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화순 현감 홍 사군 명하 의 시에 차운하다 〔次和順洪使君〕 -동강유집 제6권

화순 현감 홍 사군 (명하) 의 시에 차운하다, 4수 〔次和順洪使君, 命夏○四首〕: 동강(東江) 신익전(申翊全, 1605~1660)

몇 번이나 어가 모시고 궁중에 입직하였나 / 幾度鳴鑾直禁廬
수령이 되어 실컷 신선 생활을 누리는구나 / 一麾贏得臥仙居
머나먼 유람은 다시 시상을 제공할 것이니 / 遠游聊復供詩思
오만한 관리가 어찌 문서에 묻혀 지내랴 / 傲吏寧堪事簿書
우연히 받은 높은 벼슬 마음과 어긋나니 / 簪組倘來心已左
풍진 속에 늙어 가매 귀밑머리만 듬성듬성 / 風塵老去鬢全疏
어찌하면 산에 오를 나막신 함께 수리할까 / 何當共理尋山屐
서석산 맑게 갠 빛이 하늘에 닿았는데 / 瑞石晴光切太虛


둘째 수〔其二〕

가파른 서석산은 광려산과 같으니 / 巉巖瑞石似匡廬
곳곳의 절간들이 스님들의 거처로다 / 面面祗林開士居
생각해보니 지난 가을 좋은 벗과 함께 / 憶在去秋携好伴
매번 그윽한 곳에서 불경을 읽었다네 / 每逢幽境閱禪書
가마 잠시 멈추고서 술잔 조금 돌리고 / 籃輿乍憩傳杯細
평상에서 조는데 경쇠 소리 드문드문 / 花榻閑眠叩磬疏
이제껏 뜻에 맞게 그런대로 자족했으니 / 適意向來聊自足
세상사 영고성쇠가 모두 헛된 일이라네 / 世間榮落摠成虛


셋째 수〔其三〕

한 언덕에 조용한 집을 지으려 했더니 / 一丘曾擬結幽廬
수령 되어 냇가 대숲을 버리고 말았네 / 爲郡聊拚水竹居
잠시 좋은 흥취 일다가도 문서에 묻히고 / 乍有好懷仍簿牒
금서를 함께 즐길 벗이 없으니 어찌하랴 / 奈無良友共琴書
봄이 돌아온 뜨락엔 매화 꽃망울 터지고 / 春回庭院梅顋拆
구름이 머문 바위산엔 빗줄기 성글구나 / 雲逗巖巒雨脚疏
흘러가는 세월은 백발을 재촉하는데 / 荏苒風光催鬢髮
이별 뒤 초승달 몇 번이나 기울었나 / 別來新月幾盈虛


넷째 수〔其四〕

시름이 몰려와 적막하게 집에 칩거하니 / 愁來悄悄掩齋廬
벼슬살이 되레 절간에서 참선하는 듯하네 / 官況還如定釋居
봄 경치 지려 하니 시 짓는 일을 그만두고 / 春事欲闌休覓句
낮잠에서 막 깨어나니 책 뽑기도 성가시네 / 午眠纔罷漫抽書
숲 언덕에 비 개자 새소리 경쾌하고 / 林皐雨霽禽聲滑
정원에 부는 미풍에 대 그림자 성기네 / 庭院風微竹影疏
지나간 자취는 잠시도 잡아둘 수 없으니 / 陳迹片時留不得
즐거웠던 어제 만남도 지난 일이 되었네 / 昨拚良晤已成虛


[주-D001] 화순 …… 차운하다 : 
이 시는 홍명하(洪命夏)가 화순 현감(和順縣監)으로 재직 중이던 1644년(인조24)에서 1648년(인조28) 사이에 지은 것인데, 이때 저자는 광주 목사(光州牧使)로 재직 중이었다.
[주-D002] 오만한 관리 : 
세상을 오시(傲視)하고 예법에 구애되지 않는 관리를 말한다. 장주(莊周)가 몽(蒙) 땅 칠원(漆園)이란 곳의 관리로 있으면서 재상으로 초빙하는 초(楚)나라 위왕(威王)의 청을 거절하였는데, 진(晉)나라 곽박(郭璞)의 〈유선시(遊仙詩)〉에 “칠원에는 오만한 관리가 있다.〔漆園有傲吏〕”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文選 卷21》
[주-D003] 우연히 …… 벼슬 : 
《장자》 〈선성(繕性)〉에 “헌면이 내 몸에 있는 것은 내가 타고난 성명이 아니요, 외물이 우연히 내 몸에 와서 붙어 있는 것일 뿐이다.〔軒冕在身, 非性命也, 物之儻來寄也.〕”라고 하였다.
[주-D004] 산에 오를 나막신 : 
남조 때의 문인 사영운(謝靈運)이 평소 깊고 험준한 명산을 오르기 좋아하여 매양 밀칠한 나막신을 신고 등산을 했는데, 특히 산을 오를 적에는 나막신의 앞굽을 뽑고, 산을 내려갈 적에는 나막신의 뒷굽을 뽑아서 다니기에 편리하도록 했다고 한다. 《宋書 卷67 謝靈運列傳》
[주-D005] 서석산(瑞石山) : 
전라도 광주(光州)에 있는 산이다. 무등산(無等山)이라고도 한다.
[주-D006] 광려산(匡廬山) : 
중국의 여산(廬山)을 가리킨다. 주(周)나라 때에 광유(匡裕)라는 사람의 일곱 형제가 이곳에 집을 짓고 은거하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