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정충신(鄭忠信) - 연려실기술 제29권

정충신(鄭忠信)평안ㆍ경상 병사ㆍ부원수(副元帥)ㆍ형조 판서ㆍ금남군(錦南君) - 연려실기술 제29권 / 인조조 고사본말(仁祖朝故事本末)


정충신은 자는 가행(可行)이며, 본관은 광주(光州)이고, 고려 병장 정지(鄭地)의 후손이다. 미천한 집에 태어나서 절도영(節度營)에 속한 정병(正兵)이었고, 겸하여 부(府)에 예속된 지인(知印 통인)이었다. 일찍이 절도영에 사역되어 불려갔는데, 늙은 기생의 집에 유숙하였다. 기생이 절도영 잔치에서 남은 음식을 먹으라고 주었는데, 공이 물리쳐 먹지 않고 말하기를 “대장부가 마땅히 절도사가 되었으면, 자신이 먹다 남은 음식으로 남에게 먹일지언정 어찌 남이 먹다 남은 음식을 먹는단 말인가.” 하니, 그 뜻과 기운 높음이 이러하였다.
임진년에 목사 권율(權慄)이 행재소에 장계를 전달할 만한 사람을 모집하였는데, 응하는 사람이 없었다. 공이 분연히 가기를 청하니, 그때 나이가 17세였다. 적병이 길에 가득 찼는데, 공이 단신으로 칼을 짚고 행재소에 도착하였다. 이항복 권율의 사위 이 말하기를, “이 아이는 멀리서 와서 몸둘 곳이 없으니, 내게 머무르게 하겠다.” 하였다. 이내 사서(史書)를 가르쳤는데, 공이 재주가 뛰어나 문리가 날로 진보되니, 항복이 아들처럼 사랑하였다. 가을에 행재소에서 시행한 무과에 올랐다.
임금이 항복에게 이르기를, “경이 일찍 정충신의 재주를 말했었는데, 이제 과거에 합격했으니 데리고 와서 나를 보게 하라.” 하였다. 들어가 뵈니, 임금이 칭찬하며 이르기를, “나이가 아직 어리니, 좀 자라면 크게 쓰리라.” 하였다.


○ 공은 키와 몸이 작았으나 눈이 샛별 같고, 얼굴이 아름다우며 말솜씨가 있고, 기상이 좋아 영특하였다. 활발하고 의기가 있고 일을 잘 헤아려서 미리 맞히는 것이 많았다. 《곤륜집(昆崙集)》


○ 만포 첨사(滿浦僉使)가 되었을 때, 명을 받들어 오랑캐들 가운데 들어가 여러 추장들과 이야기를 하였다. 추장이 말하기를, “너희 나라에서 늘 우리를 적이라 말하는 것은 무슨 까닭이냐.” 하였다. 답하기를, “너희들이 천하를 도적질할 마음이 있으니, 도적이 아니고 무엇이냐.” 하니, 여러 추장이 크게 웃었다. 돌아와 사람들에게 말하기를, “이 오랑캐가 장차 천하의 걱정거리가 될 것이니, 어찌 다만 우리나라의 걱정뿐이겠소.” 하였다. 《곤륜집》


○ 공은 매우 미천한 집안 출신이면서도 성질이 거만스러워서 여러 이름 있는 사람들에게도 평교의 예로써 대하니, 이 때문에 교만하다는 소리를 들었다. 최명길이 늘 자와 호를 불러 벗하였는데 혹 말하기를, “정충신이 교만하고 망녕된 것은 공들의 잘못 때문이다.” 하였다. 명길이 웃으며 말하기를, “충신의 장점이 바로 교만하고 망녕된 데 있으니, 충신에게 이것이 없다면 무엇을 족히 취할 것인가.” 하였다. 《지천유사》


○ 병자년 여름에 병이 심하였는데, 임금이 의관에게 명하여 치료하도록 하고 달마다 먹을 것을 내려주었다. 의관의 말이, “마땅히 인삼 두어 근을 써야 하겠다.”고 하면서도 임금에게 청하기를 어렵게 여겼는데 임금이 이르기를, “이 사람을 고칠 수 있다면 국력을 다 소비하더라도 아깝지 않은데, 하물며 몇 근의 인삼이겠는냐.” 하였다. 죽은 뒤에 내시에게 명하여 호상하게 하고, 어포(御袍)를 주어 수의(襚衣)로 하게 하고 관청에서 예로써 장사하게 하였다. 《정장군전(鄭將軍傳)》


○ 병자년 봄에 왜구가 온다고 말이 와전되었는데, 공이 말하기를, “왜인은 불러도 오지 않을 것이요, 나라의 큰 근심은 곧 북녘 오랑캐다.” 하였다. 조정에서 오랑캐에게 사신을 보내어 국교를 단절하자는 의논이 있었는데, 공이 이때에 병으로 앓아 누웠다가 이 말을 듣고 심히 탄식하여 말하기를, “나라의 존망이 이해에 결정된다.” 하였는데, 이해 12월에 오랑캐가 과연 크게 쳐들어왔다. 《정장군전》


○ 김시양이 언젠가 조용히 묻기를, “공이 이괄이 반란한 것을 듣고 성을 버리고 달아난 것은 무슨 까닭이오.” 하였다. 공이 말하기를, “나와 이괄의 친분이 형제와 같은 것은 나라 사람이 모두 아는 것이오. 또한 문회(文晦) 등에 의해 고발되었던 것은 다행히 임금의 은혜를 입어, 잡혀 문초당하는 것을 면할 수 있었소. 그리고 이괄이 모반할 때, 내가 영변(寧邊) 근방에 있었으니, 만약 사람들이 의심하게 된다면 나의 본심을 천하에 분명히 밝히지 못하게 될 것이기 때문에 성을 버리고 도망나옴으로써 내 본심을 밝혀서 사람들이 절로 믿도록 한 것이었소.” 하였다. 《하담록》


○ 처음 권율이 군사를 일으켜, 근왕(勤王)할 때, 공이 따라왔다. 군사를 보내어 적진을 정탐케 할 때에 공이 함께 가기를 청하니, 권율이 꾸짖어 말하기를, “너는 어린아이다. 가서 장차 무엇을 할 것이냐.” 하였는데도, 공이 굳이 청하니 마침내 보내었다. 달려가 적진에 이르렀는데, 적은 벌써 물러갔다. 공이 마을 집들을 둘러보니, 깨어진 독이 거꾸로 엎어진 것이 있었다. 공이 장난으로 쏘았는데, 독 가운데 병든 왜병이 숨어 엎드려 있다가 화살을 맞고 죽었다. 드디어 목을 베어 깃대에 달고 오니 권율이 심히 기특하게 여겼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