인이다. 1666년(현종7)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나, 갑인년(1674) 이후 벼슬할 뜻을 버렸다. 문집으로 《안촌집(安村集)》이 전한다.
[주-D002] 익양 사군(翼陽使君) : 
당시 광주 목사(光州牧使)로 있던 이민서(李敏敍)를 가리킨다. 익양은 광주(光州)의 별호이다.
[주-D003] 언실(偃室)의 담대(澹臺) : 
언실은 공자 제자인 언언(言偃), 즉 자유(子游)의 방이라는 뜻으로, 후대에는 지방 수령의 거처를 뜻하는 말로 쓰였다. 담대는 담대멸명(澹臺滅明)이다. 공자가 무성(武城)의 수령인 자유에게 제대로 된 인재가 있느냐고 묻자, 자유가 담대멸명을 거론하면서 “길을 다닐 때는 지름길로 다니지 않고, 공적인 일이 아니면 언의 방에 찾아온 적이 없습니다.[行不由徑, 非公事, 未嘗至於偃之室也.]”라고 한 고사가 《논어》 〈옹야(雍也)〉에 보인다. 여기에서는 광주 목사 이민서와 관련하여 박광후를 지칭한 말이다.
[주-D004] 옛날 …… 적에 : 
자양(紫陽)은 주희의 별호이다. 주희가 무함(誣陷)을 입고 관직에서 물러나 있던 1183년 무이산(武夷山) 제5곡의 봉우리인 대은병(大隱屛) 아래 무이정사(武夷精舍)를 짓고 저술과 강학에 전념하였다.
[주-D005] 경원(慶元) …… 돌아가시니 : 
경원은 남송 영종(南宋寧宗)의 연호(1195~1200)이다. 남송 영종 연간에 한탁주(韓侂胄)와 조여우(趙汝愚)가 권력 쟁탈전을 벌였는데, 주희는 조여우의 편이었다. 1195년 한탁주가 조여우를 몰아낸 뒤에, 주희를 중심으로 한 이학가(理學家) 59명을 위학(僞學)으로 규정한 ‘위학역당(僞學逆黨)’이라는 당적(黨籍)을 반포하고 주희의 학문을 금지하였다. 이 사건을 ‘경원당금(慶元黨禁)’이라고 부르는데, 주희는 당금 중인 1200년 3월 세상을 떠났다. 순녕(順寧)은 송나라 장재(張載)가 지은 〈서명(西銘)〉에 “살아서는 순리를 따를 것이요, 죽어서는 편안하리라.[存吾順事, 沒吾寧也.]”라고 한 데서 온 말로, 주희가 부인 유씨(劉氏)를 장사 지내고, 그 무덤가에 순녕암(順寧菴)이라는 건물을 지었는데, 나중에 주희도 부인과 합장(合葬)되었다.
[주-D006] 표범 …… 봤으나 : 
주희의 학문이 깊고 넓어 자신의 좁은 식견으로는 일부도 파악하지 못했다는 말이다. 진(晉)나라 왕헌지(王獻之)가 소년 시절에 도박하는 것을 옆에서 지켜보다가 훈수를 두자, 도박하던 이가 “대롱으로 표범을 보면 반점 하나만 보인다.[管中窺豹, 時見一斑.]”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世說新語 方正》
[주-D007] 배고픔에 …… 듯하네 : 
주희의 학문이 배고플 때 생각나는 평실(萍實)같이 배우는 자들에게 절실하다는 의미이다. 초평(楚萍)은 초나라 평실이다. 춘추 시대 초왕(楚王)이 강을 건너다가 둥글고 붉은 말(斗)만 한 물체를 보고, 그것을 주워 사람을 시켜 공자(孔子)에게 물어보게 하니, 공자가 “이것이 이른바 평실이라는 것으로 쪼개서 먹을 수가 있는데, 이것을 얻은 것은 길한 조짐이다.”라고 했다는 고사가 있다. 《孔子家語 致思》 두보(杜甫)의 〈독좌(獨坐)〉 시에 “노인을 다습게 하자니 연옥이 생각나고, 주린 배를 채우려니 초나라 평실이 생각나네.[煖老思燕玉, 充饑憶楚萍.]”라고 한 구절을 차용하였다. 《杜少陵詩集 卷20》
[주-D008] 광산백(光山伯) : 
광주 목사 이민서를 가리킨다. 광산은 광주의 별칭이다.
[주-D009] 백록동(白鹿洞) 학규(學規) :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의 학규를 말한다. 주희가 지남강군(知南康軍)에 부임하였을 때 백록동서원을 중건하고 직접 강학하면서 학규를 제정하였다. 그 내용은 오교(五敎)의 조목, 학문을 하는 차례, 수신(修身)의 요체, 처사(處事)의 요체, 접물(接物)의 요체로 이루어져 있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