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우재 선생께 올리는 편지〔上尤齋〕 -문곡집

우재 선생께 올리는 편지〔上尤齋〕 -문곡집 제27권 / 서독(書牘): 김수항(金壽恒, 1629~1689)


늦가을, 어르신께 문안을 가는 광주(光州)와 나주(羅州) 유생들이 있어서, 삼가 편지 한 장을 써서 문후를 여쭈었고 아울러 《차의(劄疑)》 한 책을 보냈는데, 과연 지체되지 않고 제대로 들어갔는지 모르겠습니다. 소식이 뜸한 지 이미 몇 달이 지나, 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가는 계절이고 박(剝)과 복(復)이 교체되는 시절입니다. 삼가 균체(勻體 편지에서 정승을 지칭하는 말)의 건강이 철따라 강녕하고 복되리라 생각되니, 우러러 그리는 저의 마음이 하루도 떠난 적이 없습니다.


저 수항은 그런대로 죽이나 먹는 생활을 유지하고 있으니 진실로 이른바 혜주(惠州)의 급제하지 못한 수재(秀才)는 어디에 있은들 불가할 것이 없습니다. 하지만 오직 병과 게으름이 날로 고질이 되고 뜻과 학업이 날로 황폐한 것은 참으로 횡거(橫渠 장재(張載)의 호)의 말처럼 오로지 구습에 얽매어 탈피하지 못한 데서 연유하니, 종전에 좋은 시절을 헛되이 버리고 단지 어르신께 상심과 슬픔만 끼치는 것이 더욱 슬픕니다.
만일 때때로 가르침을 받아 저의 혼미함을 깨우칠 수 있다면 혹시 끝내 소인(小人)이 되지는 않겠지요? 마침 조생(曺生) 집에 회향(懷鄕 회덕(懷德))에서 온 인편이 있다는 말을 듣고 대략 이렇게 문안 편지를 썼으니 조만간 전달되기를 바랍니다. 많은 말씀을 자세히 갖출 겨를이 없어 이만 줄입니다.


[주-D001] 우재 …… 편지 : 
이 편지에 대한 답장을 송시열이 10월 14일에 부쳤다. 송시열의 편지는 《송자대전(宋子大全)》 권54 〈김구지에게 답함-정사년 6월 12일〔答金久之 丁巳十月十四日〕〉이다.
[주-D002] 박(剝)과 …… 시절 : 
박과 복은 《주역》의 괘명(卦名)이다. 산지(山地) 박(剝)괘는 9월에 해당되며, 지뢰(地雷) 복(復)괘는 11월에 해당된다. 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가는 시절을 뜻하면서 동시에 난세(亂世)에서 치세(治世)의 싹이 튼다는 의미도 담겨 있다.
[주-D003] 혜주(惠州)의 …… 수재(秀才) : 
여기서는 귀양 간 신세를 말한다. 송나라 소식(蘇軾)이 왕안석(王安石)의 화를 당하여 그곳으로 귀양을 간 일이 있었으므로 귀양살이를 흔히 혜주라 칭한다. 소식이 자신을 묘사했던 말이다. 《東坡全集 卷84 與程正輔提刑》
[주-D004] 구습에 …… 못한 : 
《장자전서(張子全書)》 권14 〈성리습유(性理拾遺)〉에 나온다.
[주-D005] 조생(曺生) : 
누군지는 미상이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